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도 이선생 우복 정선생 강학유허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069
한자 退陶 李先生 愚伏 鄭先生 講學遺墟碑
영어공식명칭 Toedo Iseonsaeng Ubok Jeongseonsaeng Ganghak-Yuheobi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비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로37길 39-3[성동 17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퇴도이선생 우복정선생 강학유허비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01년 - 이황 출생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63년 - 정경세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570년 - 이황 사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33년 - 정경세 사망
현 소재지 고산서당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산22 지도보기
성격 유허비
양식 대석|비신|개석
관련 인물 이황|정경세
재질 화강석
크기(높이, 너비, 두께) 96㎝[높이]|47.5㎝[너비]|19㎝[두께]
소유자 고산서당
관리자 고산서당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에 있는 조선 전기에 건립된 고산서원의 유허비.

[개설]

조선시대 서원 건축물인 고산서당(孤山書堂)[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은 정확히 언제 건립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과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가 강학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조선 전기인 16세기에는 이미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1690년(숙종 16)에 이황정경세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을 지은 다음 ‘고산서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고산서원은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는데, 지역 유림이 그 옛터를 보존하기 위하여 1872년(고종 9) 퇴도 이선생 우복 정선생 강학유허비(退陶 李先生 愚伏 鄭先生 講學遺墟碑)를 세웠고, 1879년(고종 16)에는 강학계를 조직하여 옛터에 강당만 다시 중건하고 ‘고산서당’이라 편액하였다.

[건립 경위]

퇴도 이선생 우복 정선생 강학유허비는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고산서원의 옛터를 알리고자 지역 유림이 건립하였다.

[위치]

퇴도 이선생 우복 정선생 강학유허비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산22번지 고산서당 내에 있다.

[형태]

퇴도이선생 우복정선생 강학유허비는 화강석 재질에대석(臺石), 비신(碑身), 개석(蓋石)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신은 높이 96㎝, 너비 47.5㎝, 두께 19㎝의 크기이다.

[금석문]

퇴도이선생 우복정선생 강학유허비의 전면에는 ‘퇴도이선생우복정선생강학유허비(退道李先生愚伏鄭先生講學遺墟碑)’라는 비제가 한자로 적혀 있고, 후면의 비문에는 고산서원에 대한 소개와 서원 훼철에 대한 안타까움을 한자로 기록하고 있다.

[현황]

퇴도이선생 우복정선생 강학유허비고산서당 내에 있다.

[의의와 평가]

서원이 철폐된 후 퇴도이선생 우복정선생 강학유허비를 세워 옛터를 보존한 결과, 다시 이곳에 서당을 건립할 수 있었다. 2020년에는 서당 뒤편에 사우(祠宇)를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