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운한 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0428
한자 成雲翰墓
영어공식명칭 Tomb of Seong Unha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 산30-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606년연표보기 - 성운한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688년연표보기 - 성운한 사망
이장 시기/일시 1721년 5월연표보기 - 성운한 묘 이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창녕 성씨 묘역 정비
현 소재지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 산30-6 지도보기
성격 묘소
관련 인물 성여용|성운한|성호열|낭선군 이우
관리자 성일제

[정의]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성운한의 묘.

[개설]

성운한(成雲翰)[1606~1688]은 본관이 창녕(昌寧)이고, 자는 붕거(鵬擧)이다. 성여용(成汝容)의 아들이자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의 장인이다. 숙종 대의 문신으로 1635년(인조 1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入格)하였으나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낙향하였다가 1650년(효종 1)에 이르러 사재감참봉(司宰監參奉)을 제수(除授)받았다.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을 지냈으며 안협현감으로 나가 마정(馬政)의 폐단을 개혁하고 빈민 구제에 힘썼다.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거쳐 80세에 이르러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가 되었는데, 왕에게 사은숙배(謝恩肅拜)하던 날 관직에 있는 다섯 명의 아들이 모두 조복(朝服)을 입고 좌우로 부축하여 대궐에 나아갔고, 여러 손자들이 수레를 따라 모시고 돌아오니 사람들이 칭송하였다. 맏아들 성호징(成虎徵)이 녹훈(錄勳)되어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위치]

성운한 묘경기도 시흥시 미산동 산30-6에 있다. 창녕 성씨(昌寧成氏) 세장지(世葬地)의 우측 언덕에 있으며, 위로 아버지 성여용(成汝容墓) 묘가 있고, 아래로 현감을 지낸 아들 성호열(成虎烈) 묘가 위치한다. 좌측 언덕에 성세장(成世章) 묘가 있고, 그 우측에 호조좌랑 성완(成玩) 묘소와 재실(齋室) 인현재(仁峴齋)가 있다. 시흥시청에서 부천시 방향으로 국도39호선으로 가다가 시흥시 미산동 간댐마을을 지나 좌측으로 구수미1길로 들어서면 구시미마을 북측 산언저리에 있다.

[변천]

성운한 묘는 처음 경기도 양주의 동쪽 금곡촌(金谷村)에 있었으나, 1721년(경종 원년) 5월 인천부 신현면[지금의 시흥시 미산동] 창녕 성씨 세장지로 이장하였다. 1990년 묘역을 정비하였다.

[형태]

옛 석물로 혼유석(魂遊石), 상석, 향로석, 높이 1.63m의 망주석한 쌍과 높이 87㎝의 동자석 한 쌍이 세워져 있다. 봉분 오른쯕으로 방부원수(方趺圓首) 양식의 높이 1.87m의 묘표(墓表)가 건립되어 있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방부 네 면에는 2단으로 당초문(唐草紋)을 조각하였다.

[금석문]

비신(碑身) 전면에 '유명조선 가선대부 동지돈녕부사 성공운한지묘 증정부인 원주 원씨 부좌(有明朝鮮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成公雲翰之墓贈貞夫人原州元氏祔左)'라 쓰고 뒷면에 음기(陰記)를 기록하였다.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남용익(南龍翼)이 짓고, 사위인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가 썼다. 글씨의 각이 매우 얕으나 보존 상태가 좋다. 건립 연대는 '숭정기원 무진후 61년 무진[1688년] 십이월□일 립(崇禎紀元戊辰後六十一年戊辰十二月□日立)'이다.

[의의와 평가]

성운한 묘는 조선시대 분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묘표의 내용을 당대 유명한 서예가인 낭선군 이우가 썼다. 이우는 전서(篆書)와 예서(隷書)에 출중하여 여러 임금의 보책(寶冊)을 쓰고 서법 이론서인 『임지설림(臨池說林)』과 금석문집인 『대동금석첩(大東金石帖)』을 편찬한 인물이며 성운한 묘표의 글씨는 서예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