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포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333
한자 玉庖驛
영어공식명칭 Okpoyeok(Traffic rout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장순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폐지 시기/일시 1896년연표보기 - 옥포역 폐지
관할 지역 옥포역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지도보기

[정의]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에 설치되었던 교통편의시설.

[관련 기록]

옥포역(玉庖驛)은 『고려사』 권82, 「병지 참역」에서 “전공주도(全公州道)는 21역을 관장한다. 삼례(參禮)[全州], 앵곡(鶯谷)[伊城], 옥포(玉庖)[雲梯]…… 정민(貞民)[懷德]이다”라는 내용이 기록상에서 처음 등장한다. 『세종실록』, 『세조실록』에서는 교통로 개편에 따라 관할역이 변경되었다는 내용이 있으며, 이후 『여지도서』, 『신증동국여지승람』, 『호남역지』, 『호남읍지』 등에 옥포역의 관할역, 위치, 운영 현황에 대한 기록이 있다.

[내용]

옥포역은 고려시대 22개 역로 중에서 전주를 중심으로 전라도 일대와 충청도 공주를 연결하는 전공주도에 속한 역으로, 고산(高山)-연산(連山)-진잠(鎭岑)-회덕(懷德)으로 이어지는 도로망이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 옥포역은 1462년(세종 8) 지방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삼례도(參禮道)의 관할에 들어갔다가, 1457년(세조3) 이조의 건의로 각도 역의 관할을 조정하고 정역 찰방을 두면서 오수도(獒樹道)로 편제되었다. 얼마 후 1462년(세조8)에는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하면서 오수도에서 빠지고, 제원역(濟原驛)·달계역(達溪驛)·소천역(所川驛)·단령역(丹嶺驛)과 함께 제원도 승(濟原道 丞)에 편제되어 조선 후기까지 그대로 이어졌다.

옥포역은 기록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고산현의 동쪽 18리[7㎞]에 있었다고 하여 지금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경천저수지 남쪽 기슭에 있었다. 1765년에 제작된 『여지도서』「전라도 보유편」에서는 고산현 서쪽 30리[12㎞]에 있으며 본역[삼례역]과 60리[24㎞] 거리에 위치하였다고 하였다. 『호남읍지』에서 옥포역고산현 동북쪽 15리[6㎞]에 있었다고 하며,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호남역지』「제원도역지성책」에서는 [제원역에서] 고산 서쪽으로 90리[36㎞] 거리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어 기준점과 방향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옥포역의 운영은 소속된 번인(番人) 100명, 복호(復戶) 6결은 삼례역으로 보내고, 역노비(驛 奴婢), 말, 위전답(位田畓), 보솔(保率), 일수(日守), 수미(需米), 수태(需太)는 제원도에 소속을 넘겼으며, 금구현(金溝縣)에 있는 보용복(補用復)이 30결, 우구복(雨具復)이 16결과 옥구현(沃溝縣)에 있는 대동복(大同復)이 46결이 있었다. 한편 1871년(고종 8)에 편찬된 『호남읍지』에서는 제원도에 역리(驛吏) 174호 모두 소속되었고, 삼례역 역리와 노비가 새로 머무르고 말 4필이 배속되었다고 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호남역지』「제원도역지성책」에서는 옥포역에 중등마 4필이 배정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1896년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철폐되었다.

[의의와 평가]

옥포역은 전라도와 충청도를 지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한 교통시설로, 이 시기 사람과 물자의 이동, 그리고 지역문화 형성과 교류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