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경기도 부천 지역에 있던 기독교 관련 소년 단체. 기독교사각소년회는 1926년 10월 9일 미국 YMCA 소년사업위원회의 강령에 의거해 국내 YMCA가 부천군[현 부천시]에 조직한 단체였다. 예수의 자취를 따라 덕육·지육·체육·봉사의 사각적(四角的) 인격 완성과 놀이를 통한 선교 및 민족정신 고취가 설립목적이었다. 기독교사각소년회의 활동은 선교를 목적으로 한 것이지만,...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의 유교의 연원과 전개 및 현황. 유교는 중국의 고대 봉건 국가의 사상·이념 등을 집대성한 것으로, 충(忠)과 효(孝)를 기본으로 각종 예법을 강조하고 있다. 인(仁)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이자 정치학이다. 부천시에는 향교·서원(書院) 등 유교와 관련된...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중망(仲望). 아버지는 한성부 좌윤을 지낸 이세응(李世應)이며, 어머니는 김미(金楣)의 딸이다. 이림(李霖)[?~1546]은 1519년(중종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52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정원 가주서, 승정원 박사를 거쳐, 부수찬에 이르렀다. 1545년(인종 1)에도 윤원형(尹元衡) 일파로부터 모...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의일(依日). 효령대군(孝寧大君)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이진하(李震夏)이다. 이장(李樟)은 1666년(현종 7)에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태어났다. 1719년(숙종 45) 증광시 생원과에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박규문(朴奎文)[1670~1741]·남휘(南徽)[1671~1732]와 함께 부평의 ‘계양삼호걸(桂...
-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문옥(文玉).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안의임씨(安義林氏)이며, 아들은 이성근(李成根)이다. 이제황은 벼슬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오위도총부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훈련원도정(訓鍊院都正) 등에 이르렀다. 이로 보아 국방과 관련된 일에 많이 관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정선이씨족보(旌善李氏族譜)』에 의하면 이제황의 묘는 황해도 재령...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지낸 이형(李泂)이며,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이옥(李沃)의 양자로 들어갔다. 부인은 언양김씨(彦陽金氏)이다. 1610년(광해군 2) 신령현감으로 재직 중에 일을 용렬하게 처리하고 정사를 부하들에게 맡겨 백성들에게 해를 입혔다 해서 파직당했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 산32번지[원미로281번길 35]에 있...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효선(孝善). 증조할아버지는 정욱(鄭勗)이고 아버지는 정진형(鄭震衡)이다. 어머니는 박황(朴愰)의 딸이다. 정술조(鄭述祚)는 1750년(영조 26) 식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벼슬길이 순탄치 않아서 1754년과 1763년 두 번에 걸쳐 유배되었다. 1765년 집의(執義)로 관직에 복귀한 후 1782년(정조 6)에...
-
부천 지역에 연고를 두고 국가나 왕을 위해 충성을 바친 사람. 부천시 고강동에 청동기시대 유적지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이미 부천에는 사람이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고려시대까지 부천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기록은 미약하여 서술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 조선시대의 경우 수도에서 관직 생활을 하다 낙향하거나, 부천에 묘를 쓴 이들 중 국가에 충성을 다한 인물을 적지...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할아버지는 충좌위(忠佐衛)를 지냈던 한홍연(韓弘演), 아버지는 의주목사(義州牧使)를 지낸 한구(韓鉤)이다. 할아버지 한홍연은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에 살다가 춘의동으로 이주했다. 좌집의(佐集義) 등의 관직을 지냈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성지(誠之). 할아버지는 충좌위(忠佐衛)를 지냈던 한홍연이고, 아버지는 의주목사(義州牧使)를 지낸 한구(韓鉤)이다. 한수성의 할아버지 한홍연은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에서 살다가 춘의동으로 이주하였다. 1564년(명종 19) 식년시에 급제하였고, 별좌(別坐)를 거쳐 호조정랑(戶曹正郞)과 금구현감(金溝縣監) 등을 지냈...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수이(受而), 호는 송월당(松月堂). 부천의 청주한씨 입향조(入鄕祖) 한명진(韓明溍)의 6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판서를 지낸 한여수(韓汝溲)이고, 아버지는 한오규(韓五奎)이다. 한숙(韓塾)은 허목(許穆)에게서 학문을 배웠고, 1673년(현종 14) 진사시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 1680년(숙종 6) 편수관에 천거되...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안(仲安), 호는 십주(十洲). 부친은 한준(韓準), 모친은 중추부 도사(中樞府都事) 최정수(崔貞秀)의 딸이다. 부인은 정경부인(貞敬夫人) 능성구씨(綾城具氏)이다. 한여직은 1604년(선조 37) 유릉참봉(裕陵參奉)으로 관직에 나갔고, 1610년(광해군 2)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광해군 때 관직에 나갔지만 곧 사직했고, 1613년...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청주(淸州). 할아버지는 청평군 한언(韓堰)이며, 아버지는 한홍윤(韓弘潤)이다. 1535년(중종 30) 유생의 신분으로 조정을 비방한 죄에 연루되어 귀양형에 처해졌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 산3-1번지에 있다. 묘비만 있고 석물은 없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계수동에 정착한 한명진(韓明溍)의 후손으로, 조부는 한오규(韓五奎), 부친은 한숙(韓塾)이다.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중추부사(同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할아버지는 한숙(韓塾), 아버지는 한덕흠(韓德欽)이다. 지금의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에 정착한 한명진(韓明溍)의 후손이다.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 등을 역임하였다. 1727년(영조 3) 분관(分館)으로 회자(回刺: 승문원에 새로 들어온 사람이 허름한 차림을 하고 밤에 선배들을 찾아다니며 동료로 인정받던 일)하지 않아 귀양 갔...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형왕(亨王). 부인은 전주이씨이다. 묘는 부천시 계수동에 있으며 부인과의 합장묘이다. 묘소에는 묘비, 상석(床石), 혼유석, 향로석(香爐石) 등이 있는데, 1955년에 새로 건립된 것이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공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칙(公則), 호는 남강(南崗). 청평군(淸平君) 한언(韓堰)의 현손이다. 할아버지는 증 이조참판 한진(韓鎭)이며, 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이다. 어머니는 사의(司議) 유조의(柳祖誼)의 딸이며, 부인은 완산최씨(完山崔氏)이다. 한준은 1566년(명조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등용된 이...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무신. 무관의 종7품직인 적순부위(迪順副尉)를 지냈다.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 산3-1번지에 있다. 부인 완산이씨(完山李氏)와의 쌍분이며, 문인석 1쌍, 상석, 향로석, 묘비 등의 석물이 있다....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관원.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한여망(韓汝望)이고, 부인 남양홍씨와의 사이에서 아들 한세보(韓世輔)를 두었다. 한추(韓樞)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태어나 성종(成宗) 대에 구실아치의 우두머리에 해당하는 호장을 지냈다. 또한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조정으로부터 포상을 받았다. 묘는 부천시 작동에 있다. 묘소에는 향로석(香爐石)과 상...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정(士淨). 아버지는 한수성(韓守性)[1522~?]이며, 아내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한탁은 장기현감(長鬐縣監)을 지냈다. 묘소는 부천시 작동에 있는데, 1990년 묘비를 새로 조성하였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청평군(淸平君) 한언(韓堰)이며, 어머니는 박인경(朴仁敬)의 딸 밀양박씨이며, 부인은 군수(郡守) 유군행(柳郡行)의 딸 숙부인(淑夫人) 문화유씨(文化柳氏)이다.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에 활약했던 인물로서 선전관을 지낸 한홍주의 묘는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 산3-1번지에 있다. 부인과의 쌍분이며 묘비, 상석,...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할아버지는 한명진(韓明溍)이며, 아버지는 한언(韓堰)이다. 한홍택은 언양현감을 지냈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황은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에 정착했던 한명진(韓明溍)의 8세손으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역임했다. 증조할아버지는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된 한오규(韓五奎)이고, 할아버지는 형조정랑(刑曹正郞)과 금천군수(金川郡守)를 지낸 한숙(韓塾), 아버지는 한덕흠(韓德欽)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빈(士賓). 어머니는 영조의 딸인 화유옹주(和柔翁主)이고, 아버지는 황인점(黃仁點)이다. 부인은 송형중(宋瑩中)의 딸이다. 3남 1녀를 두었지만, 모두 일찍 세상을 떠나 사촌동생 황기찬(黃基瓚)의 둘째 아들 황종림(黃鐘林)을 양자로 들여 대를 이었다. 황기옥(黃基玉)은 1781년(정조 5) 영희전 참봉으로 관직에 올라, 장악원 주부·...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부마.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락(景樂), 자는 염와(恬窩). 아버지는 호조참판을 지낸 황재(黃梓)이다. 화유옹주와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었다. 황인점은 1751년 영조의 딸인 화유옹주(和柔翁主)와 혼인하여 창성위(昌城尉)가 되었다.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내고, 정조 대인 1776년부터 1793년까지 진하겸사은정사(進賀兼謝恩正使) 1회,...
-
부천 지역 출신이거나 부천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봉양한 자녀. 효는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유교의 도리 중 하나로 삼국시대에 이미 고구려의 태학(太學), 신라의 국학(國學) 등의 교육기관을 통해 충과 함께 교육되었다. 삼국 간 전쟁이 계속되면서 충이 사회 윤리로 강조되었다면,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사회가 안정되면서 국가에 대한 충성과 함께 가족 윤리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