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235
한자 居無役里-侍中朴世通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거무역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곽현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 「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 한국학술정보에서 간행한 『내고향의 전설: 경북군 편』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1년 - 「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 영덕문화원에서 간행한 『병곡면지』에 수록
성격 설화|인물 전설
주요 등장 인물 박세통|거북이|용왕
모티프 유형 지명 유래담|동물 보은담|인물담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에 있는 거무역리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은 영덕군 병곡면에 있는 한 마을이 거무역리라고 불리게 된 유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박세통(朴世通)[미상~미상]은 영해박씨(寧海朴氏)로서 고려 시대 최고 관직인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오른 인물이다. 박세통이 고을을 순행하던 중 동해 용왕의 아들인 거북이를 구해 주고 보은을 받은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한국학술정보에서 간행한 『내고향의 전설: 경북군 편』에 실려 있다.

2011년 영덕문화원에서 간행한 『병곡면지』에 수록되어 있으나, 그 채록 경위는 밝혀져 있지 않다.

[내용]

고려 후기 원종(元宗) 시대에 안렴사(按廉使) 박세통이 여러 고을을 순행하던 중의 일이었다. 박세통예주부(禮州府)[영해 지역의 옛 명칭]에 이르렀을 때 한 어부가 거북이 한 마리를 잡았는데, 마을 사람들이 그 거북이에게 짓궂은 장난을 하고 있었다.

박세통이 그 거북이를 자세히 보니 거북이 등에 '왕(王)' 자가 새겨져 있었다. 이를 신이하게 여긴 박세통은 그 거북이를 잡은 어부에게 후하게 곡식을 주고 거북이를 샀다. 그러고는 거북이를 바다로 보내주었다. 그날 밤, 박세통의 꿈에 한 백발노인이 나타나 “나는 동해의 용왕이오. 오늘 내 아들이 나들이를 나갔다가 사람들에게 발견되어 죽을 뻔한 것을 공이 살려주었으니 무엇이라 감사함을 말할 수 없소. 내가 용궁에 있으므로 공을 직접 도울 수는 없지만 공의 집안에 대대로 영광을 베풀도록 하겠소.”라고 말한 후 사라졌다.

박세통은 원래도 덕망이 있고 풍채가 좋기로 유명했지만, 그날부터는 모든 일이 잘 풀리기 시작하였다. 임금의 총애를 받아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라는 고려시대 최고 벼슬에 올랐으며, 그 아들인 홍무 또한 밀직사(密直司) 관직에 오르고, 손자 감(瑊)은 벼슬이 복야(僕야)의 중직에 올랐다. 할아버지, 아들, 손자 3대가 모두 중직에 올랐음은 예주부의 큰 경사였다. 부(府)에서는 그 뒤부터 박세통이 거북이를 구해준 마을에 부역(賦役)을 없앴다. 부역을 없앤 마을이라고 하여, 이 마을을 '거무역(居無役)'으로 부른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의 주요 모티프는 ‘거무역리 이름의 유래’, ‘거북이를 구해준 박세통’, ‘은혜 갚은 거북이’ 등으로 동물 보은담에 속한다. 거북이가 박세통이 베푼 은혜를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내용을 통해 "선한 일을 하면 보답이 따른다."는 인식이 옛 영덕 사람들에게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야기의 등장인물인 박세통은 고려시대 문하시중평장사 관직을 지낸 영해박씨 집안의 실존 인물로서 「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은 실존 인물의 일화를 담은 인물담이다. 또한 「거무역리와 시중 박세통」은 영해 지역의 한 마을이 거무역리라고 불리게 된 유래를 설명하고 있는 지명 유래담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