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31009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신성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경숙 |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신성리 고암산의 각시앙골에 있던 각시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신성리의 고암산 바로 아래 칠성동마을에 1970년대까지 각시샘이 있었다. 지금은 그 자리에 건물이 들어서 있다. 고암산 아래를 ‘각시앙골’이라고 불렀던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각시샘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한창일 때 없앴다고 전한다. 각시샘에서 물을 마시면 자손이 번창한다고 하여 칠성동마을을 지나는 보부상들이 즐겨 마셨다고 한다.
[채록/수집 상황]
「각시샘」은 2009년 간행된 『고창군지』와 2014년 편찬된 『성내의 역사와 문화』에 수록되어 있으며, 2020년 6월 18일 신성리 주민 노영열[남, 60대]에게서 채록하였다.
[내용]
칠성동마을에서는 전주 이씨와 수원 백씨, 평해 황씨가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왔다. 이들 문중에서는 효자, 효부, 열녀가 많이 배출되었다. 어느 집안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찍 부모를 여의고 성년이 된 한 규수가 혼례를 치렀다. 혼례를 마치고 시댁으로 가는 중 신부를 태운 가마가 고암산 중턱에 이르러 잠깐 쉬고 있었다.
가마가 다시 발길을 재촉하며 고암산 중턱을 질러가기 전이었다. 규수가 가마 창문을 열자 고암산이 둥둥 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규수는 자기도 모르게 “산이 둥둥 뜬다.”라고 말했고, 가마꾼들이 그 말에 고암산을 보느라 그만 헛발을 디뎌 가마가 넘어지고 규수는 중턱 아래에 있는 샘에 빠져 죽었다. 그 뒤로 사람들은 이 우물을 각시샘이라고 하였다.
고암산은 ‘둥둥바우’, ‘둥둥산’으로 불릴 만큼 크고 높았다. 칠성동마을 아낙네들이 고암산 아래 샘에서 목욕을 하다 샘물에 비친 고암산이 둥둥 떠 있는 것처럼 보여서, 놀라서 소리를 쳤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줄포에서 정읍과 순창을 오가던 보부상들이 이 각시샘에서 물을 마시면 자손이 번창한다고 하여 꼭 물을 마시고 지나갔다는 이야기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