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600749
한자 三神
영어의미역 Goddess of Childbirth
이칭/별칭 삼신할머니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부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경직

[정의]

경기도 부천시에서 출산 및 육아와 관련하여 모시는 가신의 하나.

[개설]

삼신은 가신(家神)의 하나로 출산과 육아 및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여신(女神)이다. 삼신제는 아기를 잘 낳고, 아기가 잘 자라며, 집안의 평안과 자손들이 번성하도록 기원을 하는 제사이다. 삼신할머니는 보통 흰색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흰 머리를 한 인자한 할머니 모습의 여신으로 상징된다.

[삼신제 절차]

제일(祭日)은 산후(産後) 3일, 삼칠일(三七日, 21일), 백일, 명절 등으로 거의 공통으로 되어 있다. 제물(祭物)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메밥·미역국·냉수 한 그릇씩 상에 차리고 수저는 올리지 않는다. 아기를 낳고 3일과 7일에 삼신이 오신다고 해서 소위 삼칠일에는 삼신할머니를 모신다. 이때는 신체를 안방에 모시고 새벽에 우물에서 제일 먼저 길어온 정화수(井華水) 한 그릇과 떡시루·미역국을 놓는다. 제주(祭主)인 할머니는 머리를 감고 새 옷을 입으며 언행에 조심하고 또 몸에 상처가 나지 않게 조심한다.

[금기 및 속신]

삼신과 관련하여 부천 지역에서 내려오는 속신에, “아이가 병이 들면 삼색나물과 밥을 차려 아이 머리맡에 놓았다가 바가지에 담아 길 가에 놓는다. 이를 개가 먹으면 병이 낫는다.”라고 하는 것이 있다. 또 “애 낳은 집에 삼칠일은 타인의 통행을 금해야 부정이 안 된다.”라는 금기어가 있는데, 이는 모두 삼신할머니와 연관된 것이다. 동네에 출생이 있으면 살생(殺生)과 빨래를 하지 않으며, 금줄 친 집에 외인(外人)은 출입을 금지한다. 또 아이를 낳을 때 왕겨를 준비해 두었다가 왕겨 위에 태를 놓고 태워버리는 경우가 많다. 태우지 못한 태는 산후 3일 안에 물에 띄워 보내기도 했다.

중동의 자연마을인 섬말에서는 안방 아랫목 구석에 제석(祭席)을 모시는데, 하얀 주머니 안에 깨끗한 쌀을 담아 벽에 걸고 그 위에 고깔을 씌워서 얹어 놓는다. 자손이 잘 되라고 모시는 지석은 삼신할머니라고 한다. 집안에 상(喪)이 나면 부정하다 하여 지석 주머니를 백지로 덮어 두었다가 장례를 마친 뒤 걷는다. 지석 주머니의 쌀은 햇곡이 나면 갈아주는데, 길일(吉日)을 잡아서 갈아준다. 고사를 지낼 때는 백설기를 올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