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1952 |
---|---|
영어의미역 | If Go to Kkachiul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구자룡 |
[정의]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활동하는 민경남이 작동[일명 까치울]에서의 삶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구성]
3연 43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때죽나무 밑
끈질기게 돋아나는 잡초와 시름하는
거칠어진 아내의 손이 있다
무작정 퍼져가고 있는 쇠뜨기처럼
까치울 173번지 땅심을 돋우고 있는
오늘 우리들의 하루는
웃고 돌아서야 하는 귀가길이
다정한 눈매로 다가서야 하고
간간이 바람기에 묻어나는
하나가 되어야 하는 가슴으로
소쩍새 울음을 그리워 하는 것인가
봉천이골 동강내고 질주하는 자동차 불빛에
얼비치는 가난해진 내 시력을 원망하며
참빗살나무 발간 이파릴 훈장처럼 달아주고 싶어도
끝내 돌아서야 하는 과녁터
그 이쁜 이름의 땅 위에
쉽게 끝낼 수 없는 노래를
부르고 있는 것인가
아내여
이주단지 앞으로 차거운 겨울바람이 불어와도
이제 다시는 없어야 할
말라붙어버린 당신의 눈물
결코 잊을 수는 없겠지만
젊음이 저만치 가버린 쓰라렸던 시집살이
이제는 잊었노라 남겨두는 돌무덤 하나
아내여
커가는 삼남매 바라보며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아끼고
사랑하는 것까지 닮아가며
맛이 들어가고 있는
요즘의 당신과 내가 아닌가
어둠이 깊어지기 전
둥지를 찾아드는 새들처럼
집으로 떠밀려가는 우리들에게
야생화 머리 위로 살포시 내려앉는
밤이슬의 영롱한 불빛이 별 같이 흐르는
저녁답/ 목마른 나무에 물주고 거름주며
까치울의 파수꾼으로 남아야 할
우리들의 이야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꽃으로만 피어나야 하느니
아내여
아내여―
[의의와 평가]
이 시대의 아내들은 항상 손수건 한 장이 연상될 만큼 마음을 짠하게 만든다. 아내의 길을 걷자면 많은 눈물을 쏟아내야 했고, 그런 아내를 생각하는 이 또한 그만큼 눈물을 쏟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까치울의 아내도 크게 다르지 않다. 끈질기게 돋아나는 잡초와 씨름하느라고 거칠어진 손을 가진 아내가 있다. 잡초같이 억세지 않고서는 험난한 시집살이를 견뎌내지도, 날아갈 듯 약해빠진 가족들을 건사하지도 못했을 것이다.
커가는 삼남매 바라보며 사랑하는 것까지 닮아가는 부부는 그래도 까치울의 파수꾼으로 남길 바라고 있다. 더 잘 살기 위해 살던 터전을 버리고 떠나기만 하는 현대판 유랑민에 대해 반기를 드는 시인 부부의 삶의 방법이다. 집으로 떠밀려가는 이들은 목마른 나무에 물주고 거름 주는 파수꾼의 이야기로 전해질 것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꽃으로만 피어나는 아내와 남편은 가난한 삶과 슬픔, 그리고 고통을 고스란히 땅 밑에 묻어두고 사랑을 거름삼아 자식들을 키워내고 있다. 까치울에 가면 꽃으로만 피어나는 아내, 남편, 부부, 아니 파수꾼의 이야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