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1005 |
---|---|
한자 | 長久- |
영어음역 | Janggudeul |
영어의미역 | Janggudeul Field |
이칭/별칭 | 장구평(長久坪)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
집필자 | 권혜령 |
[정의]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던 들 이름.
[명칭유래]
장구들은 장구처럼 생긴 들이 아니라 길게 펼쳐진 들이라는 뜻이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장구평(長久坪)으로 표기되어 있다. 긴 들을 한자로 옮기면서 장구평이 된 것이다. 이름에서 이 일대에 제법 긴 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현황]
장구들은 벌응절리 지역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다. 벌응절리 지역은 벌응절리, 큰말, 건너말, 역골, 사래울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지금의 역곡1동, 역곡2동, 역곡3동 지역이다. 역곡1동에는 벌응절리·큰말·건너말·역골이 있었고, 역곡2동에는 사래울이 있었다. 역곡3동에는 일제강점기 전까지는 사람이 살지 않다가 역골에 경기도 농사시험장과 경기도 잠업시험장이 들어서면서 역골에 살던 사람들이 이주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앞에 감배들·춘교들·장구들이 펼쳐져 있었고, 주민들은 길게 펼쳐진 이 들에서 농사를 짓고 살았다.
역곡역 부근의 철로 변을 중심으로 역곡역 굴다리, 역곡역, 고얀의 새장터까지 이어졌던 장구들은 더 이상 예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지금은 용문내로 이어지던 장구들을 적시던 하천이 복개되어 생활 폐수가 흐르고 있고, 장구들을 가로질러 경인선과 경인고속국도가 뻗어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1.01.02 | 장구들 | <참고문헌> <문헌>한도훈, 부천의 땅이름 이야기(부천문화원, 2001)</문헌> <문헌><서명 검색어='부천시사'>『부천시사』</서명>(<출판사항>부천시사편찬위원회, 2002</출판사항>)</문헌> |
2010.12.20 | 장구들 | 1) <소표제>[현황]</소표제>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은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 지역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 지역은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건너말</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사래울'>사래울</지명>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지금의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1동</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2동</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3동</지명> 지역이다.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1동</지명>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건너말</지명>·<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이 있었고,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2동</지명>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사래울'>사래울</지명>이 있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3동</지명>에는 일제강점기 전까지는 사람이 살지 않다가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에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 농사시험장</지명>과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 잠업시험장</지명>이 들어서면서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에 살던 사람들이 이주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앞에 <지명 검색='1' 검색어='감배들'>감배들</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춘교들</지명>·<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이 펼쳐져 있었고, 주민들은 길게 펼쳐진 이 들에서 농사를 짓고 살았다.</문단>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역'>역곡역</지명> 부근의 철로 변을 중심으로 <기관 검색='1' 검색어='역곡중학교'>역곡중학교</기관>와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시장'>역곡시장</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역'>역곡역</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굴다리</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3동</지명>까지 이어졌던 <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은 더 이상 예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지금은 <지명 검색='1' 검색어='용문내'>용문내</지명>로 이어지던 <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을 적시던 하천이 복개되어 생활 폐수가 흐르고 있고, <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을 가로질러 <지명 검색='1' 검색어='경인선'>경인선</지명>과 <지명 검색='1' 검색어='경인고속국도'>경인고속국도</지명>가 뻗어 있다.</문단> -->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은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 지역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 지역은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건너말</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사래울'>사래울</지명>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지금의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1동</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2동</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3동</지명> 지역이다.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1동</지명>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벌응절리'>벌응절리</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건너말</지명>·<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이 있었고,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2동</지명>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사래울'>사래울</지명>이 있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동'>역곡3동</지명>에는 일제강점기 전까지는 사람이 살지 않다가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에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 농사시험장</지명>과 <지명 검색='0' 검색어=''>경기도 잠업시험장</지명>이 들어서면서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골'>역골</지명>에 살던 사람들이 이주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앞에 <지명 검색='1' 검색어='감배들'>감배들</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춘교들</지명>·<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이 펼쳐져 있었고, 주민들은 길게 펼쳐진 이 들에서 농사를 짓고 살았다.</문단>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역'>역곡역</지명> 부근의 철로 변을 중심으로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역'>역곡역</지명> <지명 검색='0' 검색어=''>굴다리</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역'>역곡역</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고얀'>고얀</지명>의 새장터까지 이어졌던 <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은 더 이상 예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지금은 <지명 검색='1' 검색어='용문내'>용문내</지명>로 이어지던 <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을 적시던 하천이 복개되어 생활 폐수가 흐르고 있고, <지명 검색='1' 검색어='장구들'>장구들</지명>을 가로질러 <지명 검색='1' 검색어='경인선'>경인선</지명>과 <지명 검색='1' 검색어='경인고속국도'>경인고속국도</지명>가 뻗어 있다.</문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