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1년(고종 8) 부천 지역을 포함한 경기도 35개 군의 읍지를 합편한 6책의 필사본. 현재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전해 오는 『경기읍지』는 읍지(邑誌)의 서명(書名)에 ‘동치십년(同治十年)’으로 밝히고 있는 경우가 있어 책을 만든 때가 1871년(고종 8)임을, 그리고 각 군(郡)·읍지의 끝에 지방관의 수결(手決)이 있는 경우가 있어 읍지는...
1899년 5월 읍지상송령에 따라 부평군(富平郡)에서 작성한 읍지. 목차는 채색지도(彩色地圖)‚ 건치연혁(建置沿革)‚ 관직(官職)‚ 성씨(姓氏)‚ 풍속(風俗)‚ 형승(形勝)‚ 산천(山川), 방리(坊里)‚ 학교(學校)‚ 단묘(壇廟)‚ 공해(公廨)‚ 역원(驛院)‚ 불우(佛宇)‚ 교량(橋梁)‚ 시장(市場)‚ 제언(堤堰)‚ 전부(田賦)‚ 해세(海稅)‚ 조적(糶糴)‚ 봉급경비(俸給經費)‚...
조선 후기에 작성된 경기도 부평도호부의 읍지. 수록 항목은 읍호(邑號)·사계(四界)·거경도(距京都)·건치연혁(建置沿革)·진관(鎭管)·속읍(屬邑)·관원(官員)·성씨(姓氏)·풍속(風俗)·산천(山川)·도서(島嶼)·토산(土産)·봉수(烽燧)·학교(學校)·관사(館舍)·역원(驛院)·교량(橋梁)·제언(堤堰)·불우(佛宇)·사묘(祠廟)·총묘(塚墓)·고적(古蹟)·인물(人物) 등이며 대부분이 『신증동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