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국채 보상 운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460
한자 國債報償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권대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07년 2월 - 국채 보상 운동 대구에서 시작
종결 시기/일시 1908년 7월 - 국채 보상 기성회 간사 양기탁이 보상금 횡령 누명으로 구속
발단 시기/일시 1907년 4월연표보기 - 청도 민의소의 선각적인 유림들이 청도군 국채 보상 의연회 조직
전개 시기/일시 1907년 2월∼1908년 7월 - 국채 보상 운동 전개
발생|시작 장소 국채 보상 운동 - 경상북도 청도군
성격 항일 운동|애국 계몽 운동
관련 인물/단체 김일준|박병현|박용재|김명옥|이정우

[정의]

개항기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서 전개된 국채 보상 운동.

[개설]

국채 보상 운동 은 을사늑약(乙巳勒約) 이후 국권 회복 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된 범국민적 운동이다. 국채 보상 운동은 1907년 1월 부산 상무소(釜山商務所)[회두 서상돈]에서 처음 논의되어, 1907년 1월 29일 대구 광문사(大邱廣文社) 사장 김광제(金光濟), 부사장 서상돈(徐相燉), 대동 광문회 회장 박해령(朴海齡) 등 16명이 발기하여 「국채 일천삼백만 원 보상 취지서(國債一千三百萬圓報償趣旨書)」라는 격문을 발송하면서 전국 각처에서 본격적인 모금 운동이 전개되었다. 청도군의 국채 보상 운동은 1907년 4월 청도군 국채 보상 의연회(淸道郡國債報償義捐會)가 조직되면서 청도 민의소를 장악하고 있던 선각적인 유림들이 주도하였다.

[역사적 배경]

대한 제국 시기 청도 지역의 유림들은 청도 민의소(淸道郡民議所)를 조직하고 계몽 운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민의소는 지방 자치 조직으로 민권의 신장이나 민중 의식의 성장에 기초한 것은 아니었으나, 이를 통해 유림의 계몽 운동 참여가 가능하였다.

청도 지역의 경우에도 첨지(僉知) 김일준(金馹俊), 전 참봉(前參奉) 박병현(朴秉鉉), 유학(幼學) 박용재(朴龍在), 전 참봉(前參奉) 김명옥(金明玉), 전 사과(前司果) 이정우(李庭禹) 등의 선각적인 유림들이 계몽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당시 청도 지역의 유력한 사족 가문 출신의 인사들이 청도 민의소를 주도하고 있었는데, 청도 민의소에서 청도 지역 국채 보상 운동을 벌이게 되었다.

[경과]

청도 지역의 유림들은 청도 민의소를 조직하고 계몽 운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청도 민의소의 선각적인 유림들이 주도하여 1907년 청도군 국채 보상 의연회를 조직해 국채 보상 운동을 전개하였다.

청도 민의소를 주도하고 있던 선각적인 유림인 김일준, 박병현, 박용재, 김명옥, 이정우 등이 「청도군 국채 의연 취지서(淸道郡國債義捐趣旨書)」를 발표하였다. 여기에서 청도 지역의 선각적인 유림들은 국민 단체 의무의 짐을 벗고 각자가 서로 노력하여 스스로 빚의 굴레를 벗는데 힘쓸 것을 역설하였다. 뿐만 아니라 1907년 5월 청도 출신의 의병장 최한룡국채 보상 운동에 대해 적극적인 동참을 촉구하는 격문 「국채 상환건(國債償還件)」을 발표하여 대구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국채 보상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주장하였다.

1907년 4월 26일과 27일의 『대한 매일 신보』의 ‘국채 보상 의연금 수입 광고’를 보면, 4월 26일 401원 75전, 4월 27일 422원 45전의 의연금이 모집되어 납부되었다. 광고의 내용을 보면 청도 민의소를 중심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의연금이 모금되고 있다. 김일준, 박병현, 박용재, 김명옥, 이정우 등의 선각적인 유림들을 비롯하여 군수 민영채(閔泳采), 전 참봉 조병희(趙秉禧), 전 주사 이정희(李庭熙), 그리고 채소 장수[菜商], 신발 장수[履商], 주파(酒婆), 걸인(乞人), 기생(妓生) 등이 의연에 참여하였다.

[결과]

국채 보상 운동 은 청도군에서도 청도 민의소를 중심으로 국채 보상 의연회를 조직하고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처음과 달리 친일 단체인 일진회(一進會)를 통해 일제의 방해 공작을 받는 시련을 겪었고, 나아가 일제의 탄압·이간 책동으로 말미암아 좌절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청도군 국채 보상 운동은 청도 지역의 선각적인 유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국권 회복 운동을 대중 운동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