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년 경기도 부천시청과 경기도 부천교육지원청에서 발행한 지역 학습 교재. 경기도 부천교육지원청 장학사와 교사, 부천시청 공무원 및 지역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자료 수집, 집필, 감수 과정을 거쳐 2002년에 발행한 전국 최초의 중학교 지역 교재이다. 중학교 1학년 사회 시간이나 창의적 재량 활동 시간을 할애하여 지역 학습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부천의 청소년들에게 지역의 정체성을...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던 자연 마을. ‘가운데당아래’는 당아래 길을 경계로 해서 생긴 마을명이다. ‘당아래’는 ‘당재 너머에 있는 아랫마을’이라는 뜻으로 ‘당아래’라고 했으며, ‘당아래’는 ‘양지말, 가운데당아래, 너머당아래’라고 하는 3개의 촌락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당아래’를 혹 ‘당하리’라고 표기한 경우가 있으나 이것은 잘못된 표기이다. 가운데당아래는 당아래 고갯길을 사...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던 산언덕. 갈막에서 ‘갈’은 ‘갈라진’의 뜻으로 보이며, ‘막’은 ‘메’가 그 원형으로 보인다. 대리미재하고 산언덕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었다. 부리는 산이라는 백제어이다. 벌응절리에 있는 알묏부리와 그 뜻이 같다. 여러 갈래로 갈라진 산등성이라는 뜻의 갈멧부리가 갈막부리로 발음이 바뀐 것으로 여겨진다. 갈막부리는 일명 갈망아리로도 불리는 곳으로, 중동 1...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던 자연 마을. 겉저리에서 ‘겉’의 어원은 ‘갗’이다. 갗이 겉으로 변한 것으로, 가장자리를 뜻한다. 곧 겉저리는 중동 벌판을 내다보는 춘지봉이 있는 춘의산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음을 알려준다. ‘저리’는 들이 있는 곳이라는 뜻의 ‘들이’가 변한 말이다. 곧 겉저리는 ‘중동 벌판을 내다보는 산 끝자락에 있는 들’이라는 뜻으로 갗들이가 갗덜이, 갗더리로 변천...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자연 마을. 게레울의 명칭에 대한 유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 ‘계리월(鷄里月)’이 바뀌어 된 말로 보는 설이다. 이는 닭이 아름다운 달을 보고 울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한자를 해석한 것에 불과하다. 둘째, ‘계리월’은 ‘게레울’의 잘못된 표기로 그 어원을 ‘골의울’로 보는 설이다. ‘골의울’이 ‘고래울’로, 이것...
-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서 경기도 부천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까지 연결되는 고속 국도. 경인고속국도는 서울과 인천 사이에 급증하는 수송 수요에 대비하여 건설된 한국 최초의 고속국도이다. 1967년 3월 24일에 착공하여 구간별로 단계적으로 개통되다가 1999년 서인천IC~인천IC 구간까지 확장되었다. 길이 23.9㎞, 너비 20.4m, 왕복 6~8차선이다. 왕복 6차선은...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서 송내동까지 연결되는 철도. 경인선은 인천을 기점으로 소사를 거쳐 서울을 잇는 한국 최초의 철도이다. 인천 우각현에서 시작하여 소사역을 중간 기점으로 하고 노량진까지 연결되는 철도를 1899년 준공하여 개통하였다. 소사역[현 부천역]을 설치한 것은 김포평야를 배경으로 이곳에서 산출되는 농산물을 적재에 운송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므로 일찍부터 부천은 교통의 요충지...
-
경기도 부천시 중4동에 있는 근린 공원. 계남공원은 1994년 5월 20일 부천시에서 시민들의 복지 증진을 위해 건립하였다. 계남공원의 면적은 15.143.6㎡이며, 편의 시설로는 분수대와 LED파고라가 있다. 운동 시설은 농구장 외에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머신·로윙라이더머신·스윙워커머신·레그프레스머신·레그스트레치머신·로라마사지머신·싣업머신·...
-
일제강점기 경기도 부천 지역의 행정구역. 1914년 4월 1일 부평군 지역의 석천면(石川面), 옥산면(玉山面), 수탄면(水呑面)을 통폐합하여 부천군 계남면으로 하였는데, 계남은 1914년에 처음 생긴 지명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이미 조선시대인 1700년대부터 현재의 부천 지역에서 ‘계남’이란 이름을 써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구령(李龜齡)[1679~?]은 자신의 문집인 『계남...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서 계수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계수대로는 서울시 구로구와 경기도 부천시를 연결하는 남부순환로~부천시계 구간에 신설될 예정인 도로이다. 시흥시 계수동[0.87㎞]과 서울시 구로구 개봉동[3.97㎞]을 잇는 부천시 구간은 범박동 산 9번지를 기점으로 계수동 372-2번지까지 1.63㎞에 이른다. 계수대로의 건설을 통해 과밀한 경인로 교통량이 분산되면서 경인로 일대...
-
고려시대 부천의 옛 이름. 계양은 계수나무를 뜻하는 ‘계’자와 회양목을 뜻하는 ‘양’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계양이라는 지명은 주부토, 장제, 수주, 안남에 이어 다섯 번째로 쓰인 부천 지역의 행정지명이다. 계양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 부천 지역이 계양도호부가 되면서 처음 쓰였으나, 지금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와 계양산에서 명칭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뿐 과거 계양으로 불렸던 부천시...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고강동의 옛 지명은 고리울[古里洞]과 강장골[康莊谷]에서 유래되었다. 이 지역은 주로 높은 야산과 논, 밭을 갖춘 고을[谷]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앞으로는 서쪽으로 부평 평야, 뒤로는 동쪽 서울을 등지고 남쪽으로는 관악산, 북쪽으로는 한강을 굽어보는 곳에 위치하였다. 고리울 내에 옛 마을 이름을 보면 강장골을 중심으로 강상골, 능골[陵谷], 아랫말[아...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서 고강동까지 연결되는 간선 도로. 고강로는 원종동 190-7번지에서 원종로와 나뉘어 고강동 산 33-6번지 서울시계까지 이어진 도로이다. 고강로란 명칭은 주로 고강동을 통과하는 도로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왕복 2차선 도로로 총 연장 길이는 1.95㎞, 도로 폭은 12~15m이다. 원종로에서 맨션과 주택이 들어선 지역을 달리다 수주초등학교 앞 고리울사거리에서...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고강동의 옛 지명은 고리울[古里洞]과 강장골[康莊谷]에서 유래되었다. 이 지역은 주로 높은 야산과 논, 밭을 갖춘 고을[谷]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앞으로는 서쪽으로 부평 평야, 뒤로는 동쪽 서울을 등지고 남쪽으로는 관악산, 북쪽으로는 한강을 굽어보는 곳에 위치하였다. 고리울 내에 옛 마을 이름을 보면 강장골을 중심으로 강상골, 능골[陵谷], 아랫말[아...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들어서는 근린 공원. 2006년 12월 부천시는 선사시대 역사를 조명하고 시민의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강동 선사유적지 주변에 고강선사유적공원을 조성하기로 하였다. 고강동 선사유적은 1996년부터 최근까지 7차례에 걸쳐 실시한 발굴 조사로 청동기시대 주거지 20기, 석곽묘 10기, 무문토기 13점, 석기류 145점 등이 확인된...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있던 포구 이름. 고라개의 ‘고라’는 ‘옛 고(古)’자, ‘소라 라(螺)’자로 소라의 옛말이고, ‘개’는 포구를 뜻한다. 소라가 많이 잡히던 포구임을 짐작할 수 있다. 고라개는 삼정동의 관문이자 포구로, 물이 들어오면 황석어와 참치가 많이 잡혔다. 고라개에서 배를 이용하여 대장이나 김포를 왕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모두 매립되고 삼정공단이 조성되어 예...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둑. 고리울뚝은 고리울마을에서 시작하여 고리울 곰달래고개 상류 까지 양쪽으로 쌓은 둑이다. 고리울마을은 고리울 선사유적지 앞에서 고강사거리 앞까지 길게 뻗어 있던 마을이었다. 간데미 아래와 봉배산 사이에 있던 마을인 것이다. 둑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강상골 상류까지 서해의 조수가 밀려들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막기 위해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지지...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의 옛 이름. 고얀은 한자로 괴안동(槐安洞)으로 표기하였다. 『조선지지자료』에도 옥산면에 속하는 괴안리(槐安里)로 표기되어 있는데 우리말로는 표기되어 있지 않다. 해마다 봄이면 음식을 차려 놓고 괴목(槐木, 느티나무)에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빌었기 때문에 괴안리라고 하였다. 한편, 고얀이라는 지명이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을 뜻하는 ‘골안’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시민들의 보건·휴양·놀이 등을 위하여 설치한 시설이나 공공 녹지. 서울과 인천의 사이에 위치한 부천시는 주거, 상업, 공업 지역이 지속적으로 조성되고 이에 따른 인구의 증가와 급속한 도시 성장에 따라 도시 환경의 질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부천시에서는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 공원 녹지 체계를 재정비하고자 2012년 7월 ‘2020년 부천시 공원...
-
경기도 부천시의 풍광(風光)·풍속(風俗)·사적(史蹟) 등을 유람(遊覽)하는 일. 경기도 부천 지역은 지리적으로 내륙의 평평한 지반에 위치해 있어 자연 경관을 활용한 관광 자원은 거의 없다. 대신 예술이나 축제, 문화 콘텐츠 산업을 활용한 문화 행사를 통해 문화 관광 도시라는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부천시는 문화 도시를 창출하고 지역 예술을 활성화하여 시민 정서 함양...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1994년 광성산업에서 지은 공동 주택으로 부천시 최초의 주상 복합 아파트인 광성상가는 13층 건물 1개 동으로 모두 128세대가 살고 있다. 현관 구조는 복도식, 난방 방식은 중앙 난방, 연료는 도시가스를 사용한다. 면적 분포는 92.56㎡·99.17㎡·102.48㎡의 세 종류이며, 용적율은 295%이고 건폐울은 55%이며, 100...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있는 근린 공원. 괴안공원은 부천시에서 2001년 10월 26일 괴안동 주민들의 건강 및 복지 시설 증진을 위해 건립하였다. 괴안공원의 면적은 18,899㎡이며, 편의 시설·운동 시설·녹지 공간·모형놀이 동산·등산로 등이 갖춰져 있다. 편의 시설로 분수대와 조합놀이대 등이 있으며, 운동 시설로는 족구장 외에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교통 요지인 역곡역 남부 지역에 있는 전형적인 원도심 지역이다. 괴안동 행정 복지 센터가 위치해 범박동과 역곡 3동의 복지와 행정 업무도 책임지고 있다. 괴안동은 괴안리 또는 고얀리로 불렸다. 원래 고얀리는 지금의 부천 동여자 중학교 동편 고갯길 너머에 있었는데 윗 고얀리와 가운데 고얀리, 아랫 고얀리로 나눈다. 윗 고얀리는 남원 양씨(南...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교통망과 교통 현황. 부천 지역은 서울과 인천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 일찍부터 근대적인 교통 시설의 혜택을 받았다. 1899년(고종 36) 인천에서 소사[지금의 부천], 노량진으로 연결되는 경인 철도가 개통되면서 소사역 주변으로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하였다. 특히 1908년(고종 43) 부천 지역에서 복숭아 재배를 시작하면서 취락과 상권이 형성되었다. 더욱이...
-
경기도 부천시 상1동에 있는 근린 공원. 구지공원은 부천시에서 1993년 6월 30일 상동 반달마을 주민들의 복지 시설 증진을 위해 건립하였다. 구지공원의 면적은 14,740.8㎡이며, 편의 시설·운동 시설·녹지 공간이 갖춰져 있다. 편의 시설로는 도깨비분수대·LED파고라·조합놀이대 등이 있으며, 운동 시설로는 지압보도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도로. 송내역 앞에서 중동대로를 가로지르는 부일길 다음 길이 구지길로 흥천길, 장말길과 함께 나란히 구 원미구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는 길이다. 구지말은 송내동 북편 마을로 전철역인 송내역이 있는 지역이다. 부평군 때에는 석천면 구지리로 구지1리 지역이었고, 솔안말과 산골은 구지2리였다. 구지말을 구지리라 하게 된 데에는 이 지역의 토질 때문으로 생각된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자연 마을. 조선지지자료에는 석천면에 속하는 구지리로 되어 있다. 구지리에는 상산이라는 상살미가 있었고, 상살미가 앞으로 툭 튀어나온 곳에 길게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 구지말에서 구지, 고지, 꾸지가 ‘곶’이라는 뜻으로 툭 튀어나온 곳을 말한다. 구지말은 ‘거마산 아래에 있던 상설미에서 앞으로 툭 튀어나온 산줄기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장말이나 사...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서 경기도 시흥시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 국도39호선은 전국 25개 남북 노선 가운데 하나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경기도 의정부시에 이르는 도로이다. 전체 길이 100m 이상의 장대교가 8개 소, 소교량이 38개 소 있다. 충청남도 청양군에 1992년 완공된 솔티터널이 있다. 반월~안산, 부천~신행주대교, 신행주대교~벽제, 벽제~의정부 구간이 교통량이...
-
경기도 부천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괴안동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 국도46호선은 전국 24개 동서 노선 가운데 하나로 인천광역시에서 서울특별시를 거쳐 경기도와 강원도를 잇는 도로이다. 전체 길이 100m 이상의 장대교가 24개 소, 소교량 53개 소가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에 1987년 완공한 마치터널, 강원도 춘천시에 1993년 완공한 추곡터널, 1989년의 하행선과 1994년의...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서 고강동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 국도6호선은 전국 24개 동서 노선 가운데 하나로 인천광역시 중구에서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이르는 도로이다. 전체 길이 100m 이상의 장대교가 12개 소, 소교량 49개 소가 있다. 국도 42호선, 국도 46호선과 함께 인천광역시~강원도의 물동량 수송과 지역 개발 및 관광 진흥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는...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삼성아파트, 우성아파트, 한신아파트, 금호아파트, 한양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중2동 신흥고가사거리에 위치하며, 마을 주변에 소향공원이 있어 주민들의 휴식 및 산책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5년 5월부터 주공아파트 4단지가 입주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중4동 길주사거리와 중동대로사거리 사이에 위치한 마을로 주변에 어린이공원과 계남공원이 있으며, 중동대로 방면으로 마을 외곽에는 시민의...
-
경기도 부천시 중3동에 있는 근린 공원. 길주공원은 부천시에서 1994년 5월 20일 부천시민들의 복지 증진과 야외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길주공원의 면적은 16,185.4㎡이며, 편의 시설·운동 시설·녹지 공간이 갖춰져 있다. 편의 시설로는 돌고래분수대와 LED파고라가 있으며, 운동 시설로는 농구장과 축구장 외에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서 중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부천의 명칭은 주부토(主夫吐), 장제(長提), 수주(樹州), 안남(安南), 계양(桂陽), 길주(吉州), 부평(富平)에 이어 쓰인 행정명이다. 따라서 길주는 부평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바로 직전의 명칭으로 길한 고을이란 뜻이다. 즉, 고려 충렬왕이 평소 매 사냥을 즐겨 징매이고개[景明峴]에 국립 매방을 설치하고 계양고을에 와서 수렵을...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1동에 있던 자연 마을. 『조선지지자료』에는 석촌면 속하는 깊은구지를 심곡리(深谷里)으로 표기하고 있다.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깊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깊은구지에서 ‘깊은’은 ‘깊다’는 우리말이고, ‘구지’는 ‘곶’이 그 원형으로 ‘곶’을 ‘고지·구지·꽃’으로 발음하였다. 그러므로 깊은구지는 골짜기에서 들판 쪽으로 툭 튀어나온 곳에 있어 붙여진...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지하철 7호선의 역. 까치울역은 지하철 7호선 751번 역이다. 기점인 장암역에서 까치울역까지의 총 거리는 49.1㎞이다....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에 있던 자연 마을. 이 지역에 야생화가 많이 피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데, 한자로는 화곡(花谷)이라 한다. 꽃구지가 있던 자리에는 현재 삼진연립주택이 들어서 있다. 꽃구지를 지나 도당동으로 가는 도로가 새로 나 있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마을 중 하나이다. 1994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신안아파트 단지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주변으로 솔안공원이 있어 주민들의 휴식 및 산책로로 이용되며, 마을 외곽으로 시민의 강이 흐르고 있고, 마을 곳곳에 동백꽃과 은행나무, 단풍나무...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4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한진아파트, 삼환아파트, 동아아파트, 서안아파트, 건영아파트와 위브더스테이트 주상 복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2동 계남고가사거리와 먹거리삼거리 근처에 위치하며, 마을 외곽으...
-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에 있는 역곡 하수처리시설 상부에 조성한 생태공원. 역곡 하수처리시설은 굴포하수처리장 방류수를 깨끗하게 재처리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재처리된 방류수는 상동 지구에 영업용수와 공공용수로 공급되고, 삼정동 공장 지역에도 공업용수로 공급된다....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 있던 자연 마을. 『조선지지자료』에는 내촌리(內村里)로 표기되어 있다. 이는 내동이 삼정이나 약대, 도당에 비해 뒤늦게 생긴 동네임을 보여준다. 우리말로 안말이지만 동네 이름이 내촌주막과 육형제마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내촌의 옛 말은 안말·안약대이다. 안쪽에 위치한 약대를 지칭하는 말이다. 내촌주막은 땅 이름으로 보아 부평으로 가는 대장 한다리, 약대...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자연 마을. 넘말은 언덕 너머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장말[중동]에서 작은 산을 넘으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넘말은 간람말이라고도 한다. 간람말은 간담말의 잘못된 표기로 가운데마을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간뎃말→간담말로 변하고 다시 간람말로 변하여 중리(中里)라는 이름이 붙여진 배경이 되었다. 원래 중리는 농경지 중심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중동대로와 흥천길의 교차로. 넘말사거리는 부천군 소사읍 중리에 있던 ‘넘말’이라는 마을 이름에서 명칭이 유래된 것이다. 넘말은 ‘넘어 마을’이라는 데서 취한 것으로, 장말에서 언덕을 넘어 이루고 있다는 뜻이다. 장말은 덕수장씨가 많이 살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동대로와 홍천길의 교차로로 왕복 8차선이다. 넘말사거리는 많은 차량이 왕래하는 곳으로 주...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오정마루 서남쪽 아래 능성에 있던 마을이다. 지형이 마치 누런 소가 누워 있는 모양과 같다 하여 누른말이라 하였으며, 한자로 와우리(臥牛里)라 표기하였다. 한편, 마을에 나루터가 있어 누른말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누른’ 또는 ‘누룩’은 나루를 가리키는 말로, ‘’에서 ‘노’가 되고 이것이 누른, 누룩을 거쳐 나루로...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신도시가 되면서 새로이 형성한 신도시 마을 중 하나이다. 2002년 9월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다정한마을은 4개의 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마을 주변으로 단지 내에 시냇가와 연못 있으며, 징검다리와 돌다리로 이어져 있고, 마을 외곽은 공원으로 이루어져 있는 등...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서 대장동 일원에 걸쳐 있는 들길. 대장동이 부천에서 낙후된 지역으로 손꼽혔는데, 대장들길은 많은 부천시민들이 찾아와 생기와 활력이 가득한 마을로 거듭나고 사계절 정취를 느끼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2010년 오정동 참 살기 좋은 마을가꾸기 사업을 통해 조성되었다. 대장동 들판은 1925년도 일제시대 때 설립된 동부간선수로로 인해 넓은 들판이 형성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논. 덕배미는 땅이 기름진 논이라는 뜻이다. ‘배미’는 논배미의 준말로 논의 뙈기를 세는 단위이다. ‘덕(德)’이란 한자를 풀이하면 ‘덕스럽다’는 뜻이지만, 고어에서 ‘덕’은 가파른 언덕을 나타내기도 하므로 ‘가파른 언덕 위에 있는 논’을 뜻하기도 한다. 덕배미 주위에 저수지가 있어 농사짓기에 좋은 환경이었다. 예부터 농민들의 입을 통해 “소래산의 맑고...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6년 주공아파트 2단지가 입주하기 시작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중3동 길주길에 위치하며, 마을 외곽으로 시민의 강이 흐르고 있어 주민들의 휴식 및 산책로로 이용되며, 마을 곳곳에 나무와 꽃이 심어져...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던 둑. 데부둑은 경기도 김포시에서 지금의 대장동 큰말을 지나 삼정동을 거쳐 약대, 사래이, 구지말까지 뻗어 있던 둑이다. 일본말로 둑이라는 뜻인 ‘데보’에 우리말 ‘둑’이 합쳐진 데보둑이 변화하여 ‘데부둑’으로 불렸다. 굴포천의 직포가 서해의 바닷물이 밀려들어 농업용수로 쓸 수 없어 한강 물을 끌어들이기 위하여 만들었다. 일제강점기 때 중국 노동자들을 동...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 춘의동, 여월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시책으로 19...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도당의 ‘도(陶)’는 ‘건너’, 또는 ‘너머’를 뜻하고, ‘당(唐)’은 ‘산’을 뜻한다. 그러므로 도당이란 ‘건너 산’이란 의미이다. 예전에 춘의산 서쪽 언덕에 해묵은 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시월 상달이면 이 나무에 음식을 차리고 고사를 지냈다. 지금은 그 흔적이 없어졌지만 도당(陶堂)이란 이름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에 있는 도심 속 테마형 수목원. 도당수목원은 도당공원 안에 조성되어 있는 테마형 수목원으로 도심 속에서 다양한 나무들을 체험할 수 있는 생태 수목원이다....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인간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도로는 농업과 상업이 발달하면서 인간·우마차·차량 등의 이동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생산과 유통 등 경제적 기능뿐 아니라 정치적·문화적으로도 중요한 기능을 담당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역도(驛道)가 조성되었고,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더욱 발전하였다. 일제...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서 도당동 사이에 있는 도로. 도당동과 약대동을 연결하는 도로이면서 주변에 부천체육관 등의 스포츠 시설이 있어 도약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1990년대 이전에는 농사를 짓는 논이었다. 상동 신시가지가 계획되면서 도약길이 더 연장되어 지금의 모습으로 길어졌다. 2005년 이후 약대동 주택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폭 15m인 도약길이 25m로 확장되었다. 도...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있는 도로. 동부시장 옆을 지나는 도로라 해서 동부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도로의 폭은 25m이고, 왕복 4차선이며, 총 길이는 0.5㎞이다. 역곡동 동부시장을 지나는 도로로서 역곡역 남부광장 앞에서는 온누리웨딩홀과 홈플러스 앞 삼거리에서 현대7차아파트와 성우3차 아파트 사이로 동부시장을 지나며, 남쪽으로는 농업기술원 종자시험장으로 통한다. 또한 동막골 황토참...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가운데 하나이다. 2002년 5월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라일락마을은 6개의 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 구간[온수~부평 구간] 공사가 상동 무지개사거리를 중심으로 라일락마을과 인접해서 시행 중이다. 마을 주변...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2004년 11월 대덕건설에서 지은 주상 복합 아파트인 리파인빌은 20층 건물 1개 동으로 면적별 세대 수는 62.81㎡ 102세대, 112.4㎡ 136세대 등 총 238세대가 살고 있다. 현관 구조는 계단식, 난방 방식은 지역 난방, 연료는 LP 가스를 사용한다. 357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경인선 송내역에서 버스로 10분 거...
-
경기도 부천시에서 국내 유명 만화 또는 작품 제목을 53개의 거리·골목 이름으로 명명한 사업. 만화 도시 부천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시민들에게 만화에 대한 친근감을 높임과 동시에 부천 지역을 명소로 만들기 위해 부천시가 주요 거리와 골목 53개 지역을 만화의거리로 지정한 사업이다. 대표적인 만화의거리로 둘리의 거리와 왈순아지매거리가 있다. 만화 도시 부천의 명성에 걸맞는 도시 이미...
-
경기도 부천시 심곡동에 있던 자연 마을. 먹적골은 그 원형이 막잣골이다. 앞 글자 ‘막’은 ‘막히다’의 뜻이고, ‘잣’은 ‘자+ㅅ’을 가리킨다. ‘자·재’는 ‘성(城)·산(山)’의 의미이고, ‘ㅅ’은 중세어의 합성어 조어법에 들어간 사이시옷으로 관형격 ‘의’로 쓰였다. 따라서 막잣골의 의미는 ‘막힌 산의 골짜기’란 뜻이다. ‘막잣골’이 막작골이 되었는데, 이는 말음 ‘ㅅ’이 뒤의...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과 춘의동 사이에 있는 도로. 멀뫼로는 멀리 보이는 아름다운 산이란 뜻의 원미산의 우리말 이름인 ‘멀뫼’에서 따온 이름이다. 도로의 폭은 25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1.935㎞이다. 원미동을 남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멀뫼로는 원미동 주민들의 중요한 교통로가 되고 있다. 서울신학대학교역 지하에서 멀뫼사거리까지 이어진 소사로가 끝나고 멀뫼로가 시...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 있던 자연 마을. 멧마루의 멧은 산을 뜻하는 ‘메’와 같은 뜻의 말이다. 마루는 신라시대에 왕이 높은 곳에서 나라를 다스렸다는 데서 나온 말로 으뜸, 높은, 또는 등성이를 뜻한다. 그러므로 원종동인 멧마루는 산등성이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물가에 접해 있는 ‘으뜸언덕마을’로 풀이할 수 있다. 부천시로 승격되기 전에는 부천군 오정면 원종리 지역이었으...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2003년 8월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LG상록아파트로 형성되었다. 마을 주변으로 시민의 강이 흐르며, 마을 곳곳에 목련 및 나무 등이 심어져 있는 등 친환경적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동의 중서부에 있는 마을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동신아파트와 럭키아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중1동 부명사거리와 중앙공원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에 넓은 중앙공원이 있어 주민들의 휴식 및 산책로로 이용된다. 마을 외곽으로 시...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서 내동 사이에 있는 도로. 부천문화예술회관 앞을 지나는 길로 예정되어, 활발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문예로라고 이름 붙였다. 15년 전(2007년 기준) 신도시 건설 당시 부천시는 부천문화예술회관을 지금의 부천시청 옆인 중동 1153번지에 건축하는 쪽으로 계획하고 부지를 마련하였다. 문예로는 이때 부천문화예술회관을 지나도록 조성된 도로이다....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과 1995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삼성아파트, 동성아파트, 한신아파트, 금호아파트, 한양아파트, 롯데미리내아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중1동 중앙공원사거리에 위치하며, 마을 주변에는 넓은 중앙공원...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던 우물. 우물이 양지마을 쪽 춘의산 아래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양지말에서 춘지봉으로 올라가는 초입에 있는 작은 옹달샘으로, 상수도가 설치되기 전까지 마을 주민들의 생활용수와 식수로 이용되어 소중히 다루어졌다. 예전에는 유명한 약수로서 사대부집 규수들이 쌍가마를 타고 와 약수를 떠 놓고 치성을 드리곤 하였다. 하지만 양지마을에 이사를 온 한 아낙...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신도시가 되면서 새로이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중 하나이다. 반달마을은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선경아파트, 삼익아파트, 동아아파트, 건영아파트, 신라아파트, 극동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송내역 인근에 있으며 한아름사거리에서부터 서촌사거리까지 걸쳐 있...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서 밖오쇠리마을로 연결되어 있던 둑. 『조선지지자료』에도 대장리에 속하는 방오리보라는 지명이 나온다. 방오리보(方五里洑)는 지금의 대장동 큰말에서 오쇠동 앞들로 연결된 둑이다. 둑의 길이가 오리(五里)쯤 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1890년경 지금의 대장동 지역에 물길을 대기 위하여 만들었으며, 둑길은 부평도호부에서 한다리를 거쳐 서울로 가는 마찻길로 이용...
-
경기도 부천시에서 수돗물을 여러 지역에 나누어 보내 주기 위해 만든 시설. 부천시의 배수지는 정화 과정을 거쳐 깨끗해진 물이 가정에 공급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거치는 연못을 말한다. 급수량을 조절하면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소사제1배수지, 소사제2배수지, 역곡배수지, 범박배수지, 송내배수지, 심곡배수지, 도당배수지 등 7곳이 있다. 소사제1배수지는 소사동 297...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 도당공원 내에 있는 테마 공원. 백만송이장미원은 낙후되어 우범 지대로 전락한 도당산 인근을 주민의 휴식처로 꾸미기 위하여 부천시에서 1998년부터 150,000여 그루의 장미나무를 식재하기 시작하면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장미나무 한 그루당 7~10송이의 장미꽃이 핀다고 할 때 최소 1,000,000송이의 꽃을 볼 수 있는데, 백만송이장미원이라고 이름 붙...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2002년 3월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LG상록아파트, LG SK아파트, 풍림아이원아파트, 동남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마을이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부천 지역 구간의 하부 공간 2만여 평에 시민들을 위한...
-
경기도 부천시 중2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시책으로 1994년 7월 30일...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지지자료』에는 옥산면에 속하는 벌응절리(伐應節里)로 표기되어 있다. 한자대로 풀이를 하면 ‘치고 응하는 마을’, 즉 싸움에 대응해서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벌응절리 뒷산을 둔대라고 하는 데, 이 둔대를 군대가 주둔한 곳이라고 해석을 해서 군대가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벌응절리에서 ‘벌(伐)’은 개간되지...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행정동으로서 범박동은 법정동인 범박동, 계수동, 옥길동을 관할하고 있다. 범박동은 1957년 신앙촌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범박골로 알려진 한적한 시골 마을이었다. 범씨(範氏)와 죽산 박씨(竹山朴氏)가 정착하여 범박동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도 하고, 할미산에서 마을을 내려다보면 마치 호랑이 앞발자국과 모양이 같아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한다. 범...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신도시가 되면서 새로이 형성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2002년 4월 28일부터 입주가 시작된 세종그랑시아아파트 단지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마을 주변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와 인천시 사이에 위치한 완충 녹지 지역으로서 자연 녹지 지역으로 지정되어 토...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2002년 11월 보강건설에서 지은 주상 복합 아파트인 보강센트럴빌 1차는 13층 건물 1개 동으로 모두 72세대가 살고 있다. 세대 당 공급 면적은 89.26㎡, 현관 구조는 계단식, 난방 방식은 개별 난방, 연료는 도시가스이며 72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1호선 부천역에서 도보로 5분거리에 있다. 생활 편의 시설로 이마트·...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민들의 복지 및 여가 증진과 체육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부천시에서 1994년 7월 30일에 조성하였다. 복사골공원의 면적은 2만 5,783.1㎡로 야외 운동 기구와 녹지 공간을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테니스장·노인정·족구장 등의 편의 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근력 강화머신 등의 야외 운동 기구들이...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복사골은 복숭아꽃이 많이 피는 마을이라는 옛 지명으로 복숭아꽃을 의미하는 복사와 마을을 의미하는 골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건영아파트와 시영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도로. 복사골 문화센터 앞에 있는 중동대로와 장말길이 교차하는 길이어서 복사골사거리라고 이름 붙였다. 송내역 남부광장에서 중동대로로 도보로 10분 거리에 복사골 문화센터가 위치해 있다. 복사골사거리는 중동대로와 장말길이 교차하는 데, 동쪽으로는 구 원미구청 방향으로, 서쪽으로는 상1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복사골사거리 주변에는 상동 꿈동산마을, 상동 사랑...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 송내사거리에서 심곡본동 부천역 남부광장 사이에 있는 도로. 부천 남쪽의 성주산을 따라 이어져 있는 관계로 송내동 구간의 경우 경사가 급하지만 심곡본동 구간의 경우에는 평지로 이어진 도로이다. 소사동·심곡동 일부와 송내동을 중심으로 복숭아 등의 과수 재배가 활발하여 봄이면 복숭아꽃이 만발한다. 그래서 송내동을 둘러 난 이 길을 복숭아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도로의...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서 역곡동 사이에 있는 도로. 부천에서 경인철도를 따라 제일 먼저 개설된 도로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기존의 역곡로와 부일로가 합쳐지면서 부일길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도로의 폭은 25~30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7.060㎞이다. 구 소사구 지역을 관통하는 도로로 경인고속국도, 경인선과 나란히 구 원미구 지역을 동서 방향으로 지난다. 동쪽에서...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 부천 자연 생태 공원 안에 있는 수목원. 부천 무릉도원 수목원은 부천 자연 생태 공원 내에 조성된 수목원이다. 부천 자연 생태 공원 내에는 부천 식물원, 사계절 정원, 어린이 동물원, 농경 유물 전시관, 자연 생태 박물관 등의 자연 생태 학습 및 체험 시설이 있다. 도심 속에 자연과 인간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쾌적한 환경에 대한...
-
부천영상문화단지에 위치한 무형문화 유산의 상품화, 세계화, 전통문화 산업의 저변 확대를 위해 조성한 거리. 부천 무형문화 공방거리는 지난 2006년 문화관광부와 경기도에서 지역공예공방 및 전시판매장 설치 권장사업으로 선정돼 부천시가 총 2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008년 9월에 완공했다. 부천시에서 2008년 10월 10일 개막한 제1회 부천세계무형문화엑스포를 유치하면서 경기도 무...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 부천 자연 생태 공원 안에 있는 식물원. 부천 식물원은 부천 자연 생태 공원 안에 조성된 수목원이다. 부천 자연 생태 공원 안에는 이 밖에도 부천 무릉도원 수목원, 사계절 정원, 어린이 동물원, 농경 유물 전시관, 자연 생태 박물관 등의 자연 생태 학습 및 체험 시설이 있다. 도심 속에 자연과 인간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쾌적한 환...
-
부천 북부역 광장 이면도로 0.37Km 주변을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디자인하여 특화된 거리. 슬럼화된 부천 북부역 광장을 일대를 혁신적으로 재정비하는 동시에 만화도시 부천의 이미지를 한 단계 더 승화시키고 만화가 부천 시민들에게 만화에 대한 더욱 더 친근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상로’를 조성하기로 했다. 부천시는 심곡동 부천역 북부광장 이면도로 0.37Km 구간에 사업비 32억원을...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있는 생태, 역사, 문화를 주제로 한 4개 코스의 둘레길. 부천문화둘레길은 생활 속에서 만나는 일상의 길에 ‘생태, 역사, 문화’라는 다양한 키워드로 연결, 스토리가 있는 코스로 구성한 둘레길이다. 지역 주민과 부천 지역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이 함께 참여하여 기획·개발에 참여하였다. 부천만의 스토리를 담은 총 4개 코스로 도심과 동네 길, 숲, 하천 등을 체험할...
-
경기도 서부에 있는 시. 부천시는 서울특별시의 위성 도시로서 동쪽과 북쪽은 서울특별시, 서쪽은 인천광역시, 남쪽은 경기도 시흥시와 각각 접한다. 2016년 9월 현재 인구는 33만 50가구 84만 9475명이며, 행정 구역은 36개 동, 688개 통, 4,943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천시청은 길주로 210[중동 1156]에 있다. 부천시의 자연 환경을 살펴보면, 기반암은 주...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에 있는 어린이 교통 안전 교육 시설. 부천시 어린이교통나라는 어린이들에게 실제 발생한 사고 사례에 입각한 교통 안전 실습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교통 사고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방어 능력을 길러주고, 어린 시절부터 교통 법규 준수의 중요성 등을 인식시켜 장래 건전한 시민으로 육성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2002년 4월 30일 건립되었다. 부천시 어린...
-
경기도 부천시 신중동에 있는 지하철 7호선의 역. 부천시청역은 지하철 7호선 755번 역이다. 기점인 장암역에서 부천시청역까지의 총 거리는 53.3㎞이다....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수도권전철 1호선 역. 부역명은 부천대입구. 1899년 경인선이 개통됨에 따라 그 노선 가운데 중간 역으로서 1899년 9월 18일 소사역으로 개통되었다. 한국 최초의 기차역 중 하나로, 경인선 개통 당시의 역명은 소사역(素砂驛)이었다.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과 동시에 부천역(富川驛)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1980년 8월 10일 김...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지하철 7호선의 역.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지하철 7호선 752번 역이다. 기점인 장암역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까지의 총 거리는 50.3㎞이다....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되어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부천시민들의 여가 생활과 휴식을 장려하고 체육 활동을 지원...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들어서는 장사(葬事) 시설. 우리나라에서 인구 80만 명 이상의 시민이 살고 있는 도시 중 자체 장사시설이 없는 지역은 부천시를 포함한 11개 지역이다. 이에 부천시민들은 그 동안 불편을 감수하고 인천·춘천·전주·원주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 시설을 이용해 왔다. 그러나 화장 및 납골 문화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다른 지역 주민들이 공립 봉안 시설 이용...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종합 버스 터미널. 부천터미널 소풍은 옛 부천시외고속터미널의 낙후된 시스템과 복잡한 동선, 교통 혼잡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부천시를 서부 수도권 교통 중심지로 키우기 위해 하루 35,000명이 넘는 인원이 이용할 수 있는 넓은 규모로 2007년 10월 건립되었다. 국내 최대 터미널인 부천터미널 소풍은 2007년 10월 1일에 개통하였으며, 같은 해 1...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는 하수종말처리장. 경기도 부천시 벌말로 220[대장동 434] 일원에 건립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처리인구는 1,721,000명이고, 처리용량은 하수 900,000통/일, 분뇨 500톤/일, 재이용 45,000통/일이다. 처리방식은 1단계는 표준 활성슬러지법, 2단계는 고도처리(4-Stage BNR)공법, 재이용시절은 생물막여과공법을 사용한다. 수질 개선을...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2008년 5월 비와이시건설에서 지은 주상 복합 아파트인 비와이시위더스빌은 20층 건물 1개 동으로 공급 면적은 102.48A㎡, 102.48B㎡, 102.48C㎡, 102.48D㎡, 115.703㎡의 5가지 크기이며 총 102세대가 살고 있다. 난방 방식은 개별 난방, 연료는 LP가스를 사용한다. 내부는 빌트인 시스템을 적용하여 거실...
-
경기도 부천시 상3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2007년 1월 상록종합건설에서 지은 주상 복합 아파트인 비잔티움 상동은 지하 7층, 지상 37층 건물 1개 동으로, 대지 면적은 3,323.90㎡이고, 용적률은 1,188.24%이다. 지하 1층에서 지하 5층은 주차장, 지하 6층은 주차장과 기계·전기실, 지하 7층은 기계·전기실이다. 1층에는 근린 생활 시설과 아파트 로비가, 2층...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삼익아파트, 선경아파트, 벽산아파트, 청구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마을이다. 교육마을로도 일컫는다. 마을 외곽으로 시민의 강이 흐르고 있어 주민들의 휴식 및 산책로로 이용되며,...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래울은 ‘새를’이라고도 부르고, ‘사하리(沙下里)’·‘사리월(士里月)’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표기가 되어 있지 않다. 『부천시사』나 『부천사연구』 등에서는 죽산박씨 박철정이라는 선비가 와서 정착을 했다고 해서 사래리(士來里)라고 부른다고 했다. 또 사래울에서 ‘사래’라는 말을 산과 산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자연 마을. 명칭의 유래는 세 가지 설이 있다. 홍수 때 산에서 모래가 마을이나 논까지 많이 밀려와 사래이라 하였다는 설, 서촌말이나 주변 마을 지주들이 묘지기나 마름에게 보수로 사례를 한 땅이라 하여 붙여졌다는 설, 장말과 솔안말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사래이라고 하였다는 설 등이다. 조선시대에는 부평군 석천면 상리 지역...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던 자연 마을. 산골이란 이름은 한자로 쓰면 산곡(山谷)이고 고대어로 쓰면 미골이다. 이곳을 미골이라 하지 않고 산골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이곳 마을이 조선시대에 들어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송내동 398번지[경인로60번길 18] 일대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한국전력공사와 부천여자중학교가 있는 주변 지역에 해당된다. 이곳은 약 300여 년 전부터 평산신씨...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산에 우물이 있어 마을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으나 어느 마을이나 산쪽에 우물이 있게 마련이다. 장말에서 보는 관점에서는 산 너머에 있는 마을이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이 있지만 장말하고는 그 거리가 상당히 멀어 설득력이 부족하다. 산우물은 솔안말 검디의 산자락 아래에 있어 검디와의 연관성으로 풀어야 옳다. 산우물은 삼우물을 산으로 잘못 표기한...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상동의 옛 지명으로는 사래이 또는 사랑리(沙浪里), 구지리, 장포들[張浦坪], 신상리, 벽돌막[새마을], 신마분리(新馬墳里) 등이 있으며, 논에도 따로 이름이 있었다. 홍수 때 산에서 마을과 논까지 모래가 많이 밀려 왔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사래이라 하였는데 이처럼 척박한 토양으로 인해 전답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 곳이었다. 또한 서촌말이나 주변 마을...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상동의 옛 지명으로는 사래이 또는 사랑리(沙浪里), 구지리, 장포들[張浦坪], 신상리, 벽돌막[새마을], 신마분리(新馬墳里) 등이 있으며, 논에도 따로 이름이 있었다. 홍수 때 산에서 마을과 논까지 모래가 많이 밀려 왔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사래이라 하였는데 이처럼 척박한 토양으로 인해 전답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 곳이었다. 또한 서촌말이나 주변 마을...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상동의 옛 지명으로는 사래이 또는 사랑리(沙浪里), 구지리, 장포들[張浦坪], 신상리, 벽돌막[새마을], 신마분리(新馬墳里) 등이 있으며, 논에도 따로 이름이 있었다. 홍수 때 산에서 마을과 논까지 모래가 많이 밀려 왔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사래이라 하였는데 이처럼 척박한 토양으로 인해 전답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 곳이었다. 또한 서촌말이나 주변 마을...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법정동으로서 상동은 행정동인 상동, 상 1동, 상 2동, 상 3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송내역 및 중동역 중심으로 역세권이 형성되었고, 신구 도시의 기능이 병존하며 문화 및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하고 있다. 상동의 옛 지명으로는 사래이 또는 사랑리(沙浪里), 구지리, 장포들[張浦坪], 신상리, 벽돌막[새마을], 신마분리(新馬墳里) 등이 있으며...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지하철 7호선의 역. 상동역은 부천시청역과 삼산체육관역 사이에 있다. 지하철 7호선 756번 역이고, 기점인 장암역에서 상동역까지의 총 거리는 54.2㎞이다....
-
경기도 부천시 중동과 상동 및 송내동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아파트 단지. 상동택지개발지구는 1997~2002년에 걸쳐 경기도 부천시 일원의 면적 3,117,369.4㎡에 세워진 대단위 아파트 단지이다. 1999년 4월 15일 1공구에 대한 조성 공사가 착공되어 1999년과 2000년에 실시 계획이 변경 승인(경기도 고시 제1999-403호, 경기도 고시 제2000-227호)되었으며,...
-
경기도 부천시 상2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는 2003년 3월 31일 시민들의 야외 활동 장려와 시민...
-
경기도 부천시 상동의 상동호수공원 안에 조성된 식물원. 상동호수공원 테마식물원이 자리한 상동호수공원은 부천시에서 2003년 3월 31일 시민들의 야외 활동 장려와 복지를 위해 상동호수를 중심으로 대규모 공원으로 조성하기로 결정하면서 만들어졌다. 면적은 18만 130.3㎡이고, 호수의 평균 수심은 1.0~3m이다. 공원 안에는 매점·분수 등 편의시설은 물론이고 다양한 종류의 야외 운...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 있던 둑.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조선지지자료』에는 새기보가 수역리보(壽域里洑)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수역리는 ‘목숨의 경계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수역리는 수여기라는 말을 취음(取音)한 것으로, 이는 수오기에서 파생한 말이다. 수는 숲, 오기는 마을의 옛 말인데 수오기는 숲이 우거진 마을이라는 뜻이다. 『부천 문화의 재발견』에 따르면 새기는...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새로 들어선 마을이라고 해서 새말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아 일제시대 이후에 생긴 마을이다. 베리네천을 사이에 두고 작미골에 새말과 새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을 부근에 은데미산을 넘는 새말고개가 있었고, 마을 건너편에는 삼태기산이 있었다. 은데미산 동남쪽에 새로 마을이 형성된 것이다. 작동에서 여월동 쪽에 있던...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큰말에서 섬말까지 이어진 둑.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조선지지자료』에는 신보(新洑)로 기록되어 있다. 새보둑은 새로 만들어진 둑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새보둑은 원종동인 거칠개에서 시작한 방오리보에 연결하여 큰말을 지나 섬말까지 연결된 둑이다. 1900년경 서해의 바닷물이 밀려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새보둑이 조성되면서...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샘말은 『조선지지자료』에는 간촌(澗村)으로 표기되어 있어 물가 옆에 있는 마을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우리말로는 섬말로 표기되어 있다. 샘말은 샘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섬말이 샘말로 바뀐 것으로 여겨진다. 섬말은 섬처럼 물길이 휘돌아 가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강상골이나 응구리에서 보았을 때 마을이 마치 섬처...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자연 마을. 샛골은 샛말에서 뒤골 쪽으로 철탑 못 미친 지역, 즉 샘말과 뒤골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원래는 이곳에 마을이 없었는데 1950년 밀양변씨 변호면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남쪽으로는 대머리산이 있고, 북쪽으로는 뒤골이 자리 잡고 있다. 샛골은 부천시 고강동 263번지 일대로 가구 수는 총 3가구이다....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오정마루에서 서쪽으로 능성이를 이룬 곳에 새로 마을이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혹은 새마을을 줄여서 부른 이름이라고도 한다. 샛말은 큰말과 누른말 사이에 있던 조그만 마을로 현재 오정동 275~284번지 3통과 23통 지역이다. 오정큰길이 뚫리면서 조각난 마을이 되었다. 전씨가 주축이 되어 마을이 형성되었고, 현재도 몇 가구의 주...
-
경기도 부천시 상1동에 있는 근린공원. 서촌공원은 1993년 6월 30일 부천 시민들의 편의시설 증대를 통한 복지 증진과 체육활동 장려를 위해 건립되었다. 서촌공원의 면적은 약 1만 6,580.2㎡이다. 다목적 체육관이 있어 시민들이 체육활동을 하기에 적합하다. 주요 시설로는 다목적체육관·LED파고라·등의자·음수대 등 편의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
-
경기도 부천시 송내1동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시대 부평도호부 때는 이 지역을 마분리(馬芬里)라고 했는데, 이는 마분리(馬憤里)의 잘못된 표기이다. 마분리는 말[馬]이 묻힌 무덤이 아니라, 족장의 무덤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말이 글자 앞에 위치하면 신성한 족장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서촌말은 이천서씨가 살고 있어서 서촌말이라고도 하고, 부천에서 볼 때 서쪽에 위치해 붙여진 이름...
-
경기도 부천시에서 북쪽으로 경기도 고양시, 남쪽으로 충청남도 홍성군까지 연결하는 간선철도. 서해선은 경기도 부천시를 중심으로 북쪽으로 경기도 고양시 일산역과 남쪽으로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부천 지역에 해당하는 구간은 대곡-소사, 소사-원시 구간으로 부천시와 시흥시, 안산시를 관통하는 등 수도권 서남부 지역을 비롯한 수도권 도시들을 연결한다. 서해선 노선...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근린 공원. 경기도 부천시에서 시민들의 복지 향상을 위해 1993년 6월 30일에 설립한 석천공원은 중동 신도시 내 아파트 밀집 지역에 위치한 공원으로서, 주변에 학교와 교회가 있어 주로 중학생 이상의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섬말은 한강수리조합이 생기기 전에는 독립적인 섬이었던 곳으로 섬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섬말이라 불린 듯하다. 한강수리조합이 생긴 뒤에도 서해 조수가 완전히 정리되기 전에는 나무토막과 널빤지를 이어 만든 다리가 있었다. 그러다가 이 다리가 없어지고 섬말과 큰말 사이에 징검다리가 놓였다. 지금도 이곳에는 그 흔적인 갈대밭이 형성되어 있다. 섬...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부천에서 가장 넓고 인구 또한 가장 많은 동으로 법정동인 여월동, 작동, 원종동 일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동 이름에 ‘성(城)’ 자가 붙어 성 터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부천시의 지리적 여건으로 보아 임진왜란과 관련된 지역으로 보인다. 『임진록(壬辰錄)』이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1592년(선조 25) 왜적이 침입하여 부평...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1동에 있는 근린 공원. 성주산 산새공원은 2006년 6월 1일 부천시민들의 체육 및 여가 활동을 장려하고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건립되었다. 성주산 산새공원은 총 면적 20,000.0㎡ 규모로 농구장·게이트볼장·야외 무대·계류·주차장 등 편의 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머신·로윙라이더머신·스윙워커머신·레그프레스머신·레그...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1동에 있는 근린 공원. 성주산 생활체육공원은 2006년 12월 15일 경기도 부천시 주민들의 생활 체육을 장려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성주산 생활체육공원의 총 면적은 25,225.0㎡이다. 축구·인라인·조깅·농구·족구 등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인조잔디운동장, 테니스장, 체력단련장 등의 체육공원이 있으며,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근린 공원. 성주산 약수터공원은 2004년 5월 15일 부천시민들의 쉼터 확충과 야외 및 체육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성주산 약수터공원의 총 면적은 33,800.0㎡이다. 애생화원, 꽃향기, 복사꽃광장 등의 공원과 약수 터·LED파고라·배드민턴장 등의 편의 시설이 있으며,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머신·로...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1동에 있는 근린 공원. 소사대공원은 2007년 12월 20일 부천시민들의 복지 증진과 야외 활동을 장려하고 체육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소사대공원의 총 면적은 39,813.6㎡이다. 공원에는 실개천·조합놀이대·농구장 등의 편의 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머신·로윙라이더머신·스윙워커머신·레그프레스머신·레그스트레...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소사동은 1899년(고종 36) 경인선 소사역이 개통된 뒤 역 이름을 따서 동 이름으로 만든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부천 지역에서 가장 먼저 근대화의 물결을 받아들인 곳이기도 하다. ‘소사’는 부천 토박이말로 ‘소새’ 또는 ‘소쇠’로 읽는다. 1943년 발간된 이태준의 단편집 『돌다리』 중 ‘무록(無綠) 소새’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과 소사본동 사이에 있는 도로. 소사본동을 통과하는 주요 도로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도로의 폭은 25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2.150㎞이다. 멀뫼사거리에서 시작되는 소사로는 서울신학대학교 역 아래 지하차도를 지나, 부천의 남쪽과 북쪽을 이으면서 경인옛길과 교차하며, 소사사거리, 소사초등학교 사거리, 소종3길 사거리, 복사초등학교, 소사고...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소사동은 1899년(고종 36) 경인선 소사역이 개통된 뒤 역 이름을 따서 동 이름으로 만든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부천 지역에서 가장 먼저 근대화의 물결을 받아들인 곳이기도 하다. ‘소사’는 부천 토박이말로 ‘소새’ 또는 ‘소쇠’로 읽는다. 1943년 발간된 이태준의 단편집 『돌다리』 중 ‘무록(無綠) 소새’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를 알...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소사동은 1899년(고종 36) 경인선 소사역이 개통된 뒤 역 이름을 따서 동 이름으로 만든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부천 지역에서 가장 먼저 근대화의 물결을 받아들인 곳이기도 하다. ‘소사’는 부천 토박이말로 ‘소새’ 또는 ‘소쇠’로 읽는다. 1943년 발간된 이태준의 단편집 『돌다리』 중 ‘무록(無綠) 소새’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던 천부교 교인들의 마을. 신앙촌은 천부교인들이 이슬성신절, 성신사모일 등 축복일 예배를 드리기 위해 조성된 마을이며, 천부교인들이 살고 있는 곳이다. 천부교의 신앙촌으로는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위치한 소사신앙촌,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위치한 덕소신앙촌,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위치한 기장신앙촌 등이 있다. 소사신앙촌과 덕소신앙촌은...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2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소사역은 1974년 수도권 전철이 만들어질 때 지금의 소사본2동에 위치했던 역으로, 1997년 4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새로 들어서면서 간이역으로 개통되었다. 1999년 부천시 남구가 소사구로 행정구역명이 변경되면서 역명의 역할을 공고히 하고 있다. 부역명은 서울신대역이다. 관할기관은 코레일수도권서부본부이고, 역번호...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테마 거리. 고객들이 기호에 따라 편안하게 상점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별로 조성한 거리라는 의미에서 테마거리라는 명칭을 붙였다. 2002년 9월 심곡본동은 지역 상권을 회복하기 위해 부천시로부터 소사테마거리 예산을 지원 받아 골목 도로 포장, 상징 문주 및 배너 설치, 만화캐릭터 설치, 특색 조명 및 벤치 등을 설치하여 다양한 테마 거리를 조성...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근린 공원. 소새울공원은 2005년 12월 23일 부천시민들의 휴식 공간 부족을 해소하고, 야외 체육 활동을 장려하며, 복진 및 건강 증진을 위해 건립되었다. 소새울공원의 면적은 13,341.0㎡이다. 주요 시설로는 분수대·조깅트랙·배드민턴장·LED파고라 등의 생활 편의 시설과 장송 등 나무와 꽃들이 조성되어 있다. 야외 생활 체육 운동 시설로는 체스...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서해선의 역. 소새울역의 부역명은 ‘부천대소사캠퍼스’이다....
-
경기도 부천시 중2동에 있는 근린공원. 소향공원은 부천 태생의 시인인 이상로(李相魯)[1916~1973]를 기리고, 부천시민들의 편의 증진과 복지 향상을 위해 1993년 12월 21일에 건립되었다. ‘소향(素鄕)’은 이상로의 호로서, ‘소사가 고향이다’라는 의미이다. 소향공원의 면적은 1만 7,273㎡이며, 주요 시설로는 안개분수·배드민턴장·LED파고라·조합놀이대 등의 편의시설과...
-
경기도 부천시 상동과 중동을 연결하는 도로. 부천 태생의 시인 소향(素鄕) 이상로(李相魯)[1916~1973]의 호를 따서 이름 지은 길이다. 소향길이라고도 한다. 도로의 폭은 25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1.650㎞이다. 소향길은 상동에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중동IC로 나아가기 위해 자주 이용하는 길이며, 계남큰길을 통해 인천으로 가거나 수도권 제1순환고속...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시책으로 1994년 솔안공원을 건...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마을 초입에 오래된 소나무가 마을을 둘러싸듯 서 있어, 마을 사람들이 소나무가 둘러싸고 있는 안동네라는 의미로 '솔안말'이라는 지명을 즐겨 썼다. 솔안말을 한자로 바꾸면서 송내동(松內洞)이 되었다. 조선 시대 솔안말은 상리 쪽에 나아가 둑을 쌓아 농사를 짓거나 인근 산을 개간해 밭농사를 지었다. 솔안말에는 조선 시대 쌀을 저장해 두던 조창이 있었다....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마을 초입에 오래된 소나무가 마을을 둘러싸듯 서 있어, 마을 사람들이 소나무가 둘러싸고 있는 안동네라는 의미로 '솔안말'이라는 지명을 즐겨 썼다. 솔안말을 한자로 바꾸면서 송내동(松內洞)이 되었다. 조선 시대 솔안말은 상리 쪽에 나아가 둑을 쌓아 농사를 짓거나 인근 산을 개간해 밭농사를 지었다. 솔안말에는 조선 시대 쌀을 저장해 두던 조창이 있었다....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송내역은 솔안말[松內洞]에서 취한 역명이다. 1974년 부천시 승격과 더불어 전철역으로 개통되어 8월 15일 역무원 배치 간이역으로 개역하였다. 관할기관은 코레일수도권서부본부 부천그룹역이고 역번호는 150번지이며 역등급은 3등급이다. 1983년 8월 8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98년 9월 25일 현재 역사로 이전했다. 노선...
-
경기도 부천시 중동과 송내동을 경유하는 수도권 순환 고속국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일산~퇴계원~판교~일산을 원형으로 연결하는 도시 순환 고속국도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방사형과 순환형이 조화된 수도권 교통 체계를 구축하여 수도권 교통을 분산시키고, 특히 부천시 중동과 송내동을 비롯한 분당·일산·평촌·산본 등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수도권...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과 여월동 사이에 있는 도로. 옛날 이 도로 아래로 수도관이 설치되어 있었기에 수돗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도로의 폭은 25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3.48㎞이다. 중동 신시가지에서 신흥로를 타고 경인고속국도 방향 약대오거리에서 동부하이텍을 끼고 우회전하면 수돗길을 만날 수 있다. 약대동 141-16번지의 도라지길과 교차하면서 시작되는 수돗길은...
-
고려 전기 경기도 부천의 행정 지명. 계양산 북쪽 수소리(樹蘇里)에 청사가 있었는데, 이곳이 밀림 속처럼 울창하다 하여 수주(樹州)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수주는 고구려 때 주부토(主夫吐), 통일신라시대 장제(長堤)에 이어 세 번째로 쓰인 부평의 행정 지명이다. 고려 초에는 대체로 고려왕조에 협조적이거나 귀부(歸附)해 온 지방 세력의 근거지를 주(州)로 삼는 경우가 많았는데, 당시...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과 고강동을 연결하는 도로. 부천시 도로지명위원회에서 부천 출신의 영문학자이자 시인인 수주(樹州) 변영로(卞榮魯)[1897~1961]의 문학 혼을 기리고자 변영로의 호를 따서 이름 지은 길이다. 수주는 고려시대 부천의 지명이기도 하다. 1999년 9월 10일 준공되었으며, 길이 5,660m, 폭 25.35m의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역곡역에서 북쪽으로 직진하면...
-
경기도 부천시 숙공산을 거치는 트래킹 코스. 경기도 부천시 범박 현대홈타운에서 시작해서 숙공산을 거친 뒤 경기화학 철도선까지 연결되는 둘레길. 숙공산 둘레길은 범박 현대홈타운아파트에서 숙공산, 경기화학철도선에 이르는 구간을 가지고 있고. 길이는 총 2km이며, 폭은 2~3m이다. 시민들이 부천 지역 외곽을 여유롭게 둘러볼 수 있게 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범박 현대홈타운아파트에서 시...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2004년 7월 대덕건설에서 지은 주상 복합 아파트인 스타팰리스는 20층 건물 1개 동으로 면적별 세대 수는 92.56㎡ 17세대, 95.87㎡ 187세대로 모두 204세대가 살고 있다. 현관 구조는 복도식, 난방 방식은 개별 난방, 연료는 도시가스를 사용한다. 주차장에는 204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스타팰리스 주변으로 석천초등...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인공 하천. 중동·상동 신시가지가 생기면서 부천은 생활편의를 갖춘 자족도시로서 부족함 없는 도시가 되었지만, 콘크리트 숲에 둘러싸여 택지공간에 비해 녹지공간이 부족하였다. 시민의 강은 이런 배경 속에서 시민들과 시민단체의 염원을 수용하여 만들어졌다. 2003년 10월 상동 신시가지 내에 물길을 내고 물을 끌어들여 나무와 꽃, 물과 빛이 어우러지는 환경 친...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자연 마을. 홍수 때 산에서 내려온 모래가 마을과 논·밭으로 많이 밀려와 다래이라 하였다. 다래이의 발음이 변하여 사래이가 되었고, 다시 상리로 발음이 변하였다. 신상리는 새로 만들어진 상리라는 뜻이다.사래이, 상리는 장말과 구지말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가운데에 위치해 있다는 말이다. 부평수리조합이 설립된 뒤에 생긴 마을이다. 부평수리조...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지하철 7호선의 역. 신중동역은 지하철 7호선 754번 역이다. 기점인 장암역에서 신중동역까지의 총 거리는 52.2㎞이다....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신흥동은 법정동인 내동과 삼정동의 관할 행정동이다. 1975년 김포군 오정면에서 부천시로 편입될 때 새로 크게 흥하여 발전하는 지역이라 하여 신흥동(新興洞)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조선 후기 부평군 상오정면 내촌·도당리·삼정리·약대리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 개편 때 부천군 오정면의 도당리, 약대리, 내리, 삼정리로 개편...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과 오정동 사이에 있는 도로. 전 중구 신흥동을 관통하고 있고, 중동 신시가지 개발로 새롭게 일어나는 길이라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도로의 폭은 30~35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6.081㎞이다. 심곡본동 532-7번지[경인로 183-1]에서 오정동 342-3번지에 이르는 도로이다. 심곡고가사거리에서 국도 46호선 경인로와 만나 부천대학교,...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심곡(深谷)’이라는 말은 부천의 토박이말로 깊은 구지를 나타내지만, 골짜기가 아닌 허허벌판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어 한자의 의미와는 다르다. 심곡동 중 심곡1동은 벌막, 심곡 2동은 진말, 심곡 3동은 먹적골이라 불렀다. 심곡1동을 부르는 벌막은 평촌(坪村), 즉 벌판을 줄여 벌말이라 하였다는 설과 군대가 주둔하여 막을 쳤다 해서 벌막(伐幕)이란 설...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심곡(深谷)’이라는 말은 토박이말로 깊은 구지를 나타내지만, 골짜기가 아닌 허허벌판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어 한자의 의미와는 다르다. 심곡동 중 심곡 1동은 벌막, 심곡2동은 진말, 심곡 3동은 먹적골이라 불렀다. 심곡2동을 부르는 진말은 보통 ‘긴말’이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서 생긴 것으로 남북으로 길게 있는 마을을 의미한다. 『부천시사』에 의하...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심곡(深谷)’이라는 말은 토박이말로 깊은 구지를 나타내지만, 골짜기가 아닌 허허벌판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어 한자의 의미와는 다르다. 심곡동 중 심곡 1동은 벌막, 심곡 2동은 진말, 심곡3동은 먹적골이라 불렀다. 심곡3동을 부르는 먹적골은 조선 시대 목자리(牧自里), 즉 목자골로 불리다 1930년대 즈음 먹적골이 되었다. 성주산(聖柱山) 능선이 마...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심곡 본동의 ‘심곡(深谷)’은 토박이말로 깊은 구지를 나타낸다. 일대가 다른 지역에 비해 골이 깊다고 하여 깊은 구지[深谷]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하지만 골짜기가 아닌 허허벌판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어 한자의 의미와는 다르다. 깊은 구지는 부천군이 탄생하기 이전까지는 부평에 속하여 발전해 왔다. 부평 도호부(富平都護府) 이후의 부평군 때에는 석천면...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심곡본동의 ‘심곡(深谷)’은 토박이말로 깊은 구지를 나타낸다. 일대가 다른 지역에 비해 골이 깊다고 하여 깊은 구지[深谷]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하지만 골짜기가 아닌 허허벌판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어 한자의 의미와는 다르다. 깊은 구지는 부천군이 탄생하기 이전까지는 부평에 속하여 발전해 왔다. 부평 도호부(富平都護府) 이후의 부평군 때에...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모형 건축물 테마 파크. 아인스월드는 기존 놀이 시설 위주의 테마 파크와 다른 교육적·문화적 가치를 지닌 체험 공간을 제공하며, 각급 학교 및 청소년 단체의 교육 활용 도구와 단체 활동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아인스주식회사가 부천영상문화단지에 총 6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5년간의 설계 및 공사 기간을 거쳐 2003년 11월 15일 개관하였다. 모형 건...
-
고려 후기 부천의 옛 이름. 안남(安南)은 계양산의 다른 이름인 안남산(安南山)에서 유래되었다. 안남은 고구려 때 주부토(主夫吐), 통일신라시대에 장제(長堤), 고려 전기 때 수주(樹州)에 이어 네 번째로 쓰인 부평의 행정 지명이다. 1150년(의종 4) 왕은 수주를 폐하고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를 설치하였다. 안남은 지금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목상동과 서구 시천동, 그리고 장모루...
-
경기도 부천시 중1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되어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1994년 5월 20일 부천시민들의 여가 및 야외 활동을...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 있던 둑. 앞보둑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조선지지자료』에는 원종리보(遠宗里洑)로 기록되어 있다. 멧마루에는 앞보둑과 함께 뒷보둑도 있었다. 앞보둑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론할 뿐이다. 앞보둑은 원종동 219-1, 6, 28번지 일대 한아름아파트 주변 지역으로, 현재는 매립되어 생활 하수가 흐...
-
경기도 부천시 중3동에 있는 근린공원. 부천시 약대공원은 1994년 5월 20일 부천시민들의 쉼터 마련과 편의 및 복지 향상을 위해 건립되었다. 약대공원의 면적은 1만 446.1㎡이며, 주요 시설로 분수대·LED파고라·농구장·족구장 등 편의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머신·로윙라이더머신·스윙워커머신·레그프레스머신·레그스트레치머신·로라마사지머신...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행정동으로서의 약대동은 약대동과 중동 일부, 도당동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우마의 먹이인 거여와 나벌의 뜻을 가진 약목이라 하다가 이곳에 약물 터가 있다 하여 약대로 불렸다고 한다. 토질이 비옥하고 식물 분포가 다양하여 산나물과 약초가 많이 난다 하여 약대말[藥垈·藥臺]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으며, 대형 초식 동물이 좋아하는 억새풀...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던 자연 마을. 양안리의 한자 표기는 ‘볕 양(陽)’, ‘편안할 안(安)’으로 안(安)은 하천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양안은 ‘볕이 잘 드는 하천과 접해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듯하다. 양은리라고도 불렀다. 송내동 377번지 유성기업과 (주)삼정임대공단 사이에 있던 마을로 10여 가구가 살았다. 양안리 부근을 지나던 경인고속국도 변에 주막집이 몇 채...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동물원. 자연학습공원 내 부천자연생태박물관과 함께 자리한 어린이동물원은 2000년 9월 22일 어린이와 시민들에게 도심 속에서 동물들을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장하였다. 23개 동 313㎡의 부지에 동물 33종 155 마리를 전시하고 있다. 어린이동물원에서는 타조·청공작·수리부엉이·긴꼬리꿩 등 조류 28종 112마리...
-
경기도 부천시 내동 뉴파라다이스 뷔페 앞에 놓여 있던 다리. 『조선지지자료』에는 얼미다리라고 기록되어 있다. 얼미의 어원은 ‘얼믜’이며, ‘얼믜다’는 ‘성기다’라는 의미이다. 얼미다리는 통나무로 얼기설기 얽어서 만들어진 다리를 말한다. 얼미다리가 있던 곳은 예손병원 앞은 지대가 높아 서해 조수가 올라오지 못했다. 그래서 홍수로 인해 다리가 휩쓸려 가는 일이 적었기 때문에 얼미다리와...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도시 농업 공원. 여월 농업 공원은 도심 속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녹색 공간으로 부천의 부족한 녹지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에게는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어린이와 어른 세대에게 공감의 장을 마련해 주며, 체험과 학습의 장 역할을 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2001년도까지 20여 년 동안 부천 시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던 여월 정수장의 기능을 까치울 정...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과 작동 일원에 조성되고 있는 택지 개발 지구. 여월 신도시라는 이름은 법정동인 여월동의 이름을 딴 것으로 안동네 등의 마을 형태가 반달과 같이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업 기간은 2003년 6월 20일~2007년 12월 31일까지로 여월동과 작동 일원에 조성되고 있다. 택지 개발 사업 지구인 부천여월지구는 인근에 경인고속국도·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수주로 등...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 이웃 장정과 노비를 이끌고 둔대산[원미산]에서 왜군과 싸워 큰 승리를 거두고 주력 부대를 40리까지 퇴각시켰다고 한다. 이때부터 역곡동은 적을 맞이하여 물리쳤기 때문에 '칠 벌(伐)’ 자와 ‘응대할 응(應)’ 자를 써서 벌응절리라는 이름을 얻었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이곳을 절골이나 벌골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옛날에...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역곡2동은 부평군 때에 옥산면 벌응절리(伐應節里) 지역이었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 이웃 장정과 노비를 이끌고 둔대산[원미산]에서 왜군과 싸워 큰 승리를 거두고 주력 부대를 40리까지 퇴각시켰다고 한다. 이때부터 역곡동은 적을 맞이하여 물리쳤기 때문에 ‘칠 벌(伐)’ 자와 ‘응대할 응(應)’ 자를 써서 벌응절리라는 이름을 얻었다는 설이 있다. 역...
-
경기도 부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 이웃 장정과 노비를 이끌고 둔대산[현 원미산]에서 왜군과 싸워 큰 승리를 거두고 주력 부대를 40리까지 퇴각시켰다고 한다. 이때부터 역곡동은 적을 맞이하여 물리쳤기 때문에 ‘칠 벌(伐)’ 자와 ‘응대할 응(應)’ 자를 써서 벌응절리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절골·벌골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옛날...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1999년 5월 두진공영에서 지은 주상 복합 아파트인 역곡두진은 22층 건물 1개 동으로 세대당 공급 면적은 115.7㎡이며, 모두 103세대가 살고 있다. 현관 구조는 복도식으로 방 3개, 욕실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방 방식은 개별 난방, 연료는 도시가스를 사용한다. 주차장에는 103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주변 교육 기관...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부역명은 가톨릭대이다. 역곡역은 1974년 8월 15일 경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면서, 경인선의 노선 가운데 하나인 부천역 관리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관할기관은 코레일수도권서부본부이고, 역번호는 146번이며, 역등급은 3급이다. 1983년 8월 6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93년 10월 23일 역사 건...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4년과 1995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마을로 쌍용아파트, 대원아파트, 건영아파트와 위브더스테이트, 리첸시아의 주상 복합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중2동 신흥고가사거리에 위치하며, 마을 주변에 벌막공...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3동에 있는 자연 마을. 1950년대 말 범박동에 신앙촌이 형성될 때 이 지역에 신앙촌의 남자 신도들을 위한 숙소를 만들면서 타 지역 사람들이 모여 들어 마을이 형성되었다. 서로 믿고 의지하며 오래 살자는 뜻으로 영신(永信)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영신은 한신아파트 바로 위쪽의 소사본동 266번지 일대로, 이곳은 범박으로 가는 산길이 뚫려 있었다. 애초 시온고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