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0954 |
---|---|
영어공식명칭 | Saeboduk |
이칭/별칭 | 신보(新洑)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영수 |
최초 설립지 | 새보둑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
---|---|
성격 | 제방 |
[정의]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던 보.
[개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1]에는 신보(新洑)로 기록되어 있다. 새보둑은 새로 만들어진 둑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건립 경위]
새보둑은 1900년쯤 서해의 바닷물이 밀려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들어졌다고 한다. 새보둑이 조성되면서 섬말 사람들은 농사짓기가 훨씬 편해졌다고 한다. 새보둑으로 인해 대장동 큰말과 섬말 사이에 큰 농토가 새로 생겨났다. 이후 대장동 큰말과 섬말 북쪽에도 보(洑)가 만들어져 큰말과 섬말 남북쪽으로 드넓은 들판이 생겨나 농사짓기가 편해졌다.
[명칭유래]
새보둑은 농수로로서 한강물을 끌어들여 농사를 짓던 방죽으로 조성된 것이라고 하였다. 정치영은 『지리지를 이용한 조선시대 지역지리의 복원』[2021]에서, “그래서 대규모 수리 시설이 건설되기 시작한 20세기 초 이전에는 큰 강변은 홍수와 가뭄의 피해를 번갈아 입었다. 반면, 골짜기나 분지에서는 상대적으로 제어가 쉬운 계류나 소하천을 이용해 보나 작은 저수지를 만들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벼농사를 영위할 수 있었다.”라고 하였다. 정치영은 이어 “이러한 강거(江居)는 특히 여름철에 하천 범람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인공제방이 건설되기 전에는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은 자연제방(自然堤防) 위를 제외하고는 촌락의 발달이 저조하였으며, 농업보다는 수운(水運)과 관련된 촌락들이 많았다. 범람원, 즉 강변의 충적평야(沖積平野)는 골짜기나 분지에 비해 농경지 개간이 늦어 16세기 이후 농경지가 만들어졌고, 본격적인 개발은 일제 강점기 이후 인공제방을 쌓고 수리시설을 건설하면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지명조사철』[1959] 행정구역명 대장리의 지명[A]의 동부간선 유래에는 “왜정 시 부평들을 개간하여 수리사업을 하기 위한 것으로 한강물을 퍼너어 부평들에 경작용 수리간선[水路幹線]임”이라고 하고 있다.
한도훈의 『부천의 땅이름 이야기』[2001]에는 “새보뚝은 방오리보에 연결해서 큰말을 지나 섬말까지 연결된 둑으로 여겨진다. [중략] 새로 만들어진 둑이라는 것이다. 데보뚝이 만들어지기 훨씬 전에 있던 둑이다.”라고 하였다. 이 새보뚝 덕분에 섬말 사람들의 농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하였다.
『조선지지자료』 부평군 주화곶면(注火串面) 조의 보명(洑名)에 대장리의 방오리보(方五里洑)[20여 년 전에 축성, 현재 내지인[일본인]이 소유]와 함께 신보(新洑)[ᄉᆞㅣ보ㅅ+둑]가 조사되어 있다. 그런데 신보의 비고란에 “십여년전축(十餘年前築) 현금내지인소유(現今內地人所有)”[10여 년 전에 축성, 현재 내지인이 소유]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대략 1900년경에 만들어진 보인 셈이다. 반면 방오리보는 ‘이십여 년 전’에 쌓은 것으로 되어 있어[대략 1890년경] 신보보다 방오리보가 먼저 축성되었고, 신보는 그 뒤 10년 뒤에 되었기에 ‘신보’라고 명명한 것이다. 두 둑 모두 내지인의 소유라고 한 것으로 보아 상동이 일본인들을 위한 정책적인 개발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변천]
새보둑은 동부간선수로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대장분교 앞 들판에 있는 방오리보와 직접 연결되었다. 이 새보둑은 굴포천까지 연결되었다. 대장동 한다리 지역에 굴포천 하수종말처리장이 들어서자 직선으로 가지 못하고 그 외곽으로 휘어진 채 연결되었다.
[구성]
새보둑은 원종동인 거칠개에서 시작한 방오리보에 연결하여 큰말을 지나 섬말까지 연결된 둑이었다.
[현황]
일제강점기 부평수리조합의 관개 지구에는 동부간선 둑, 서부간선 둑, 그리고 수많은 지선 둑과 도랑 둑이 있었다. 현재 동부간선수로 주변에 자리한 데부둑[데부뚝, 간선둑]이 김포에서 출발해 대장동 큰말을 지나 삼정을 거쳐 중동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이 둑보다 훨씬 전인 1900년쯤에 만들어진 둑이다. 현재 대장동에 3차 신도시 건설이 예고되어 있기에 대장동의 크고 넓은 들판과 함께 많은 둑이 머잖아 사라질 운명에 처해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1.01.02 | 새보둑 | <참고문헌> <문헌><저자>김기빈</저자>, <서명 검색어='한국의 지명 유래'>『한국의 지명유래』</서명>1~4(<출판사항>지식산업사, 1990~1997</출판사항>)</문헌> <문헌><저자>이민우</저자>, <서명 검색어='한국지명사전'>『한국지명사전 1993-1994』</서명>(<출판사항>한국교열기자회, 1993</출판사항>)</문헌> <문헌>한도훈, 부천의 땅이름 이야기(부천문화원, 2001)</문헌> <문헌><서명 검색어='부천시사'>『부천시사』</서명>(<출판사항>부천시사편찬위원회, 2002</출판사항>)</문헌> <문헌><서명 검색어='조선지지자료'>『조선지지자료』</서명>(<출판사항>경인문화사, 2007</출판사항>)</문헌> |
2010.12.19 | 새보둑 | 1) <소표제>[정의]</소표제>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지명>에 있던 둑.</문단> -->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지명>에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에서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까지 이어진 둑.</문단> 2) <소표제>[건립경위]</소표제>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새보둑'>새보둑</지명>은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지명>에 연결하여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을 지나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까지 연결된 둑으로 여겨진다. 1900년경 <지명 검색='0' 검색어=''>서해</지명>의 바닷물이 밀려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지명 검색='1' 검색어='새보둑'>새보둑</지명>이 조성되면서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 사람들은 농사짓기가 훨씬 편해졌다고 한다.</문단> -->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새보둑'>새보둑</지명>은 <지명 검색='1' 검색어='원종동'>원종동</지명>인 <지명 검색='1' 검색어='멧마루'></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거칠개</지명>에서 시작한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지명>에 연결하여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을 지나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까지 연결된 둑이다. 1900년경 <지명 검색='0' 검색어=''>서해</지명>의 바닷물이 밀려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지명 검색='1' 검색어='새보둑'>새보둑</지명>이 조성되면서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 사람들은 농사짓기가 훨씬 편해졌다고 한다. <지명 검색='1' 검색어='새보둑'>새보둑</지명>으로 인해 <지명 검색='0' 검색어=''>대장동</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과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 사이에큰 농토가 새로 생겨났다. <지명 검색='0' 검색어=''>대장동</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과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 북쪽에도 보가 만들어져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과 <지명 검색='1' 검색어='섬말'>섬말</지명> 남북쪽으로 드넓은 들판이 생겨나 농사짓기가 편해졌다.</문단> <문단>지금은 <지명 검색='0' 검색어=''>동부간선수로</지명>와 연결되어 있지만 <지명 검색='0' 검색어=''>동부간선수로</지명>가 만들어지기 던에는 <기관 검색='0' 검색어=''>대장분교</기관> 앞 들판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지명>와 직접 연결되었다. 이 <지명 검색='1' 검색어='새보둑'>새보둑</지명>은 <지명 검색='1' 검색어='굴포천'>굴포천</지명>까지 연결되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대장동</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한다리'>한다리</지명> 지역에 <지명 검색='1' 검색어='굴포천'>굴포천</지명><기관 검색='0' 검색어=''>하수종말처리장</기관>이 들어서자 직선으로 가지 못하고 그 외곽으로 휘어진 채 연결되었다.</문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