디렉토리분류

고강동 선사유적 출토 공렬토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600182
한자 古康洞先史遺蹟出土孔列土器
영어의미역 Hole Line Pottery of Prehistoric Times Excavated from the Gogangdong
이칭/별칭 고강동 선사유적 출토 구멍무늬 토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경기도 부천시 작동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희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토기
제작시기/일시 청동기시대
재질

[정의]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토기.

[개설]

공렬토기는 입술 바로 아래에 작은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아가면서 나 있는 토기로 청동기시대 전기에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공렬토기는 평안남도와 황해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 지역에서 출토되며, 동북 지역에서 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렬토기의 구멍은 기벽(器壁)을 완전히 관통한 것과 반관통한 것으로 분류되고, 또 구멍을 뚫은 방향이 토기의 안쪽에서 바깥을 향해 새긴 것과 그 반대인 것으로 분류된다. 구멍이 완전히 관통되지 않은 경우를 돌류문(突瘤文)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공렬토기는 구순각목(口脣刻目)이나 이중구연(二重口緣)과 짧은 사선문(斜線文)이 결합되어 나타난다. 구순각목과 결합된 형태는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이중구연과 결합된 형태는 한강 유역과 동해안 일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태]

고강동 선사유적 출토 공렬토기는 대부분 직립 구연으로 토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구멍을 냈다. 구멍은 지름이 0.1~0.3㎝이며, 토기 구연에서 밑으로 0.5~1.0㎝ 정도의 위치에 3㎝ 내외의 간격으로 나 있다. 구순각목과 결합된 경우, 각목은 간격이 0.5~1.5㎝로 일정하지 않다. 출토된 공렬토기의 형태는 호형(壺形)과 발형(鉢形)이 대부분이다.

[특징]

고강동 선사유적에서는 공렬토기, 구순각목토기, 구순각목공렬토기, 원형 점토대토기(圓形粘土帶土器), 흑도(黑陶)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이 가운데 공렬토기와 구순각목공렬토기가 11개 주거지에서 출토되어 출토된 토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 유적에서 공렬토기는 대부분 구순각목과 결합되어 나타나며, 순수한 공렬토기의 비율은 높지 않다.

[의의와 평가]

고강동 선사유적 출토 공렬토기는 고강동 선사유적 출토 토기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 공렬토기는 고강동 선사유적의 연대를 BC 10~8세기 경으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