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 마제석검은 청동기시대에 실생활 및 의기용으로 돌을 갈아 제작된 석기다. 검신(劍身)과 자루로 조합되며, 검신은 봉부(鋒部)에서 양날 부분으로 가면서 급격하게 넓어지다가 거의 평행을 이루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검신의 단면은 마름모꼴 또는 볼록렌즈 모양을 이루고 있다. 크기는 길이 30㎝ 내외가 많으나...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 마제석부는 돌의 전면 또는 일부를 갈아 만든 도끼로 신석기시대부터 사용되었으나 청동기시대에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크기는 보통 길이 10~17㎝, 폭 6~8㎝ 내외이나, 대형은 길이가 20㎝를 넘고 무게도 1,000g이 넘는다. 몸체의 단면 형태는 장방형·원형·타원형이 있다. 날의 형태에 따라 양날 도...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 석착(石鑿)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태의 외날 도끼의 일종으로 벌채된 나무를 세밀하게 가공하는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면 형태는 장방형이며 단면은 장방형 또는 방형을 띤다. 길이는 5~10㎝ 정도 되는 것이 많다. 이암(泥岩)으로 제작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전체 면에 걸쳐 정미하게 마연...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 마제석촉은 화살이나 작살의 끝에 붙여 사용한 석기다. 신석기시대에 출현하여 청동기시대에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석기 중의 하나다. 주거지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무덤의 부장품으로 발견되기도 한다. 주로 사냥용 도구나 무기로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화살대와 결합...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농경용 석기. 반월형석도는 청동기시대 곡식 수확용 석기로 명칭은 둥근 반달 모양의 형태에서 비롯되었다. 중국 신석기시대 앙소(仰韶)문화기에 처음으로 등장했으며,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에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반월형석도의 몸체에는 구멍이 1~2개 뚫려 있어 이 사이에 끈을 꿰어 손가락을 집어 넣어 사용하도록...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 석창은 구석기시대부터 사냥과 전투에 사용된 무기의 일종이다. 청동기시대에 제작된 돌창은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구분된다. 유경식은 검코[劍麵]가 없고 창신(槍身) 바로 아래로 슴베가 이어진다. 무경식은 하부가 직선으로 잘리거나 홈이 있으며, 슴베가 검신보다 얇아 자루에 부착하기에 용이하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어로 도구. 어망추는 그물 끝에 매달아 그물을 물 속에 가라앉힐 때 사용된 도구로, 신석기시대부터 제작되어 사용된 이래 오늘날까지도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어망추는 돌이나 흙으로 제작된다. 돌로 제작된 경우는 돌의 장축이나 가장자리에 홈을 내어 그물을 걸 수 있도록 하며, 흙으로 제작된 경우는...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과 작동에 있는 고강동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 환상석부는 달도끼라고도 하며,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 나무 막대 등을 끼울 수 있게 만든 도끼다. 구멍 둘레가 두텁고 날쪽으로 가면서 얇아져 날카로운 날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크기는 지름이 10~15㎝ 정도이며 마치 원반처럼 생겼다. 날쪽은 깨지고 부서진 것이 많아 사용한 흔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
경기도 부천시 작동 문화유씨 묘에서 출토된 조선 후기 백자 명기류. 문화유씨 묘 출토 유물은 백자 명기류(明器類)로서 전주이씨 사직공파 내동 종중에서 보관하고 있다. 명기는 무덤의 부장품으로 실제보다 작게 축소하여 만들어진 일종의 상징물로서 일반적으로 그릇 종류가 중심이 되나 동물상이나 인물상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정3품 이상의 관직에 종사한 사람들의 묘에 본인들이 생전에 사용한...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 밀양박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호패. 삼정동 밀양박씨 문중에 소장된 호패는 아래와 같이 모두 6점이다. ① 호패1 전면에는 중앙에 박종한(朴宗漢)이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 ‘을유(乙酉)’, 하단에 ‘갑신유학(甲申幼學)’이라고 적혀 있다. 후면에는 ‘부평(富平)’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크기는 가로 2.6㎝, 세로 8.6㎝, 두께 0.6㎝이다...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거주하는 정완섭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유물. 교지 5점, 호패 2점, 문집 1점 등이 있다. 1. 교지 ① 교지1 내용은 “유학정취선문과병과제이십인급제출신자건륭오십구년삼월초십일(幼學鄭取善文科丙科第二十人及第出身者乾隆五十九年三月初十日)”이며, 크기는 가로 62.7㎝, 세로 79㎝이다. ② 교지2 내용은 “이조가경십년정월초십이일봉교전좌랑정취선위통덕랑행이조좌랑자...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화유옹주 묘에서 출토된 조선 후기 유물. 화유옹주(和柔翁主)[1740~1777]는 영조(英祖)와 귀인 조씨(貴人 趙氏) 사이에서 태어난 열 번째 옹주이다. 14세 때인 1774년(영조 29)에 황인점(黃仁點)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아들 황기옥(黃基玉)은 이조참판을 지냈으며, 딸은 김제만(金濟萬)과 혼인하였다. 화유옹주 묘는 원래 부천시 작동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