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문(子文). 아버지는 행김천군수(行金川郡守)와 해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海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를 지낸 정익주(鄭翊周)이다. 형제로는 형 정진룡(鄭震龍)과 동생 정진붕(鄭震鵬)·정진구(鄭震龜), 이복동생 정진기(鄭震騏)가 있다. 정진호(鄭震虎)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682년(숙종 8)에 태어났다. 1715년(...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자삼(子三). 여흥민씨 장령공파(掌令公派) 29세손이다. 할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이씨(李氏)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김씨(金氏)이다. 민정식은 1853년(철종 4) 지금의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서 태어났으며, 1894년(고종 31) 금부도사를 지냈다. 1926년 종척집사(宗戚執事) 자작(子爵)에 임명되었고, 1937...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한방병원. 부천자생한방병원은 경기도 서부 지역과 부천·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척주 및 관절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하여 2006년 8월 1일 자생한방병원의 네 번째 분원으로 개원하였다. 부천자생한방병원의 진료 클리닉은 척추디스크클리닉·퇴행성척추클리닉·목디스크클리닉·턱관절장애클리닉·관절클리닉·여성클리닉·스포츠상해클리닉·보약클리닉·내과클리닉·성장클리닉·비...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자수(子秀). 증조부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손자인 취성군(鷲城君) 이영(李潁)의 딸과 혼인한 박철정(朴鐵貞)이고, 아버지는 지금의 부천시 역곡1동 안동네에 정착하여 살던 진사 박문필(朴文弼)이다. 어머니는 숙인(淑人) 창녕성씨(昌寧成氏)이고, 통훈대부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을 지낸 박영남(朴英男)이 동생이다. 박기남은...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수(子粹), 호는 서포(西浦). 박조년(朴兆年)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이며,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이다. 외조부는 김희려(金希呂)이며, 부인은 청성군(淸城君) 이걸(李傑)의 딸이다. 형은 박동현(朴東賢)이며, 아들은 금주군(錦州君) 박정(朴炡)이다. 박동선은 158...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앙(子昻), 호는 몽촌(夢村)·석릉(石陵).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을 지낸 김홍도(金弘度), 어머니는 이계백(李繼伯)의 딸이며, 형은 김첨(金瞻)이다. 조부는 김노(金魯), 증조부는 김희수(金希壽)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창녕성씨(昌寧成氏)이고, 장인은 성호문(成好問)이다. 김수는 1573년(선조 6)인 2...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자연생태 박물관. 자연생태박물관은 2000년 청원(靑遠) 조경열(曹景列)이 소장하고 있던 각종 동식물 화석과 곤충·식물·어류 등 335종 8,000여 점의 자연사 관련 소장품을 부천시에 기증하자, ‘21세기 문화 도시 부천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부천시에서 부천 지역 최초로 건립한 박물관이다.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자연을 이해하고 자연에 대한 탐구심을 유...
-
신성한 까치가 날아든 마을 마을 사람들은 언제부턴지는 모르지만 작동을 까치울이라고 불러왔다. 흔히 까치가 많아서 까치울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작동은 까치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온다. 신라의 화랑들이 활쏘기 경연을 벌이던 중 김유신이 쏜 화살을 날아가던 까치가 덥석 물고 이곳까지 날아왔다는 전설이 그것이다. 작동은 지역 면적으로는 매우 작은 마을이지만, 예로부터 왕족의...
-
경기도 부천시에서 자연의 예기치 않은 변동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피해. ‘자연재해대책법’에 의하면 재해는 태풍·홍수·폭풍·해일·폭설·가뭄·지진·기타 이에 준하는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해로서 화재·붕괴·폭발·환경 오염 사고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를 의미하는 재난과는 구분이 된다. 그러나 자연 현상으로 인한 피해 가운데 발생 원인이 궁극적으로 인...
-
경기도 부천 지역의 민간에서 오래 전부터 믿어 온 신앙.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는 당고사(堂告祀)·우물고사·느티나무고사·장승제·산고사(山告祀)를 주로 지내 왔다. 특히 중동 장말도당굿은 부천 고유한 전통 민간신앙으로 잘 보전되어 있다. 이는 부천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개발이 늦게 시작되었던 것에 연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천 지역의 민간신앙을 성격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경기도 부천 지역의 지질, 지형, 기후 등의 지리적 조건. 부천시는 서울시의 위성도시로서 동쪽과 북쪽으로 서울특별시, 서쪽으로 인천광역시, 남쪽으로 시흥시와 접한다. 현재 시청소재지는 부천시 중1동 1156번지[길주로 210]에 위치해 있다. 기반암은 주로 시생대의 결정편암과 백악기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부와 남부에는 성주산(聖柱山)·원미산(遠美山)·매봉재 등 해발고도 2...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옥(子玉). 아버지는 이보현(李普賢)이다. 형제로는 친동생 이만실(李萬實)·이만업(李萬業)·이만집(李萬集)·이만급(李萬及)·이만석(李萬錫)과 이복동생 이만정(李萬禎)·이만희(李萬禧)가 있다. 이만엽(李萬葉)은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643년(인조 21)에 태어났다. 1669년(현종 10)에 실시된 식년시 진...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자온(子蘊), 호는 동리(東里). 할아버지는 윤징(尹澂)이고 아버지는 판서 윤사익(尹思翼)이며 어머니는 정세걸(鄭世傑)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 사마시에 합격하고, 1540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곧 승문원에 들어갔다가 예문관검열겸춘추관기사관((藝文館檢閱兼春秋館記事官)이 되었다. 그 뒤 예조·병조·형...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원(子元). 밀양변씨 시조 변고적(卞高迪)의 14세손으로 고조부는 변중량(卞仲良), 증조부는 지풍주사를 지낸 변길상(卞吉祥), 할아버지는 판사헌감사를 지낸 변을명(卞乙明), 아버지는 우군사정을 지낸 변예생(卞禮生)이다. 산음현감 안진손(安震孫)의 딸 이천안씨(利川安氏)와의 사이에 변강지(卞綱之)·변기지(卞紀之)·변유지...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상설 재래 시장. 부천역 근처에 자리한 자유시장은 부천시가 생기기 전인 소사읍이었을 때부터 현재의 위치에 있었다. 1970년대 말까지 부천 지역의 유일한 재래 시장으로서 단순한 시장이 아니라 서민들이 애환을 나누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자유시장은 청과류·생선류·식료품·방앗간·건어물·정육점·의류·잡화류·화장품·생활 용품·음식점·치킨 집·건강...
-
“1990년대의 자유시장은 오후 네 시만 되면 사방에서 밀려드는 인파 때문에 몸살을 앓았어요.” 부천자유시장상인회의 23대 대표를 역임하고 있는 조길원 이사장. 2005년 인정재래시장 추진위원이 발족된 후 조합이 생긴 것은 불과 2년에 지나지 않지만 시장의 역사를 만들기 위해 전직 회장들을 찾아서 많은 자료를 구축해 놓고 있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지금껏 아무도 관심을...
-
“당시 병원에서 치료하지 못한 환자들도 많이 찾아와서 치료했어요. 약방 노하우가 있었거든요.” “저희 시아버님(고 노병일 씨, 1915년생)께서 한 삼십년 일하시다가 제가 넘겨받았죠.”(김송자, 자유시장 경인약국, 61세) 일제시기부터 자유시장 골목의 터줏대감이었던 경인약국, 지금은 약국이지만 그때만 해도 약방으로 불렸다. 그리고 1972년, 약사였던 며느리 김송자[61세] 씨가...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에서 시행하였던 자전거 이용 활성화 운동. 자전거 타기 운동은 ‘자전거 이용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고유가시대를 이겨내고,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성인병을 예방할 목적으로 추진했던 건강 증진 사업이다. 또한 대기 오염을 감소시키고 교통비로 인한 가계 부담을 줄이려는 의도도 담겨 있다. 구 오정구청과 자전거타기추진위원...
-
고려 중기 계양부 수령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항양(恒陽). 초명은 함순(咸淳), 자는 자진(子眞). 공부상서(工部尙書) 함유일(咸有一)의 아들로, 대경(大卿) 민지령(閔志寧)의 딸과 혼인, 3남 3녀를 두었다. 함수는 명종 때 과거에 병과로 급제하여 기령현위(冀嶺縣尉)에 보임되고, 이어 첨사부녹사(詹事府錄事)·공역서승(供驛署丞)·첨사부주부(詹事府注簿)·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候)·...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관원.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한여망(韓汝望)이고, 부인 남양홍씨와의 사이에서 아들 한세보(韓世輔)를 두었다. 한추(韓樞)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태어나 성종(成宗) 대에 구실아치의 우두머리에 해당하는 호장을 지냈다. 또한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조정으로부터 포상을 받았다. 묘는 부천시 작동에 있다. 묘소에는 향로석(香爐石)과 상...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작동 고택(1)은 부천시 작동 126-1번지[역곡로344번길 15]에, 작동 고택(2)는 부천시 작동 126-13번지[역곡로324번길 33]에, 작동 고택(3)은 부천시 작동 127번지[역곡로324번길 93-22]에 있다. 작동 고택(1)은 개축(改築) 없이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작동 고택(1)의 「상량문(上樑文)」에서 발견된...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자연 마을. 까치울고개 위쪽에 위치해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웃말의 아래쪽에는 응달말이 있다. 성곡중학교를 지나 까치울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까치울고개에 있는 마을로 작동 126번지 일대를 말한다. 까치울초등학교에서 능안골 방면으로 진입하여 약 700m 정도를 가면 우측에 산마루촌이라는 식당이 있고 왼쪽에 ‘민자방 화유옹주 묘’라는 입간판이 보인다. 조선...
-
경기도 부천시 작동의 여흥민씨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 고문서 및 서화·전적. 1. 고문서 고문서 452점, 서화 27점, 전적 121책 등 총 600점이 있다. 고문서는 교지(敎旨)·추수기(秋收記)와 타작기(打作記) 등의 경제 관련 문서·간찰·차용증서를 비롯하여 일제강점기 이후 작동의 마을상을 살필 수 있는 다양한 종류들로 구성되어 있다. 2. 교지 교지는 8점...
-
경기도 부천시 작동의 여흥민씨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 고문서 및 서화·전적. 1. 고문서 고문서 452점, 서화 27점, 전적 121책 등 총 600점이 있다. 고문서는 교지(敎旨)·추수기(秋收記)와 타작기(打作記) 등의 경제 관련 문서·간찰·차용증서를 비롯하여 일제강점기 이후 작동의 마을상을 살필 수 있는 다양한 종류들로 구성되어 있다. 2. 교지 교지는 8점...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거주하는 정완섭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유물. 교지 5점, 호패 2점, 문집 1점 등이 있다. 1. 교지 ① 교지1 내용은 “유학정취선문과병과제이십인급제출신자건륭오십구년삼월초십일(幼學鄭取善文科丙科第二十人及第出身者乾隆五十九年三月初十日)”이며, 크기는 가로 62.7㎝, 세로 79㎝이다. ② 교지2 내용은 “이조가경십년정월초십이일봉교전좌랑정취선위통덕랑행이조좌랑자...
-
경기도 부천시 작동의 청주한씨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고문서와 전적. 고문서 23점과 전적 8책 등 총 31점이 있다. 고문서는 1673년 한세보(韓世輔)[1648~1690]가 진사시(進士試) 3등 20인으로 합격하면서 받은 교지(敎旨)와 시권(試券), 일제강점기 세금 관련 문서 4점, 광무(光武) 연간인 1897~1904년까지 작성된 호적표(戶籍表) 6점 등이다...
-
경기도 부천시 작동의 해주정씨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고문서와 전적. 고문서 5점과 전적 6책 등 총 11점이 있다. 고문서는 교서(敎書) 1점과 교지(敎旨) 4점이 있다. 교서는 1788년 정술조(鄭述祚)[1711~1788]가 78세 때 벼슬을 그만 두면서 받은 것이다. 정술조는 영조와 정조 때 정언(正言)과 호조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교지는 정술조의 둘째 아들...
-
“세 성씨[민씨, 정씨, 한씨]들의 주도로 마을 화합을 해서 서로 돕고 의지하며 살았어요.” 작동은 세 성씨에 해당하는 적은 가구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살아가고 있는 작지만 유대감이 강한 마을이었다. 그래서 이 마을에 가면 이웃집 숟가락이 몇 개인지, 젓가락이 몇 개인지 다 안다는 옛 말을 실감할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의 공동체적인 삶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작동 안동네...
-
“복숭아나무 중간 중간에 거름을 주기 위해 큰 구덩이를 파서 인분을 받고 그대로 썩혀서 활용하곤 했지.” 뒷간과 사돈집은 멀수록 좋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작동 주민들은 이해하지 못할 말이다. 왜냐하면 깊은 산골짜기에서 농사를 짓는 데 인분이라는 천연비료만큼 농민의 근심을 덜어주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 옛날 뒷간 즉 변소는 둥그런 녹강(시멘트로 만든 원통의 못)이나 커...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던 골짜기. 마리란 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 란 이 산꼭대기나 으뜸의 뜻을 지닌 말이다. 따라서 가 마리가 된 것이다. 말무덤은 말이 묻힌 무덤이 아니라 족장의 무덤이 된다. 그래서 처음에 골이라 불렀다가 마리골이 된 것이다. 남쪽은 성주산[217m] 자락을 따라 높은 지형이라 골짜기와 고개가 많다. 작은마리골이 있는 심곡본동이 있...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남성 수도회. 작은예수의 집 설립자인 박성구 신부의 ‘보이는 장애인의 모습에서 보이지 않는 나의 참모습을 발견하라’는 뜻을 받들어, 그리스도의 복음 정신으로 남성 지적 장애인들과 함께하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서울특별시 화양동 본당 신부였던 박성구[예수마리아요셉] 신부가, 어느 날 장애인 부부가 찾아와 자신들의 딱한 처지를 호소하며 도움을...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 안골에서 개롱지로 오르는 고개. 절고개은 개롱지에서 안골로 넘어가는 고개로, 도당동과 약대동에서 여월·까치울·온수동 쪽으로 넘어갈 때 거쳐야 했다. 절고개는 매봉을 등산하는 사람들의 등산로이면서 매봉 봉우리에 있는 군부대의 군사 도로로도 이용되고 있다. 군부대가 있어서 매봉 정상으로는 통하지 못하고 이 고개를 넘어 안골약수터를 거쳐 춘지봉으로 넘어간다. 약수터...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거경(巨卿), 호는 잠조당(潛照堂). 고령 박씨의 시조인 박언성(朴彦成)의 13세손이며, 경기도 평택군 안중면 수촌리에 집성촌을 형성했던 감사공파(監司公派)의 중시조 박광우(朴光佑)의 3세손이다. 할아버지는 태종 대에 사간원정언과 사헌부지평을 지낸 박미생(朴美生)이며, 아버지는 1445년(세종 27) 성균관전적을 지낸...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 범바위산 아래에 있는 약수터. 본래는 장수천약수터라 불렀으나, 약수터에서 북쪽으로 30m 위에 청백리로 이름 높은 전라도관찰사 잠조당 박처륜 묘가 있어, 박처륜의 청렴한 정신을 본받기 위해 잠조당약수터로 명칭을 바꾸었다. 범바위산 아래 신작동 지역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소사본3동 사무소에서 시흥으로 가는 길에 있는 소사공원 위 범바위산 자락으로 올라가면 있...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장개의 어원은 잔개로 ‘잔’은 ‘작다’, ‘개’는 포구를 뜻한다. 그러므로 장갯말은 작은 포구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장끼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전한다. 부천은 예부터 고리울, 약대, 겉저리, 장말, 구지리를 거쳐 서해 조수가 한강 하구를 통해 밀려드는 드넓은 갯벌 지역으로 해산물이 풍부했다. 장갯말도 서해 조수가 밀려들어 여러...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장개의 어원은 잔개로 ‘잔’은 ‘작다’, ‘개’는 포구를 뜻한다. 그러므로 장갯말은 작은 포구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장끼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전한다. 부천은 예부터 고리울, 약대, 겉저리, 장말, 구지리를 거쳐 서해 조수가 한강 하구를 통해 밀려드는 드넓은 갯벌 지역으로 해산물이 풍부했다. 장갯말도 서해 조수가 밀려들어 여러...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산. ‘명산(明山)’에서 ‘명(明)’은 ‘’의 훈차이며, ‘산’은 ‘뫼’의 훈차이다. 천신제를 지낸 산을 보통 ‘명(明)·광(光)’이라는 단어로 훈차한 것으로 보아 아마도 천신제를 지낸 산이라고 하여 명산이라고 한 듯 싶다. 봉배산과 그 뜻이 같다. 명산은 서해 조수가 밀려오는 포구 마을 위에 있는 산이다. 꼭대기에서 나지막하게 내려오게 되면 중턱에...
-
고려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초명은 원재(元載). 후손인 윤승해(尹承解)의 묘지명에서 윤징고(尹徵古)가 윤봉의 후손으로 자신의 조상 중 한 명이라고 밝히고 있다. 윤징고의 아들이 윤희단(尹希旦)이다. 윤징고는 성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목종 때 감찰어사가 되었고, 현종이 즉위한 뒤 시어사가 되고, 1013년(현종 4) 국사수찬관을 겸하였다. 여러 벼슬을 거쳐 1016년 중추원...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비연(斐然). 증조할아버지는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를 지낸 장홍수(張洪壽)이고, 아버지는 충좌위사맹(忠佐衛司猛)을 지낸 장철견(張哲堅)이다. 어머니는 양성이씨(陽城李氏)로 이저(李著)의 딸이다. 장계문은 1504년(연산군 10) 사마시에 합격하고, 1519년(중종 1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던 들 이름. 장구들은 장구처럼 생긴 들이 아니라 길게 펼쳐진 들이라는 뜻이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장구평(長久坪)으로 표기되어 있다. 긴 들을 한자로 옮기면서 장구평이 된 것이다. 이름에서 이 일대에 제법 긴 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장구들은 벌응절리 지역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다. 벌응절리 지역은 벌응절리, 큰말, 건너말, 역골, 사래울로 이루어져...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던 들 이름. 장구들은 장구처럼 생긴 들이 아니라 길게 펼쳐진 들이라는 뜻이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장구평(長久坪)으로 표기되어 있다. 긴 들을 한자로 옮기면서 장구평이 된 것이다. 이름에서 이 일대에 제법 긴 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장구들은 벌응절리 지역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다. 벌응절리 지역은 벌응절리, 큰말, 건너말, 역골, 사래울로 이루어져...
-
경기도 부천시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인간의 4대 통과의례의 하나로, 사람이 운명한 후 시신을 수습하고, 묘지를 만들어 매장하며, 유족들이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며, 상복을 입고 근신하는 기간에 치러지는 여러 가지 과정인 상중에 행하는 모든 예절을 의미한다. 상례는 신종추원(愼終追遠:양친의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에는 공경을 다함)의 효행 정신에...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자연 마을. 장말은 장씨 마을의 줄임말로 덕수장씨가 이 지역에 많이 살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풀이이다. 덕수장씨 시조 장순룡의 12세손인 장몽기가 경기도 평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조선 중기 이후 4백여 년 동안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말의 장자는 긴 ‘장(長)’자로 성씨 ‘장(張)’자와 다르다. 이는 곧 장씨가 정착하기 전에도 장말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 장말에서 매년 음력 10월 10일 열리는 도당굿축제. 장말도당굿은 부천시 중동의 자연마을인 장말[장씨마을의 준말]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도당굿이다. 장말은 덕수장씨가 모여 사는 곳이라고 하여 이름 붙여진 곳이다. 1990년 10월 10일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 경기도당굿으로 지정된 장말도당굿은 동네 사람들이 도당(都堂)에 모여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
-
조선 중기 덕수장씨 부천 입향조. 덕수장씨 시조 장순룡(張舜龍)의 12세손인 장몽기는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경기도 평택에서 부천 장말로 이주하였다. 부천 지역에서는 장몽기가 임진왜란 때 장군으로 활약하다 왜군이 놓은 덫에 치여 장군과 말의 다리가 부러져 잡혔다는 설화가 전한다. 그래서 지금도 장말도당굿을 할 때 도당(都堂)을 모시는 도당할아버지 장한복은 다리 하나가 없는 흉내를 내는...
-
고려 중기 수주(樹州) 장관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홍천(洪川). 상사봉어(尙舍奉御) 장진(張瑨)의 손자이고, 검교군기소감(檢校軍器少監) 장제망(張齊望)의 아들이다. 장문위는 인종 대에 활동하던 문신으로, 처음 고조의 음서(蔭敍)로 서리(胥吏)에 올라 내시로 있다가 과거에 급제한 뒤 명복궁녹사(明福宮錄事)·사문조교(四門助敎)를 역임하였다. 1109년(예종 4) 행영병마녹사(行營兵馬...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 자는 기중(紀中). 아버지 장한공은 중종 때 정국공신 영산군(永山君)으로 포도장(捕盜將)·보성군수·황주목사를 지냈다. 아들은 감찰을 역임한 장민(張敏)이다. 부인은 평강채씨 채윤경(蔡允卿)의 딸이다. 안동장씨는 장세강의 후손이 채윤경의 외손봉사를 위해 김포로 내려와 김포파의 입향조(入鄕祖)가 되면서 부천과 인연을 맺은 것으로 추정된다. 장세강은 무...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충신 장세강의 묘. 장세강(張世綱)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는 기중(紀中)이다. 안동장씨 김포파의 입향조(入鄕祖)로, 아버지는 장한공(張漢公)이다. 장세강은 중종 대에 정국공신(靖國功臣) 영산군(永山君)에 봉해졌고, 시호는 충양공(忠襄公)이다. 1588년(선조 21) 선전관(宣傳官)이 되었고, 임진왜란 때 신립 장군의 종사관(從事官)으로...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 범바위산 아래에 있는 약수터. 본래는 장수천약수터라 불렀으나, 약수터에서 북쪽으로 30m 위에 청백리로 이름 높은 전라도관찰사 잠조당 박처륜 묘가 있어, 박처륜의 청렴한 정신을 본받기 위해 잠조당약수터로 명칭을 바꾸었다. 범바위산 아래 신작동 지역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소사본3동 사무소에서 시흥으로 가는 길에 있는 소사공원 위 범바위산 자락으로 올라가면 있...
-
고려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수주(樹州). 자는 직청(直淸). 개국공신 이희목(李希穆)의 후손으로, 시중 이정공(李靖恭)의 아들이다. 참지정사(參知政事) 이숙(李璹)의 동생으로, 인종의 비(妃)이자 임원후(任元厚)의 딸인 공예태후(恭睿太后)의 외할아버지이다. 이위는 문과에 급제하고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을 거쳐, 1087년(선종 4) 상서병부원외랑(尙書兵部員外郞)으로...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장승이 세워진 마을이어서 장승백이라 하였다. 장승의 어의는 반도를 뜻하는 갑, 곶, 단, 감, 두, 말과 같이 경계를 뜻한다. 장승백이가 있던 주변의 논들을 장승백이들이라 하였다. 신흥동 70~80번지 일대의 마을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며 마을에 들어오려는 악귀를 쫓기 위해 장승이 세워졌다. 부천 IC에서 서쪽으로 300m되는 경인고...
-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에 있던 고개. 시흥으로 넘어가는 장승백이고개와 계수리로 넘어가는 길고개가 만나는 곳에 아마도 장승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역할을 했던 장승은 거리 표지판의 역할까지 하였다. 시흥 뱀내장을 보고 온 마을 사람들은 이 장승을 보고 안심을 했을 것이고, 장승백이를 거쳐 시흥으로 갔던 계수리 범박마을 사람들은 자신의 마을까지 거리를 추산했을...
-
“전통 방식으로 하다 보니 각궁 하나를 만드는 데 재료 준비부터 완성까지 거의 일 년 동안 공을 들여야 합니다.” 일찍이 중국 사람들이 우리 민족을 일컬어 동이족(東夷族)이라 불렀다. ‘동쪽의 활 잘 쏘는 민족’이란 뜻이다. 이는 우리 민족이 선사시대부터 활쏘기를 즐겨 하고 궁시(弓矢)의 제작기술이나 다루는 능력이 뛰어났다는 것을 방증한다. 중요무형문화재 47호 궁시장 김박영 씨는...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던 골짜기. 장자골의 어원은 잔잣골이다. 잔은 ‘잘디 잘다’는 뜻으로 작다는 의미이며, 잣은 ‘위·산꼭대기·등성마루·산·고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장자골은 ‘작은 산’을 말한다. 멀미의 장대봉에 비하면 작은 봉우리이고 작은 골짜기라는 것이다. 장자봉을 장좌봉으로 해석해서 ‘장수가 산봉우리를 깔고 앉아 이름이 붙었다’는 것은 한자로 쓰여진 이름을 재해석해서...
-
고대 부천 지역의 옛 이름. 고구려식 지명인 주부토는 문헌에서 전하는 부천 지역 최초의 지명이다. 이것은 당시 황무지에 둑을 쌓아 농경지로 만들었는데 그 둑이 연이어져 줄보둑→주부토라고 부르는 데서 비롯된 듯하다. 처음 땅이름은 우리말이었는데, 중국에서 한자가 들어온 다음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자 해석식 뜻풀이는 별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 주부토는 삼한시대에...
-
고려시대 부천의 옛 이름. 계양은 계수나무를 뜻하는 ‘계’자와 회양목을 뜻하는 ‘양’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계양이라는 지명은 주부토, 장제, 수주, 안남에 이어 다섯 번째로 쓰인 부천 지역의 행정지명이다. 계양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 부천 지역이 계양도호부가 되면서 처음 쓰였으나, 지금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와 계양산에서 명칭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뿐 과거 계양으로 불렸던 부천시...
-
통일신라시대 부천 지역에 설치한 지방행정구역. 742년 신라 효성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경덕왕은 진골 귀족의 세력을 제압하고 미약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화정책을 실시하였다. 747년에는 중시를 시중(侍中)으로 변경하고, 국학에 제업박사(諸業博士)와 조교를 두어 유학 교육에도 힘쓰는 한편, 748년에는 정찰(貞察)을 두어 백관을 규찰하게 하여 왕을 중심으로 하는 전제왕권 체제를...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복사골 문학회 소속 영상 문학 동인. 희곡, 드라마, 시나리오, 연극, 영화, 사진 등의 매체를 통해 문학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사람들이 결성한 부천 지역의 영상 매체 모임이다. ‘장제(長堤)’는 신라시대 부천의 옛 이름으로 주부토를 두 글자로 줄인 말로 ‘긴 둑 마을’이라는 뜻의 중국식 지명을 본떠 세 글자, 네 글자의 지명을 두 글자로 줄인 말이다. 영상 문...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복사골 문학회 소속 영상 문학 동인. 희곡, 드라마, 시나리오, 연극, 영화, 사진 등의 매체를 통해 문학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사람들이 결성한 부천 지역의 영상 매체 모임이다. ‘장제(長堤)’는 신라시대 부천의 옛 이름으로 주부토를 두 글자로 줄인 말로 ‘긴 둑 마을’이라는 뜻의 중국식 지명을 본떠 세 글자, 네 글자의 지명을 두 글자로 줄인 말이다. 영상 문...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복사골 문학회 소속 영상 문학 동인. 희곡, 드라마, 시나리오, 연극, 영화, 사진 등의 매체를 통해 문학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사람들이 결성한 부천 지역의 영상 매체 모임이다. ‘장제(長堤)’는 신라시대 부천의 옛 이름으로 주부토를 두 글자로 줄인 말로 ‘긴 둑 마을’이라는 뜻의 중국식 지명을 본떠 세 글자, 네 글자의 지명을 두 글자로 줄인 말이다. 영상 문...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들 이름. 장포들은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석천면 상리에 속하는 장포평(長浦坪)으로 표기되어 있다. ‘장포’는 긴 포구를 뜻하므로, ‘긴 포구 앞에 있는 들’이라는 의미로 장포들이라 한 것으로 여겨진다. 장포들은 물문개는 아주 오래 전에 포구였지만, 이 일대가 아주 넓은 들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에서 농사지은 쌀을 세곡미로...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들 이름. 장포들은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석천면 상리에 속하는 장포평(長浦坪)으로 표기되어 있다. ‘장포’는 긴 포구를 뜻하므로, ‘긴 포구 앞에 있는 들’이라는 의미로 장포들이라 한 것으로 여겨진다. 장포들은 물문개는 아주 오래 전에 포구였지만, 이 일대가 아주 넓은 들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에서 농사지은 쌀을 세곡미로...
-
부천 지역에서 장말도당굿을 주재했던 예인. 장말도당굿은 부천시 중동 장말[일명 장씨마을]에서 매년 11월 5일(음력 10월 10일)에 펼쳐지는 도당굿으로, 추수에 대한 감사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에 덕수장씨 일가가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 장말로 이주한 이후 덕수장씨의 조상신을 모시던 굿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이후 장말 지역 무속인들의 창작력이 가미됨으...
-
“학교를 떨어지면 천자문 배우는 애들도 있고, 일을 하는 애들도 있는데, 대부분은 남아서 집안일들을 많이 도왔지.” 지금 우리나라는 의무교육이 정착되어 있고 공부할 수 있는 여건들이 향상되면서 얼마든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비록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립교육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공부에 대한 부담감이 예전에 비해 월등하게 높아졌지만, 적어도 일정 수준까지는 의무적인...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지지자료』에는 옥산면에 속하는 벌응절리(伐應節里)로 표기되어 있다. 한자대로 풀이를 하면 ‘치고 응하는 마을’, 즉 싸움에 대응해서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벌응절리 뒷산을 둔대라고 하는 데, 이 둔대를 군대가 주둔한 곳이라고 해석을 해서 군대가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벌응절리에서 ‘벌(伐)’은 개간되지...
-
경기도 부천시 중동 부천시민회관에서 매년 5월 열리는 전국 규모 시조 경창대회. 전국남여시조경창대회는 수도권과 부천 지역 시조경창인 30여 명에 의해 발족된 대한시우회 부천지부가 시조와 시조경창의 계승, 발전을 위해 1992년부터 전국 규모로 개최하기 시작했다. 전국남여시조경창대회의 참가 자격은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로 을부(평시조), 갑부(사설시조), 특부(남창질음·여창질음...
-
경기도 부천시에서 매년 4~5월 열리는 전국 규모의 무용 경연대회이다. 복사골전국무용경연대회는 무용 경연을 통하여 무용 전공자들에게 자기 표현의 기회를 열어주고, 역량 있는 무용 인재를 발굴하는 동시에 부천시 무용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 1999년부터 개최하게 되었다. 복사골전국무용경연대회 참가 자격은 전국 초등부·중등부·고등부·대학부(일반부)로 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전통...
-
경기도 부천시 심곡동에 있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경기본부 산하 지구협의회.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경기본부 부천시흥김포지구협의회는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과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노동조건 확보, 노동기본권 쟁취, 노동 현장의 비민주적 요소 척결, 산업재해 추방과 남녀평등의 실현을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경기남부지역협의회, 경기동부지역협의회, 경...
-
경기도 부천시 심곡동 부천대학 한길관에서 매년 5월 개최되는 전국 학생 대상 만화 공모전. 전국학생만화공모전은 만화에 대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관심과 창작 의욕을 고취하고 미래의 한국 만화계를 이끌어 나갈 만화 꿈나무들을 발굴, 육성하기 위해 2000년부터 개최되었다. 전국학생만화공모전의 응모 자격은 전국 초등부(저학년부·고학년부)·중등부·고등부이고, 응모 부문은 카툰 부문과 이야...
-
경기도 부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1955년 박태선이 창설한 신종교. 천부교의 교리는 구원을 얻기 위해 자유율법을 준수하고 이슬성신을 통해 죄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교의 창시자인 박태선 장로가 육신을 입고 온 하나님이라고 믿는다. 천부교를 전도관, 신앙촌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믿는 사람끼리 있으면 믿음이 가중되고 은혜를 받은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면 은혜가 더 상승된다.”는...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예부터 전승되는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이나 심리를 나타낸 노래. 전래 동요는 우리의 고유음계인 5음 음계(라·도·레·미·솔)의 단순한 가락에 실려 전승되어온 동요이다. 전래 동요의 가락은 쉽고 단순하기 때문에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쉽게 익힐 수 있고 부를 수 있다. 부천 지역에 구전되고 있는 전래 동요는 자연발생적인 동요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부천이 갑작스...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는 벌판. 『조선지지자료』에는 전야(前野)로 표기되어 있다. 방오리보를 따라 형성된 들을 가리키는데, 앞벌은 큰말 앞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방오리보가 축조되기 전에는 개별적으로 둑을 막아 농사를 지었지만 방오리보가 축조된 후 커다란 벌판이 조성되었다. 현재는 넓게 형성된 대장리들에서 밭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근에는 덕산초등학교 대장분교장이 위...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는 들. 번개들은 『조선지지자료』에 대장리에 속하는 전야(電野)로 되어 있고 ‘번개뜰’이라고 해놓았다.번개들의 번은 ‘벌어진’의 뜻이며, 개는 포구의 우리말이다. 우리말 번개가 한자로 표기되면서 ‘전(電)’이 된 것이다. 즉 포구를 막아 둑을 만들고 들을 만들어서 들을 넓혔다는 뜻의 번개들이 된 것이다. 번개들은 대장 큰말에서 섬말 앞에 새보둑을 만들면서...
-
조선 중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기인·환술가. 한양 출신의 선비인 전우치는 역질을 도술로 예방하였으며 환술과 기예에 능하고 귀신을 잘 부렸다고 한다. 현재의 부천 지역을 포함하고 있던 부평 지역에 역질이 성행하자, 부평현감 이길(李佶)이 도술을 잘 쓰는 전우치를 초청하여 역귀들을 쫓아내고 전염병을 물리쳤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부천 지역에서는 또 죽은 전우치가 산 사람에게 『두공부시...
-
일제강점기 부천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전원순은 1919년 3월 24일 오후 2시경 경기도 부천군 계양면 장기리 황어장에서 심혁성이 태극기를 흔들며 조선독립만세 시위를 이끌다 체포되자 심혁성을 구출하기 위해 3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일본 순사들과 대립하였다. 그 와중에 이담의 친족인 이은선(李殷先)이 순사의 칼에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에 전원순은 마을 사람들을 규합하여...
-
“왜정 때 남자들은 결혼을 해서 호주로 되어 있으면 징병을 가지 않기 때문에 결혼들을 일찍 했고.” 송내동에는 이제 지역 원로 분들이 거의 계시지 않는다. 그 중에서 조순천, 박병설 할아버지는 송내동에서 거의 가장 연세가 많으신 분들이시다. 그렇기 때문에 송내동에 일어났던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많이 간직하고 계셨다. 특히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은 수십 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술...
-
"휴전되기 전에 결혼을 하게 됐어요. 내가 여기 올 때 군대에서 휴가증을 떼어 줬거든요.” 초록마을 춘의동이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새마을 운동이 일어난 직후부터였다. 그러나 조금만 더 거슬러 올라가면 일제하에서부터 근대화의 조짐이 있었다. 예로부터 춘의동 주민들은 농사짓는 일을 생업으로 여기며 살았는데 일제시기에 이곳에 민간공항이 들어서면서 공항으로 가는 길을 내기 위해 도로를 확...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에 있던 마을 이름. 전적굴의 ‘전적’은 한자로 앞 전(前), 쌓을 적(積)이므로 곧 앞둑마을이다. 마을 앞에 둑이나 토성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전적굴은 시우물 삼정종합사회복지관에서 부천체육관 쪽으로 가는 길목에 있던 포구 마을로 지금은 약대주공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2007년에 부천 약대주공아파트 주택 재건축 정비 구역으로 지정되었는데 전체 면적 10만...
-
이한을 시조로 하고 효령대군파의 이옥·이성의, 임영대군파의 이경, 밀성군파의 이양·이병덕, 덕흥대원군파의 이명인·이종응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부천시의 세거 성씨. 전주이씨는 신라 문성왕[839~856] 때에 사공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한다.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이한의 21세손이다. 그러나 이성계의 고조부인 목조 이안사(李安社) 이전의 사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이안...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 조성된 전주이씨의 가족 묘역. 도당산 남동쪽 능선을 따라 조성되어 있고, 도당동과 경계를 이룬다. 부천종합운동장 사거리에서 서울, 김포공항 방향으로 직진하다가, 여월 정수장 삼거리에서 아래 길로 250m 가, 안골로 우회하여 300m 가량 들어가면, 음식점 맞은편에 전주이씨 종중 재실과 묘역의 진입로가 있다. 이옥 묘는 부인 남...
-
부천 지역은 과거 부평 지역으로 부평도호부가 자리하고 있던 계양산 밑으로 해서 김포를 경유하여 서울로 가던 큰 길이었다. 이후 경인철도가 개설되면서 소사역(素砂驛)이 생겼고 자연스레 역 주변에 시장이 생기게 되었는데, 그 시장이 바로 소사삼거리 초입에 있었던 소사장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경기도 시흥의 뱀내장 터와 경기도 김포의 황어장 터를 오가던 길목에 있었던 유명한 우시장이 있었...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던 들. 아랫소새마을과 윗소새마을 앞에 있는 들이라고 하여 압들이라고 불렀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전평(前坪)으로 기록되어 있다. 소사리에 속한 것으로 되어 있다. 중림재 개울 아래인 현태굴다리 위까지는 서해 조수가 밀려들어 왔는데, 서해 조수가 미치지 못하는 상류쪽으로는 일찍부터 들판이 조성되었다. 이 들을 가리켜 압들이라고 한다. 압들 인근으로는 산지가...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 안골에서 개롱지로 오르는 고개. 절고개은 개롱지에서 안골로 넘어가는 고개로, 도당동과 약대동에서 여월·까치울·온수동 쪽으로 넘어갈 때 거쳐야 했다. 절고개는 매봉을 등산하는 사람들의 등산로이면서 매봉 봉우리에 있는 군부대의 군사 도로로도 이용되고 있다. 군부대가 있어서 매봉 정상으로는 통하지 못하고 이 고개를 넘어 안골약수터를 거쳐 춘지봉으로 넘어간다. 약수터...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에 있는 골짜기. 조선지지자료에는 개롱지가 없고, 도당리에 속하는 개롱산이 있다. 도당리에 속하는 절골, 중주군골로 되어 있다. 이곳을 주민들은 대부분 개롱지로 부르고 있다. 개롱지는 길옹지가 변한 이름이다. 길옹지란 길게 파여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개롱골이라고 하지 않은 것은 개롱지가 다른 골짜기처럼 깊게 파여 있지 않고 평평하게 이루어진 데서 비롯된 것으로...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서 절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절골 설화」는 작동(鵲洞)의 절골이란 명칭에 대한 지명유래담이다. 절골은 작동 까치울에서 서울 양천구로 넘어가는 길을 따라서 올라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조선지지(朝鮮地誌)』에는 사곡(寺谷)이라 표기되어 있다. 1996년 부천문화원에서 간행한 『부천문화의 재발견』, 2001년 부천문화원에서 발행한 『부천의 땅이름 이야...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지지자료』에는 점촌(店村)인 점말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 후기 박해를 받던 천주교 신자들이 이 마을로 들어와 생계를 위해 질그릇을 구운 데서 옹기마을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겼다. 마을 이름에 ‘점’자가 들어간 동네는 거의 옹기나 그릇과 관련이 있는 마을이다. 1866년(고종 3) 천주교 신자들이 병인박해를 피해 들어와 마을을 이루었다....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서 개똥이와 점복에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부천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부천시사』에 실려 있는데, 부천시 중동에 현지조사를 나가 주공아파트 노인정에서 총무(남, 60)와 인터뷰하여 채록하였다. 옛날 한양 땅에 눈먼 점쟁이가 “무이리쇼, 왜이리쇼” 하며 길을 걷고 있었는데, 지금으로 말하면 서소문가쯤 되는 곳에 사는 장난기 많고 짓궂은 개똥이...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지지자료』에는 점촌(店村)인 점말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 후기 박해를 받던 천주교 신자들이 이 마을로 들어와 생계를 위해 질그릇을 구운 데서 옹기마을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겼다. 마을 이름에 ‘점’자가 들어간 동네는 거의 옹기나 그릇과 관련이 있는 마을이다. 1866년(고종 3) 천주교 신자들이 병인박해를 피해 들어와 마을을 이루었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유안(幼安). 친아버지는 정진항(鄭震恒)이고, 양아버지는 정진걸(鄭震傑)이다. 형제로는 형 정기조(鄭耆祚)가 있다. 정낙조(鄭樂祚)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710년(숙종 36)에 태어났다. 1741년(영조 17)에 실시된 식년시 생원과에서 을과 6위로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지(榮之). 증조할아버지는 정언복(鄭彦福)이고, 할아버지는 정관(鄭慣)이며, 외할아버지는 유회(柳淮)이다. 아버지는 통훈대부행전옥서봉사(通訓大夫行典獄署奉事)를 지낸 정광전(鄭光前)이고, 형은 정도형(鄭道亨)·정도성(鄭道成), 장인은 임지간(林智幹)이다. 정도영은 1601년(선조 34)에 태어났으며, 1627년(인조 5...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충직하고 협동하는 민주 시민, 올바른 사고와 가치관을 지닌 지성인, 천성을 지켜 노력하는 노력인, 땀 흘려 일하고 근검절약하는 경제인, 정서가 안정되고 심신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극기·노력’이다. 1978년 4월 29일 학교법인 계림학원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4년 6월 4일 김용창 이사장이...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충직하고 협동하는 민주 시민, 올바른 사고와 가치관을 지닌 지성인, 천성을 지켜 노력하는 노력인, 땀 흘려 일하고 근검절약하는 경제인, 정서가 안정되고 심신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극기·노력’이다. 1978년 4월 29일 학교법인 계림학원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4년 6월 4일 김용창 이사장이...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참되고, 정의롭고, 슬기롭게’라는 교훈에 부합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교육목표이다. 1978년 4월 29일 학교법인 계림학원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4년 초대 이사장으로 김용창이 취임하였다. 1987년 1월 22일 정명여자상업고등학교 설립을 신청하여 1988년 3월 9일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박...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참되고, 정의롭고, 슬기롭게’라는 교훈에 부합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교육목표이다. 1978년 4월 29일 학교법인 계림학원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4년 초대 이사장으로 김용창이 취임하였다. 1987년 1월 22일 정명여자상업고등학교 설립을 신청하여 1988년 3월 9일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박...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효선(孝善). 증조할아버지는 정욱(鄭勗)이고 아버지는 정진형(鄭震衡)이다. 어머니는 박황(朴愰)의 딸이다. 정술조(鄭述祚)는 1750년(영조 26) 식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벼슬길이 순탄치 않아서 1754년과 1763년 두 번에 걸쳐 유배되었다. 1765년 집의(執義)로 관직에 복귀한 후 1782년(정조 6)에...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서(君瑞), 호는 정양당(靜養堂). 부친은 이극성(李克成)이다. 이경운(李卿雲)은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555년(명종 10)에 태어났다. 1598년(선조 31)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1년 10월 양주의 경차관으로 있으면서 양전(量田: 세금 부과를 위해 실제 토지 양을 파악하는 일)을 제대로...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국맥(國脉), 호는 정우공(正宇公). 밀양변씨 15세손이다. 부인은 의인(宜人) 청산김씨(靑山金氏) 김치제(金致齊)의 딸, 의인 고성이씨(固城李氏) 이수(李陲)의 딸이다. 아들은 합천군수를 지내고 좌통례(左通禮)에 추증된 변응몽[1519~?]이다. 아버지는 절도사와 공조판서, 순변사 등을 지냈고, 공장(恭莊)이란 시호를...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명절 풍습. 정월대보름 풍속은 전국적으로 비슷비슷하다. 부천은 대보름 전날부터 보름쇠기를 시작했는데, 추석 다음으로 가장 둥그런 보름달을 보면서 일 년 동안 무병기원과 풍년 농사를 기원하는 갖가지 행사가 행해졌다. 보름 전인 열나흘 날 좁쌀, 팥, 수수, 콩, 보리 등으로 오곡밥을 지어 먹었다. 아홉 가지 나물에 아홉 번을 먹...
-
조선 후기 부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평양(平壤). 남편은 정응복(鄭應復)이고, 아들은 정사수(鄭師洙)이며, 며느리는 창녕성씨(昌寧成氏)이다. 평양조씨는 1736년(영조 12) 가묘(家廟)에 크게 불이 나자 며느리 창녕성씨와 함께 위험을 무릅쓰며 불을 끄다가 세상을 떠났다. 사후에 며느리 창녕성씨와 함께 열녀로 정려(旌閭)되었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공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칙(公則), 호는 남강(南崗). 청평군(淸平君) 한언(韓堰)의 현손이다. 할아버지는 증 이조참판 한진(韓鎭)이며, 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이다. 어머니는 사의(司議) 유조의(柳祖誼)의 딸이며, 부인은 완산최씨(完山崔氏)이다. 한준은 1566년(명조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등용된 이...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에 있던 마을 이름. 정주는 우리말로 ‘살말’이라고 표기할 수 있다. ‘살’은 물가, ‘말’은 마을을 뜻한다. 곧 ‘바닷가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정주는 물가에서 조금 위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일반적으로 작은 마을은 골·굴·실·말 등으로 표기하고 한자로는 골 곡(谷)자를 써서 표기하는데, 고을 주(州)로 표기한 것으로 미루어 꽤 큰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기소(其所). 아버지는 정시묵(鄭時黙)이며, 동생은 정상선(鄭尙善)과 정종선(鄭宗善)이다. 정지선은 1813년(순조 13) 실시된 증광시에서 진사 47인 중 3등으로 합격하였다....
-
일제강점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정지용은 1902년 음력 5월 15일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하계리에서 출생하였다. 1926년 『학조』 창간호에 「카페·프란스」를 비롯하여 동시 및 시조를 발표하였으며 1930년 『시문학』 동인으로 참가하는 등 1930년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1933년 『카톨릭 청년』의 편집 고문을 맡았으며 1939년 『문장』 추천위원이...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2동 시인 정지용이 살던 집에 세운 기념표석. 정지용(鄭芝溶)[1902~1950]은 현대시사에 큰 족적을 남긴 시인이다. 정지용이 부천에 거주했던 사실은 이미 구자룡이 부천 천주교사 자료를 수집하던 중에 밝혔다. 정지용은 1943년 일제강점기에 일어난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열세해지면서 내려진 소개령으로 부천에 3년 간 살았다고 한다. 당시 소사읍 소사리는...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2동 시인 정지용이 살던 집에 세운 기념표석. 정지용(鄭芝溶)[1902~1950]은 현대시사에 큰 족적을 남긴 시인이다. 정지용이 부천에 거주했던 사실은 이미 구자룡이 부천 천주교사 자료를 수집하던 중에 밝혔다. 정지용은 1943년 일제강점기에 일어난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열세해지면서 내려진 소개령으로 부천에 3년 간 살았다고 한다. 당시 소사읍 소사리는...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정지용의 시비. 2003년 7월 부천시 소사본동 주민자치위원회에서 고향을 사랑하고 아끼자는 뜻으로 소사동에 살았던 정지용의 시를 돌에 새긴 석비를 세웠다. 정지용은 일제강점기 때 부천군 소사읍으로 내려와 3년간 부천 지역에 거주하면서 소사성당 창립에 앞장을 서 부천 천주교회사에 큰 업적을 남긴 천재 시인이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첨(伯瞻). 아버지는 이인도찰방을 지낸 정후주(鄭後周)이다. 형제로는 동생 정진숭(鄭震嵩)·정진화(鄭震華)·정진항(鄭震恒)이 있다. 정진태(鄭震泰)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천도호부에서 1666년(현종 7)에 태어났다. 1713년(숙종 39)에 실시된 증광시 진사과에서 병과 44위로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
-
조선 후기 해주정씨 부천 입향조. 본관은 해주(海州). 고조부는 정호학(鄭好學), 증조부는 정도창(鄭道昌), 할아버지는 정부(鄭腑)이다. 친부는 정후주(鄭後周)이고 양부는 주부공파 13세손 정세주(鄭世周)이다. 정진형(鄭震衡)은 조선 후기에 부천의 옛 지역인 부천도호부에 정착하여 해주정씨 입향조(入鄕祖)가 되었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문(子文). 아버지는 행김천군수(行金川郡守)와 해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海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를 지낸 정익주(鄭翊周)이다. 형제로는 형 정진룡(鄭震龍)과 동생 정진붕(鄭震鵬)·정진구(鄭震龜), 이복동생 정진기(鄭震騏)가 있다. 정진호(鄭震虎)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682년(숙종 8)에 태어났다. 1715년(...
-
경기도 부천시에서 지역민을 통해 획득한 권력을 행사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현대 정치사는 대체로 대의제적 민주주의가 시작된 광복 이후부터를 의미하는데, 이 시기 이후에야 비로소 부천도 독자적인 행정 구역으로 편성되고 선거구를 갖춘 정치 체제로 성장해 왔다. 복잡한 차원이 중첩된 부천의 정치를 다루기 위해서는 외생적 차원과 내생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접근해 볼 수 있는...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수(子粹), 호는 서포(西浦). 박조년(朴兆年)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이며,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이다. 외조부는 김희려(金希呂)이며, 부인은 청성군(淸城君) 이걸(李傑)의 딸이다. 형은 박동현(朴東賢)이며, 아들은 금주군(錦州君) 박정(朴炡)이다. 박동선은 158...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연연(淵淵). 아버지는 정업이고, 형은 정홍유(鄭弘儒), 동생은 정홍구(鄭弘求)·정홍수(鄭弘秀)이다. 정홍연은 1723년(경종 3)에 태어났으며, 1753년(영조 29) 실시된 식년시에서 진사 3등 77인으로 합격하였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후경(厚卿, 後卿). 아버지는 통덕랑을 지낸 정욱(鄭勗)이다. 형제로는 동생 정징주(鄭徵周)가 있다. 정후주(鄭後周)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천도호부에서 1645년(인조 23)에 태어났다. 1699년(숙종 25)에 실시된 증광시 생원과에 병과 2위, 진사과에 을과 24위로 급제하여 생원 및 진사가 되었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순부(淳夫), 호는 허암(虛庵). 부친은 철원부사를 지낸 정연경(鄭延慶)이다. 정희량(鄭希良)[1469~?]은 1492년(성종 23)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나, 성종이 죽자 태학생, 재지유생(在地儒生)과 더불어 올린 소가 문제되어 황해도 해주에 유배되었다. 1495년(연산군 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
-
경기도 부천시에서 민물고기인 어린 잡어를 고추장을 풀고 양념해 끓이면서 수제비나 국수를 넣어 먹는 향토음식 여름철 작동 베르네 하천 등에서 남자들이 천렵 하여 잡은 작은 민물고기를 고추장을 풀고 국수나 수제비를 넣어서 끓여 먹던 음식이다. 한강 하류에 위치한 부천은 동부와 남부에는 200m안팎의 산이 형성된 낮고 완만한 지형이며 북서부로는 여러 개의 하천이 흘렀다. 하천이나 못에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던 논. 제비군논은 제비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제부군논의 발음이 변하여 된 이름이다. ‘제부(堤阜)’란 둑을 일컫고, ‘군논’은 깊은 논을 말하므로 제부군논은 ‘둑을 쌓아 만든 깊은 논’을 뜻한다. 중동 78~79번지 일대에 된벌이라는 논이 있었는데 한라마을과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둔 곳으로 제비군논과 된벌 일대에서 농사를 지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원...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던 논. 제비군논은 제비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제부군논의 발음이 변하여 된 이름이다. ‘제부(堤阜)’란 둑을 일컫고, ‘군논’은 깊은 논을 말하므로 제부군논은 ‘둑을 쌓아 만든 깊은 논’을 뜻한다. 중동 78~79번지 일대에 된벌이라는 논이 있었는데 한라마을과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둔 곳으로 제비군논과 된벌 일대에서 농사를 지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원...
-
양을나를 시조로 하고 양주영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부천시의 세거 성씨. 모든 양씨는 제주도의 신 양을나를 단일 시조로 하는 동계 혈족으로, 처음의 성씨는 양(良)이란 한자로 표기되었다. 그러다가 신라 태종무열왕[654~660] 때 제주의 왕족인 양탕이 신라에 들어가 광변사가 되면서 양성(梁姓)을 하사받음으로써 두 가지 표기가 생겨나게 되었다. 즉 제주도의 토박이 양씨인 제양(濟梁...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있는 재래 시장. 조공시장은 1987년에 개설된 시장으로서 상점 수는 많지 않으나 현재까지 20여 년 이상 운영되고 있다. 총 90개의 점포가 있는데 크게 청과류, 식료품류, 의류, 잡화류, 음식점, 기타 점포로 구성되어 있다. 청과류 가게로는 상아과일나라·예지청과·조공과일이, 생선류 가게로는 옥이네·조공생선이, 식료품류 가게로는 부산대원어묵·여주쌀상회·조이...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지지자료에 옥산면에 속하는 한자로는 조종리(朝宗里)라 표기하였다. 조마루에 가장 먼저 정착한 사람은 창녕조씨(昌寧曺氏)로, 조씨가 종가를 이룬 마을이라 하여 처음에는 조종리(曹宗里)로 불리다가 한자가 바뀐 조종리(朝宗里)가 되었고, 이를 풀어 조마루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성씨 조(曺)’가 언제부터 ‘아침 조(朝)’로 바뀌었는지는 알...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복사골 문학회 소속 수필 문학 동인. 조마루란 해 뜨는 언덕이라는 뜻이며, 지금의 부천시 원미1동 구 원미구청 뒤쪽 원미계량소가 있는 곳을 말한다. 원미동 이전에는 조종리(朝宗里)라 불렸는데, 조마루의 조는 이곳이 창녕조씨(昌寧曺氏)의 집성촌인 데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성씨 조(曺)가 언제 아침 조(朝)로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다. 마루는 신라 때 왕이 높은...
-
일제강점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전국적으로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부천군 용유면 남북리[현 인천광역시 중구 남북동]에 살던 조명원은 1919년 3월 23일과 3월 24일 동네 청년 조종서(趙鍾瑞)·최봉학(崔奉學)·문무현(文武鉉)과 함께 혈성단(血誠團)을 조직하여 3월 28일을 거사일로 잡고 참여를 촉구하는 격문을 남북리[현 인천광역시 중구...
-
조선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유원(孺元). 아버지는 임피현령을 지낸 조이순(趙頤淳)이다. 1846년(헌종 12) 진사시에 급제하여 1849년 동몽교관으로 벼슬길에 나아갔다. 이후 장수현감, 광주판관, 밀양부사, 홍주목사, 영유현령을 거쳐 1866년 8월 부평부사로 부임하였다. 1866년 8월 13일 프랑스 전함 3척이 부평도호부[현 인천광역시와 부...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자는 자경(子敬), 호는 경은(耕隱). 증조할아버지는 조하(趙何)이고, 할아버지는 조세경(趙世卿)이다. 아버지는 개국공신으로 참찬문하부사를 지낸 조반(趙胖)이고, 어머니는 사온서 직장을 지낸 이양오(李養吾)의 딸 경주이씨이다. 형제로는 형 조서로(趙瑞老)가 있다. 조서강(趙瑞康)은 1414년(태종 14) 생원시에 급제하고,...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 있던 통나무 다리. 내동에서 삼정, 약대로 가는 길에 조석다리와 얼미다리가 놓여 있어 자유롭게 왕래를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수도길이 놓여져 이 길로 마차가 다녔다. 내동에는 삼정·도당과 마찬가지로 둑을 쌓아 들이 많은데, 조석다리들·얼미다리들·녹교지들·상아재들·천척골들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예부터 바닷물이 올라오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둑을 쌓아 농...
-
일곱 옹주들의 능묘가 쓰인 귀한 땅 작동 현재 성종의 다섯 번째 따님이었던 경숙옹주와 여천위 민자방의 묘는 현재 까치울초등학교 근처에 보존되어 있다. 경숙옹주 묘는 부천 지역에 남아있는 조선시대 옹주들의 묘 가운데서도 가장 오래된 묘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1988년에 발간된 부천시사는 작동을 ‘호암산이 에워싸고 벼리내가 흐르는 생기복덕(生氣福德)한 땅’이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
-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조선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경기도 부천시 역사. 부천은 일제강점기에 부평과 인천 지역의 일부를 병합하여 만든 고을이다. 따라서 부천의 조선시대사는 곧 부평사이다. 현재의 부천 지역은 조선시대 부평 영역의 동쪽과 남쪽 지역이었다. 주화곶(注火串)·상오정(上梧亭)·하오정(下梧亭)·석천(石川)·옥산(玉山) 등 5개 면이 이에 해당된다. 1413년(태종 13...
-
1937년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경기도 부천군 소사면에 세운 미곡검사소.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이후 만주사변, 중일전쟁을 거쳐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는 전시 체제가 본격화되면서 군량미를 확보하기 위하여 1936년 조선총독부는 칙령 제264호로 각 지방에 광역 단위로 미곡검사소, 군과 면 단위로 지소 및 출장소를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김포평야와 부천평야에서 생산되는 미곡을 확...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직산(稷山). 자는 가수(可售). 아버지는 승의부위를 지낸 조원종(趙元鍾)이다. 조세림(趙世琳)은 부천의 옛 지역인 부천도호부에서 태어났다. 1513년(중종 8) 실시된 식년시 생원과에서 을과 23위로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불신[火神]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가정신앙. 조왕신(竈王神)은 집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옥황상제께 고하는 임무를 맡고 있는 불신[火神]이다. 부엌신·아궁이신·부뚜막신 등으로도 부른다. 조왕신은 지방 또는 집안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개 동지(冬至)날 조왕단(竈王壇)에 떡을 올려놓고 가정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한다. 조왕신은 밥 짓는 일과 부엌에서...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시조는 조잠(趙岑)이며, 부천에 정착한 18세손 조진한(趙鎭漢)의 21세손이다. 조윤희는 부천에 거주하였으며, 종5품 금부도사를 역임하였다....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지지자료에 옥산면에 속하는 한자로는 조종리(朝宗里)라 표기하였다. 조마루에 가장 먼저 정착한 사람은 창녕조씨(昌寧曺氏)로, 조씨가 종가를 이룬 마을이라 하여 처음에는 조종리(曹宗里)로 불리다가 한자가 바뀐 조종리(朝宗里)가 되었고, 이를 풀어 조마루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성씨 조(曺)’가 언제부터 ‘아침 조(朝)’로 바뀌었는지는 알...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지지자료에 옥산면에 속하는 한자로는 조종리(朝宗里)라 표기하였다. 조마루에 가장 먼저 정착한 사람은 창녕조씨(昌寧曺氏)로, 조씨가 종가를 이룬 마을이라 하여 처음에는 조종리(曹宗里)로 불리다가 한자가 바뀐 조종리(朝宗里)가 되었고, 이를 풀어 조마루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성씨 조(曺)’가 언제부터 ‘아침 조(朝)’로 바뀌었는지는 알...
-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이자 무속인. 조한춘의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아버지는 조백진이고 어머니 양백년이다. 할머니는 평산신씨(平山申氏)이다. 외가와 처가가 전문적으로 굿을 하는 집안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재주가 있어 8세 때부터 도당굿에서 행하는 ‘돌이돌이’를 했다고 한다. 영종도의 큰무당인 외당숙 양백진으로부터 세습무를, 도당굿의 영좌(靈座)로 불리는 이덕만으...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흡여(潝如), 시호는 경목(景穆). 아버지는 교리를 지낸 조수익(趙守翼)이다. 조흡(趙潝)은 광해군 말에 음서(蔭敍)로 승문원 정자에 임명되었다. 1623년 방어사 이중로(李重老)와 군병을 모아 인조반정에서 공을 세웠다. 인조의 즉위를 경축하기 위해 실시된 등극경시 진사과와 생원과에 동시에 급제하였고, 반정의 공으로 정...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제반 신앙 행위의 총체. 종교란 인간 문제의 궁극적 해결에 관계를 갖고 있다고 믿어지고 있는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 현상이다. 현재 부천시에는 유교·불교·기독교 이외에도 다수의 신종교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영생교와 천부교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2000년까지의 부천시청의 통계에 따르면, 기독교 교당은 686개 소에 교직자는 1360명, 천...
-
부천 지역에서 종교를 바탕으로 지역 사회나 국가를 위해서 활동한 사람. 부천은 일제강점기의 수탈 지역이면서 1960년대 이후 근대화의 현장이라는 양면성을 갖고 있는 도시이다. 부천의 사람들은 식민지 체제의 모순과 민족주의적인 사고에 일찍 눈을 떴으며, 아울러 근대 시민 민주주의의 주역으로 등장했다. 소외되고 짓밟힌 민중의 울분과 한을 예술의 수준으로 끌어 올린 ‘장말도당굿’은 부천...
-
조선시대 부천 지역의 열녀. 영렬은 사노비(私奴婢)로, 집이 율도(栗島)에 있었다. 엄동설한에 남편 종인(種仁)이 술에 취해 갯가에 있다가 물에 휩쓸리자 자신의 생명을 아끼지 않고 시신을 건졌다. 여러 날을 안고 울면서 몸의 온기로 남편의 언 몸을 녹였으나, 결국 남편은 세상을 떠났다. 남편을 장사지낸 후 밤낮으로 묘 앞에서 곡을 하며 울다가 목을 매어 자결하였다....
-
일제강점기 부천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좌등용은 20세 때 일본 삼중현(三重縣) 송판시(松坂市) 대구항(大口港) 주우(住友)공사장 인부로 일하며 임원갑(林元甲)[경남 의령 출신]을 만나 해외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독립운동 소식을 전해 주었고, 임원갑·임형섭(林亨燮)[경남 의령 출신]·고주호(高周浩)[경남 의령 출신]·회산기영(檜山琪榮)[경남 진양 출신] 등과 함께 비밀독립운동...
-
경기도 부천시에서 지역 주민을 위해 운영하는 문화 복지 편익 시설. 주민자치센터는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만들겠다는 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정부가 추진한 구·동 기능 전환의 결과로 만들어져 운영되고 있는 주민 자치 기관이다. 교통·통신의 발달 등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기존 동사무소의 쇠퇴한 기능과 인력을 축소하여 민원·복지 기능 중심으로 재편하여 각종 문화·복지·편익 시설과 프로그램을...
-
고려시대 부천의 옛 이름. 계양은 계수나무를 뜻하는 ‘계’자와 회양목을 뜻하는 ‘양’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계양이라는 지명은 주부토, 장제, 수주, 안남에 이어 다섯 번째로 쓰인 부천 지역의 행정지명이다. 계양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 부천 지역이 계양도호부가 되면서 처음 쓰였으나, 지금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와 계양산에서 명칭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뿐 과거 계양으로 불렸던 부천시...
-
고대 부천 지역의 옛 이름. 고구려식 지명인 주부토는 문헌에서 전하는 부천 지역 최초의 지명이다. 이것은 당시 황무지에 둑을 쌓아 농경지로 만들었는데 그 둑이 연이어져 줄보둑→주부토라고 부르는 데서 비롯된 듯하다. 처음 땅이름은 우리말이었는데, 중국에서 한자가 들어온 다음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자 해석식 뜻풀이는 별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 주부토는 삼한시대에...
-
고대 부천 지역에 설치된 고구려의 지방행정구역. 문헌에서 전하는 부천 지역 최초의 지명인 주부토는 고구려식 지명이다. 이 지역이 고구려의 영역에 포함되었던 시기는 475년(장수왕 63)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여 수도인 한성을 함락시키고 한강 일대를 차지하였던 때로 보인다. 따라서 그 이전에 이 지역은 백제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인근 지역인 인천의 옛 지명...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복사골 문학회 소속 소설 문학 동인. 지역 문학의 위상을 정립하고 소설과 동화 창작 및 발표를 하면서 소설 문학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창립되었다. 1990년 부천시 복사골 문학회 창립을 주도하였던 양귀자, 유덕희[『여성동아』 장편 소설 당선] 등 기성 소설가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었다. 이준옥, 구효서 등 소설가들과 신예들이 속속 참여하면서 부천시의 소설 동인으...
-
경기도 부천시에서 가옥을 기반으로 영위해온 주거 형태와 공간 배치 및 그 곳에서 이루어지는 생활. 부천시는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수도 서울의 남서부에 자리 잡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 정책으로 인하여 재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 때문에 도심 일대에서는 부천의 전형적인 주택을 찾아보기 힘들다. 몇 군데 마을이 옛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이곳에서 오래된 주택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
-
고려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주언방은 고려 후기 1386년(우왕 12) 부평부사를 지냈다. 이때 삼사좌사(三司左使) 염흥방(廉興邦)과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최렴(崔濂)의 종으로 부평에 사는 자들이 있어 세력을 믿고 횡포를 자행했다. 주언방이 아전을 보내 군정(軍丁)을 점검하였는데, 종들이 때려 거의 죽게 되었다. 이에 사도도지휘사(四道都指揮使)의 발군첩(發軍牒)을 가지고...
-
“우리가 어려서 자라면서 피라니 산소라고 하나 있었어요. 굉장히 큰 능이 하나 있었어요.” 송내동에는 주인을 알 수 없는 능에 관한 전설 같은 이야기가 있다. “우리가 어려 자라면서 피라니 산소라고 하나 있었어요. 굉장히 큰 능이 하나 있었어요. 저 위에 피라미인지, 피라니인지는 몰라도 우리는 피라니라고 불렀어요. 지금은 그게 없어졌는데 우리 어렸을 적에 굉장히 그게 커...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사찰. 죽림정사는 창건자 이정허가 1989년에 창립한 사찰이다. 원래 죽림정사는 중인도(中印度) 마가다에 있었던 최초의 불교 정사로서, 석가모니가 수행 초기에 대나무밭 안에 세운 정사이다. 석가모니는 가끔 죽림정사에 머물면서 설법을 했다고 한다. 죽림정사 주지 이정허는 부천시불교연합회 총무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송내동에 만불선원을 운영하고...
-
박기오를 시조로 하고 박철정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부천시의 세거 성씨. 죽산박씨의 시조 박기오(朴奇悟)는 신라 경명왕의 넷째 아들 박언립(朴彦立)의 아들이다.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움으로써 죽주백에 봉해지고 식읍으로 죽산을 하사받았다. 이후 후손들이 죽산을 본관으로 삼았다. 박기오의 손자 박충숙(朴忠淑)은 고려 현종 때 중군병마사로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고 참지정사와 문하시랑평장사를...
-
고대 부천 지역의 옛 이름. 고구려식 지명인 주부토는 문헌에서 전하는 부천 지역 최초의 지명이다. 이것은 당시 황무지에 둑을 쌓아 농경지로 만들었는데 그 둑이 연이어져 줄보둑→주부토라고 부르는 데서 비롯된 듯하다. 처음 땅이름은 우리말이었는데, 중국에서 한자가 들어온 다음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자 해석식 뜻풀이는 별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 주부토는 삼한시대에...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중2동성당은 중동의 신도시 건설과 지역 개발로 인한 인구 증가에 따라 교세가 날로 확장됨에 따라 늘어나는 신자들을 수용할 수 없어 1994년 2월 14일 상동성당에서 분리되었다. 중2동성당이란 이름으로 인천교구의 허가를 받아 중2동 전 지역이 중2동성당으로 편입되었다. 초창기에는 신자들이 별로 없었다. 제1대 주임으로 부임한 이...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중3동성당은 중동에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인구가 크게 늘어나 교세가 확장되자 상동성당과 삼정동성당에서 분가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2월 초대 주임신부로 최상진[야고보] 신부가 취임하였다. 1998년 성전을 완공하여 헌당식을 하였고, 임마누엘 어린이집을 세웠다. 1999년 2월 8일 제2대 주임신부로 방호일[로마노] 신부...
-
경기도 부천시 중1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되어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1994년 5월 20일 부천시민들의 여가 및 야외 활동을...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순복음중동교회. 1997년 7월 1일 중동교회 설립 계획을 수립하고, 1997년 8월 13일 주공프라자 501호 건물을 매입했다. 1997년 8월 24일 중동성전설립추진위원회를 발족하여 9월 5일에는 초대 담임목사 문형묵 목사가 취임했고, 12월 5일에 창립 예배를 올리면서 차츰 현 교회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98년 7월 1일에는 제2대 담임목사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과 상동 사이에 있는 도로. 중동 신도시의 상징성을 드러내면서 중동의 가장 중심이 되는 도로라는 뜻으로 지어졌다. 도로의 폭은 40~50m이고, 왕복 10차선이다. 총 길이는 7.780㎞이다. 중동대로는 중동 신도시를 형성하는 발판을 마련한 대로로 중동과 상동 사이에 있는 외곽 직통 도로이다. 송내 지하차로를 지나면서 경인선과 만나 인천과 이어지고 고속국도로의 유...
-
1997년부터 1998년까지 경기도 부천시 중동소각장에서 과다 배출된 다이옥신 농도로 인해 제기된 환경오염 관련 사건. 1997년 5월 23일 환경부는 전국 11개 쓰레기 소각장에 대한 ‘소각로 다이옥신 농도 조사결과’ 자료를 발표하였다. 여기에서 중동소각장은 다이옥신 농도가 기준치의 20배인 평균 ㎥당 23.12㎎의 다이옥신을 배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의 발표 이후 해당 지...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상설 재래 시장. 중동시장은 대지 7,557m2에 90여 개의 점포가 들어서 있다. 청과류 가게로는 벧엘청과가, 야채류 가게로는 서울상회·세경농산·옹가네야채가, 생선류 가게로는 빛고을수산·조아수산·중동수산·청해수산이, 식료품류 가게로는 공주토속된장반찬가게·내고향신토불이·대관령두부·신영식품·장독대·장터반찬이 있다. 떡·방앗간 가게로는 낙원떡집·마마떡집·원앙...
-
1990년 2월 8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부천시 중구·남구 일원에서 택지 공급을 위하여 실시했던 신시가지 개발 사업. 부천시는 전국 제1의 인구 성장 도시로서 수도권 인구 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인구 성장이 계속되고 있었다. 중동 신도시 건설의 경우 택지 공급 능력이 한계 수준에 달해 있는 부천시의 사정과 정부의 시책이 부합되어 택지 개발 사업 및 신도시 조성...
-
황연옥이 경기도 부천시의 중동 신도시를 소재로 하여 지은 시. 6연 40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동에서」는 깨끗하고 푸르렀던 자연 속의 중동 지역이 신도시 개발로 인해 파괴되어 가는 안타까운 현장을 담아내고 있다. 우리가 처음 여기에 왔을 때 이곳은 푸른 들판이었다 흔들리는 억새풀 사이로 반쯤 열린 하늘이 가는 햇살을 모으며 누워 있고 샛강이 흐르는 늪지대로 귀뚜라미 잡으려는 개구...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1973년 부천군이 시로 승격되면서 중리가 중동으로 바뀌었고, 중동을 중심으로 송내역과 부천역이 건립되었다. 1980년대 말 수도권 인구 집중화 현상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수도권 주변 5개 지역에 대단위 신규 주택 단지 개발 계획이 수립되었다. 중동 신도시도 이때 건설되었고,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교통 수요에 따...
-
박수호가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중동역에서의 경험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참으로 쓸쓸했다 불현듯 어디로 떠나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늦가을 저녁 어둠 속으로 푸른 연기 같은 안개가 피어 오르고 마지막 가을이 떨고 있는 골목 급히 걸어가는 발자국 소리에 마음 속에는 무수히 많은 새떼들이 날아오르기 시작했다 어쩌면 이 길은 만남과 헤어짐으로 이어져 있고 그 끝에 출렁이고 있을 새벽바다...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자연 마을. 장말은 장씨 마을의 줄임말로 덕수장씨가 이 지역에 많이 살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풀이이다. 덕수장씨 시조 장순룡의 12세손인 장몽기가 경기도 평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조선 중기 이후 4백여 년 동안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말의 장자는 긴 ‘장(長)’자로 성씨 ‘장(張)’자와 다르다. 이는 곧 장씨가 정착하기 전에도 장말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의 장말과 넘말을 중심으로 전해 내려오는 풍물놀이. 중리 풍물놀이는 새마을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인 1970년대 초까지 옛 중동 지역에서 행해졌던 민속놀이의 하나이다. 경인 철도와 나란히 이어졌던 쇠방죽(수로, 뚝) 안쪽으로 넓은 벌판이 이어져 농업으로 풍요로운 삶을 구가해 온 중리 사람들의 여흥이 배인 풍물가락이다. 장말은 덕수장씨가 많이 살았기 때문에...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자연 마을. 넘말은 언덕 너머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장말[중동]에서 작은 산을 넘으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넘말은 간람말이라고도 한다. 간람말은 간담말의 잘못된 표기로 가운데마을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간뎃말→간담말로 변하고 다시 간람말로 변하여 중리(中里)라는 이름이 붙여진 배경이 되었다. 원래 중리는 농경지 중심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자연 마을. 장말은 장씨 마을의 줄임말로 덕수장씨가 이 지역에 많이 살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풀이이다. 덕수장씨 시조 장순룡의 12세손인 장몽기가 경기도 평택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조선 중기 이후 4백여 년 동안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말의 장자는 긴 ‘장(長)’자로 성씨 ‘장(張)’자와 다르다. 이는 곧 장씨가 정착하기 전에도 장말로...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중망(仲望). 아버지는 한성부 좌윤을 지낸 이세응(李世應)이며, 어머니는 김미(金楣)의 딸이다. 이림(李霖)[?~1546]은 1519년(중종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52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정원 가주서, 승정원 박사를 거쳐, 부수찬에 이르렀다. 1545년(인종 1)에도 윤원형(尹元衡) 일파로부터 모...
-
조선 후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박호(朴壕)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성삼문(成三問)의 외손인 중보(仲保)박호와 동명이인이다. 부천시 삼정동의 박노송·박노섭가의 소장 유물로 박호(朴壕)가 패용했던 호패(號牌)가 전해 온다. 전면에는 중앙에 박호(朴壕)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에 ‘부평’, 하단에 ‘임오유학(壬午幼學)’이라고 적혀 있다. 후면에는 ‘병오 오정면 약대리...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 논에 있는 둑. 중보둑은 조선 지지자료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일제 시대 때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원종2동 주민센터 앞에 있는 베르네천 복개천일대이다. 베르네천이 복개되기 전에는 둑이 있었다. 베르네천 여월지역은 상류인 상보둑이고, 오정동 지역은 하류인 하보둑으로 여겨진다. 베르네천 둑 중간에 있다해서 중보둑이라고 한 것이다. 중보둑은 원종2동...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 논에 있는 둑. 중보둑은 조선 지지자료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일제 시대 때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원종2동 주민센터 앞에 있는 베르네천 복개천일대이다. 베르네천이 복개되기 전에는 둑이 있었다. 베르네천 여월지역은 상류인 상보둑이고, 오정동 지역은 하류인 하보둑으로 여겨진다. 베르네천 둑 중간에 있다해서 중보둑이라고 한 것이다. 중보둑은 원종2동...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서(仲西). 아버지는 만포진관병마첨절제사(滿浦鎭管兵馬僉節制使)와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한 한주(韓柱)이며, 형은 한세강(韓世綱)이다. 한세유는 1699년(숙종 25) 증광시 진사 11인 중 2등으로 합격하였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박호(朴壕)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성삼문(成三問)의 외손인 중보(仲保)박호와 동명이인이다. 부천시 삼정동의 박노송·박노섭가의 소장 유물로 박호(朴壕)가 패용했던 호패(號牌)가 전해 온다. 전면에는 중앙에 박호(朴壕)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에 ‘부평’, 하단에 ‘임오유학(壬午幼學)’이라고 적혀 있다. 후면에는 ‘병오 오정면 약대리...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안(仲安), 호는 십주(十洲). 부친은 한준(韓準), 모친은 중추부 도사(中樞府都事) 최정수(崔貞秀)의 딸이다. 부인은 정경부인(貞敬夫人) 능성구씨(綾城具氏)이다. 한여직은 1604년(선조 37) 유릉참봉(裕陵參奉)으로 관직에 나갔고, 1610년(광해군 2)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광해군 때 관직에 나갔지만 곧 사직했고, 1613년...
-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주말 상설 공연으로 한 여름 열대야 축제. 주말상설공연은 시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시민과 예술인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천지부에서 2004년부터 2012년까지 개최한 공연이다. 2007년에 열린 주말상설공연은 총 35개 팀의 공연으로 이루어졌다. 7월에는 ‘히트송 퍼레이드(Hit Song Parade)와 동심의 세계’,...
-
경기도 부천시 심곡동과 오정동 사이에 있는 도로. 부천의 주변으로 뻗어나가면서 부천을 가로지르는 대로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앙로는 옛날 자연 마을인 내촌에 연결되는 도로라고 해서 붙여진 내촌로와 합쳐졌다. 도로의 폭은 25~30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4.493㎞이다. 심곡동 177-13번지[부천로 19]를 기점으로 북부역사거리를 지나 오정동 594번지[오...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중우(仲友). 아버지는 이수영(李壽嬰)이고, 어머니는 이영홍(李永弘)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이함장(李諴長), 증조할아버지는 이사관(李士寬)이다. 이희옹은 1495년(연산군 1) 사마시 진사과를 거쳐, 1504년(연산군 10) 별시 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승정원 주서(承政院注書)로 재직 중 중종반정(中...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건강한 몸과 강인한 의지를 키워가는 사람,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닌 실력 있는 사람, 기초 학력을 토대로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정직하고 경애와 신의로 상부상조하는 사람을 양성한다. 교훈은 ‘정심과 덕행’이다. 1996년 1월 13일 중원고등학교로 설립인가 받아, 같은 해 3월...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백중은 농민들이 봄에 씨앗을 뿌리고 가을 추수를 하기 전에 잠시 허리를 펴며 쉴 수 있는 날이다. 주로 농사를 지었던 부천 지역에서는 일의 고됨을 위로하고 이웃 사이의 친목 도모를 위해 백중 행사가 거행되었다. 논에 김을 맬 때도 농악대를 만들어 두레를 논다. 백중은 백중일(百中日)이다. 다른 말로는 백종일(百種日)이라...
-
경기도 부천시 중동 있는 공립 중학교. 맞춤형 교육으로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얻는다. 상담네트워크와 인성기록장을 통하여 바른 심성을 가꾼다. 맞춤체력인증제와 보건활동을 통하여 건강을 증진한다. 방과후 학교 참여를 통하여 특기·적성을 계발한다. 독서기록장을 활용하여 독서·논술 능력을 신장한다. 교훈은 ‘성실·창조’이다. 2001년 7월 18일 1학년 10학급으로 중원중학교...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에 있는 골짜기. 조선지지자료에는 개롱지가 없고, 도당리에 속하는 개롱산이 있다. 도당리에 속하는 절골, 중주군골로 되어 있다. 이곳을 주민들은 대부분 개롱지로 부르고 있다. 개롱지는 길옹지가 변한 이름이다. 길옹지란 길게 파여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개롱골이라고 하지 않은 것은 개롱지가 다른 골짜기처럼 깊게 파여 있지 않고 평평하게 이루어진 데서 비롯된 것으로...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 가운데 하나로 중추절(中秋節)·가배(嘉俳)·가위·한가위·월석(月夕)이라고도 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일 년 중 가장 풍성한 시기로 풍년 농사에 감사하며 거두어들인 햇곡식과 과일을 조상께 올리고 이웃과 음식을 나눈다. 유래는 정확하지 않으나 고대 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며...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담당 기관. 1895년(고종 32) 칙령 제136호 「성균관 관제」와 학부령 제2호 「성균관 경학과 규칙」에 의하여 성균관을 근대적 학교로 개편하였으나 성균관의 운영은 옛 모습 그대로였고, 지방의 교육을 담당했던 향교를 대신하여 중학교를 설치하려 하였으나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부천 지역 또한 상황은 마찬가지여서 1945년 광복을 맞을 때까...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21세기를 주도할 창의력과 도덕성 함양한 인재를 육성하고 모든 사람이 언제, 어디서나 자기의 능력과 적성에 따라 마음껏 교육 받을 수 있는 열리 교육 사회를 건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2월 28일 36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같은 해 3월 1일 개교하였다. 같은 날 초대 김원규 교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3월 4일 제1...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주공아파트 6단지, 신동아아파트, 영남아파트, 극동아파트, 두산아파트로 형성된 마을이다. 중3동 중흥사거리에 위치하며, 마을 주변으로 나무와 꽃이 심어져 있어 친환경적인...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통일 시대의 주역으로 세계 평화 실현에 기여하는 민주인, 인성 교육 실천으로 협동·봉사하는 공동체 의식인, 스스로 공부하고 사고하며 개성 있게 진로를 개척하는 진로 개척인, 기초 능력을 토대로 탐구하며 정보 활용 능력을 갖춘 창의적 능력인,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고 체력을 튼튼히 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의·예의·...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통일 시대의 주역으로 세계 평화 실현에 기여하는 민주인, 인성 교육 실천으로 협동·봉사하는 공동체 의식인, 스스로 공부하고 사고하며 개성 있게 진로를 개척하는 진로 개척인, 기초 능력을 토대로 탐구하며 정보 활용 능력을 갖춘 창의적 능력인,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고 체력을 튼튼히 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의·예의·...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역사를 바로 알고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닌 어린이(애국인), 기본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바른 품성을 지닌 어린이(도덕인), 기초, 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지식, 정보를 활용하고 세계 시민의 자질을 갖춘 어린이(세계인), 심신이 건강하며 인내심을 지닌 어린이(건강인)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2년 3월 21일 중흥국...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역사를 바로 알고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닌 어린이(애국인), 기본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바른 품성을 지닌 어린이(도덕인), 기초, 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지식, 정보를 활용하고 세계 시민의 자질을 갖춘 어린이(세계인), 심신이 건강하며 인내심을 지닌 어린이(건강인)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2년 3월 21일 중흥국...
-
경기도 부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증산 계열의 신종교. 증산도는 ‘상생의 진리’를 말하는 종교이다. 12만 9600년을 한 주기로 하고 이 주기에 따라 가을개벽의 발생을 준비해야 한다는 교리로 강증산 상제와 고판례 수부가 천지공사를 집행하고 이 율법대로 개벽이 집행되기 때문에 개벽에 대비하자는 것이다. 1911년에 최초의 교단이 창립되었고 1929년 초에 경전인 『대순정경』을 발간하...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지경(至卿). 아버지는 오숙(吳琡)이다. 오성규(吳聖規)는 1634년(인조 12)에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태어났다. 1675년(숙종 1)에 실시된 식년시 생원과에서 을과 19위로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과 경계를 이루는 계곡. 지골을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서는 니곡(泥谷)으로 표기해 놓고 있다. 진흙창 골짜기라는 이야기로, 냇물이 많아 질은 골짜기라는 의미의 질골이 어원이다. 이 질골이 진골로 바뀌고, 또다시 지골로 바뀌었는데, 한자로 표기하면서 진흙 니(泥)를 써서 니곡(泥谷)으로 붙인 것으로 여겨진다. 까치울마을 사람들이...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경기도 부천 지역을 다스렸던 지방관. 수령은 군수와 현감을 합한 말이라고도 하고, 수는 ‘수토양민(守土養民)’, 영은 ‘명령을 받들어 시행한다’는 뜻이라고도 해석한다. 속칭 원님이라고도 한다. 수령은 한 지역의 행정·사법·재정을 총괄하며 군정(軍政)도 겸하여 관장한다. 이 때문에 군주를 대신하여 통치하는 자, 목민관(牧民官) 등으로 불리며 역대로 그 역할이 중...
-
경기도 부천시에서 주민들이 자치권을 이양 받아 스스로의 참여와 결정에 의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제반 활동. 1990년대 지방 자치 제도가 전면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부천 지역에서도 1995년 이후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지방 자치 시대가 도래하였다. 부천의 지방 자치 제도는 지방 선거, 지방 의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변천 과정을 겪었다. 1. 광복 이후~1980년대 6·...
-
일제강점기 활동한 부천 지역 출신의 정치인. 본관은 죽산(竹山)이며, 호는 지봉(芝峰)이다. 박제환은 경기도 부천군 옥산면 벌응절리 능골[현 경기도 부천시 역곡1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박주순과 어머니 하진환의 둘째 아들이다. 13대 조상인 박철정부터 부천에 정착해 살았다. 부유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6세부터 서당에 다녔고 13세에 서울로 올라왔다. 서울 수하동공립보통학교 3학...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이다. 제작 과정에서 많은 사람의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에 많은 인력을 동원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과 강력한 지배 권력이 존재했음을 암시하는 증거로 이해된다. 구조는 형태에 따라 크게 탁자식·지석식·개석식의 3가지로 구분된다. 탁자식은 한반도 중부 이북 지방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방식이라고도 한...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하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땅을 다스리는 신령(神靈)을 달래고 만액(萬厄)을 누르는 밟기 행사이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 이전에는 현재 중동·춘의동·원미동·고강동·원종동·괴안동 등 마을 단위로 정월대보름을 전후하여 행해졌다. 대장동(大壯洞)에서는 보름 안에 「고사반」이라 하여 1년에 한 번 지신밟기를 하였다. 「고사반」은 풍물패들이 풍물만 했으...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복사골 문학회 소속 시 문학 동인. 한국 문단에 등단한 부천 지역 원로 시인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모임으로 지용(芝溶)이라는 명칭은 1943년부터 1946년까지 부천시 소사동에 살면서 시작(詩作) 활동을 했을 뿐만 아니라 부천 지역의 천주교회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시인 정지용(鄭芝溶)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시인들 간의 친목 도모와 시의 연구 및 발표를 목적으...
-
경기도 부천 지역의 지각을 이루는 물질인 토양이나 암석의 성질·종류 및 상태. 부천시는 지질학적으로 보아 크게 두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가 성주산 자락의 소사동을 중심으로 한 모래나 쇠가 나는 지역이다. 소사동 일대 지역은 배수가 잘 되어 ‘조리터’라고 불리기도 하며, 구릉과 야산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가 잘되는 땅에서 잘 자라는 복숭아 재배에 적합하다. 이 지역의...
-
경기도 부천 지역의 지표면의 기복 및 모양이나 형태. 서울 남서부에 자리 잡은 부천시는 총 면적이 53.44㎢로 북쪽과 동쪽은 서울시 강서구·양천구·구로구와 접하고, 남쪽은 경기도 광명시, 서남쪽은 인천시 계양구·부평구·남동구와 각각 접한다. 부천 지역의 지형은 대체로 지각 운동이나 화산 활동 등의 지구 내적인 힘에 의하여 만들어진 지표면이 유수(流水)·빙하·바람·파도 등의 외적인...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직경(直卿). 아버지는 돈용교위(敦勇校尉)와 행충무위부사과(行忠武衛副司果)를 지낸 공은남(貢殷男)이다. 공신국(貢藎國)은 1586년(선조 19)에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태어났다. 1610년(광해군 2)에 실시된 식년시 생원과에서 병과 49위로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민들이 생활의 물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일정한 일에 종사하는 활동. 직업이란 자급 자족의 사회를 벗어나 분업화된 사회에서 사회 구성원이 자신의 능력과 특기를 살려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의식주 생활을 영위하고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면서 심리적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일, 또는 그 활동이다. 인간 사회가 원시적 자급 자족 상태를 벗어나 점차...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 직업 교육은 시대 흐름에 따라 실업 교육, 산업 교육, 직업 기술 교육, 직업 교육 훈련 등으로 용어가 변천되어 왔다. 「산업교육진흥법」에 따르면 직업 교육이란 기술 학교·고등 기술 학교·실업계 고등학교·전문대학·실업계 대학 또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실업계 학과 및 과정을 설치한 인문계...
-
고려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수주(樹州). 자는 직청(直淸). 개국공신 이희목(李希穆)의 후손으로, 시중 이정공(李靖恭)의 아들이다. 참지정사(參知政事) 이숙(李璹)의 동생으로, 인종의 비(妃)이자 임원후(任元厚)의 딸인 공예태후(恭睿太后)의 외할아버지이다. 이위는 문과에 급제하고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을 거쳐, 1087년(선종 4) 상서병부원외랑(尙書兵部員外郞)으로...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과 경계를 이루는 계곡. 지골을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서는 니곡(泥谷)으로 표기해 놓고 있다. 진흙창 골짜기라는 이야기로, 냇물이 많아 질은 골짜기라는 의미의 질골이 어원이다. 이 질골이 진골로 바뀌고, 또다시 지골로 바뀌었는데, 한자로 표기하면서 진흙 니(泥)를 써서 니곡(泥谷)으로 붙인 것으로 여겨진다. 까치울마을 사람들이...
-
경기도 부천시 상3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되어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2003년 3월 31일 야외 활동 장려와 쉼터 마련을 위...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의 원미산에 있는 동산. 원미산에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진달래동산으로 부르게 되었다. 원미산[167m]은 부천시민의 등산지와 휴식처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부천시는 진달래동산을 비롯하여 박물관, 수영장, 눈썰매장, 교통 공원, 야외 극장 등 다양한 문화 레저 시설과 종합운동장과 인공 폭포, 인공 암벽, 국궁장 등의 시설을 갖춘 큰 규모의 공원을 조성하...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2002년 4월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대우아파트, 대림아파트, 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 효성써미트빌아파트, 효성센트럴타운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3동 길주길에 위치하며, 마을 주변으로 석천중학교 옆에...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던 마을. 진말에서 ‘진’은 ‘보배 진(珍)’이다. 이 ‘진’은 ‘돌·도르·돌·드르’로 읽히며, 바다나 하천을 의미한다. 진말 앞으로 큰내가 지나갔다. 진말은 긴말에서 온 말이기도 하다. 긴말이 진말로 바뀐 것은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서 생긴 것이다. 긴등이 진등으로 바뀐 것이 그 예이다. ‘말’은 ‘마을’을 가리키고, ‘긴’은 ‘길다’의 뜻이다. 그러...
-
박건웅이 경기도 부천의 옛 마을의 하나였던 진말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4연 29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진말, 예 놀던곳에」는 부천의 옛 고향 마을이었던 진말의 사라져버린 정취에 대한 아쉬움과 향수를 담아내고 있다. 논이 있었고 밭이 있었고 또 시냇물이 흐르고 동심의 온상이었던 데가 빌딩 아파트 아스팔트로 변했고 이 변한 것들을 쳐다보면 마치 지구가 자전을 멈춘 듯 가슴이 답답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