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부천시 심곡2동에 있는 전통문화 공연 단체. 민족문화연구소 복사골마당은 부천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전통 굿의 의미와 내용을 배우고, 풍물과 사물놀이를 연구하고 공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9년 2월 풍물패 모임이었던 쇠뿔이 중심이 되어 복사골마당을 설립하였다. 2000년 5월 30일 사단법인으로 등록하였다. 민족문화연구소 복사골마당에서는 각종 풍물·사물놀이 공연을 비롯하...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클래식 음악 단체. 아마추어 음악인을 육성하고 일반인들의 음악 활동 지원 및 음악 콩쿠르를 통한 영재 발굴 육성과 음악을 통한 봉사 활동을 통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2003년 1월 사단법인 베누스토음악인연합회의 경인지부로 창단되었다. 베누스토음악인연합회 경인지부에서는 창단한 해인 2003년 8월 10일 부천혜림원을 찾아가 봉사연주회를...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부천 지역 지회. 부천시 장애인정보화협회는 장애인에 대한 컴퓨터 및 주변기기 무료보급, 교육장학사업 외, 장애인의 재활 자립을 위한 제반 복지사업을 도모하기 위해 1999년 4월 14일 설립되었다. 1999년부터 ‘사랑의 중고 컴퓨터 보내 주기 운동’을 전개하여 약 150여 대의 컴퓨터를 장애인 및 소외 계층에게 보급하였다....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서 친정아버지와 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돈댁을 찾아간 아버지」는 부잣집으로 시집간 딸에게 쌀밥을 얻어먹으려고 찾아가서 쌀밥 대신에 나온 잣죽을 체면상 먹지 못하고 훔쳐 먹으려다가 위기에 처한 친정아버지의 우스운 이야기이다. 위기에 처한 아버지를 슬기로운 대처 방법을 생각해 내어 체면을 지켜주는 딸의 모습에서 지혜와 어리석음의 대조적인 양면을 엿...
-
다민족 다문화를 수용하는 사랑나눔터, 펄벅기념관 소설 ‘대지’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뒤 경기도 부천에서 10년 가량 6·25 전쟁고아와 혼혈어린이들을 돌봤던 미국의 문호 고(故) 펄 벅(Pearl S. Buck) 여사를 기리는 기념관이 2006년 9월 부천시 소사구 심곡본동 566-9번지 故 펄 벅 여사가 운영했던 ‘소사희망원’ 자리에 건립되었다. 약 10년간 한국에 머물렀던 펄 벅...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삼익아파트, 선경아파트, 벽산아파트, 청구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마을이다. 교육마을로도 일컫는다. 마을 외곽으로 시민의 강이 흐르고 있어 주민들의 휴식 및 산책로로 이용되며,...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수녀회. 사랑의 씨튼수녀회는 1809년 3월 5일 미국 메릴랜드주 에미츠버그에서 성녀 엘리사벳 앤 씨튼에 의해 창설되었다. 엘리사벳 앤 씨튼은 미국 최초의 성녀로, 성공회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뒤 학교와 미국 최초의 방인 수녀회인 사랑의 씨튼수녀회를 창립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타이완, 대만, 캐나다, 남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8,000명...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사래리에서 행하는 산신제. 춘덕산신제는 야간에 지냄에 따라 의례가 짜임새가 있고, 전통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사래리는 죽산박씨 집성촌이다. 춘덕산신제는 원래 역곡동의 옛 지명인 사래리 감배산, 곧 역골(驛谷)에서 사래울로 넘어가는 감배산 사래울고개에 있던 큰 소나무에서 지냈다. 그러나 삼신아파트 개발 때 신목(神木)이 사라져서, 그 후로는 삼신아파트 뒤편...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래울은 ‘새를’이라고도 부르고, ‘사하리(沙下里)’·‘사리월(士里月)’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표기가 되어 있지 않다. 『부천시사』나 『부천사연구』 등에서는 죽산박씨 박철정이라는 선비가 와서 정착을 했다고 해서 사래리(士來里)라고 부른다고 했다. 또 사래울에서 ‘사래’라는 말을 산과 산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
경기도 부천시 역곡2동 사래울고개에 있던 서낭당. 사래울 서낭당은 지금의 동부아파트[옛 삼신아파트 14동과 15동] 부근, 즉 역골[驛谷]에서 사래울로 넘어가는 감배산 사래울고개에 있었다. 당집은 따로 없고 신목(神木)에 제사를 지냈다. 삼신아파트를 지을 때 신목을 베어야만 했는데, 인부들이 손대기를 두려워하였다고 한다. 결국 인부 한 명이 신목을 베었다가 후에 원인 모를 병에 걸...
-
경기도 부천시 역곡2동 사래울고개에 있던 서낭당. 사래울 서낭당은 지금의 동부아파트[옛 삼신아파트 14동과 15동] 부근, 즉 역골[驛谷]에서 사래울로 넘어가는 감배산 사래울고개에 있었다. 당집은 따로 없고 신목(神木)에 제사를 지냈다. 삼신아파트를 지을 때 신목을 베어야만 했는데, 인부들이 손대기를 두려워하였다고 한다. 결국 인부 한 명이 신목을 베었다가 후에 원인 모를 병에 걸...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자연 마을. 명칭의 유래는 세 가지 설이 있다. 홍수 때 산에서 모래가 마을이나 논까지 많이 밀려와 사래이라 하였다는 설, 서촌말이나 주변 마을 지주들이 묘지기나 마름에게 보수로 사례를 한 땅이라 하여 붙여졌다는 설, 장말과 솔안말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사래이라고 하였다는 설 등이다. 조선시대에는 부평군 석천면 상리 지역...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던 고개. 사루개의 ‘사루’는 어원이 ‘살’이다. ‘살’은 ‘물가’라는 뜻으로 세월이 흐르면서 살우, 사루로 발음이 변하였다. ‘개’는 포구를 뜻하는 우리말이다. 그러므로 사루개는 ‘물가 위에 있는 포구’를 뜻한다. 사루개에서 건너다보면 까치울 삼태기산이 바로 보인다. 서해의 조수가 밀려들 때면 삼태기산 아래까지 차오르는 물길을 따라 배를 띄웠을 것으로 여...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서낭당. 서낭당은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보통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 사찰 입구에 위치해 있다. 마을 공동제로 지내던 서낭당도 많았지만, 대개는 돌무더기 같은 것을 쌓아놓고 길을 오가는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치성을 드리는 곳이 많았다. 먼 길을 다녀야 하는 나그네의 안전을 위해 단 위에 돌을 던지거나 침을 뱉었던 것이다. 보통...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서낭당. 서낭당은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보통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 사찰 입구에 위치해 있다. 마을 공동제로 지내던 서낭당도 많았지만, 대개는 돌무더기 같은 것을 쌓아놓고 길을 오가는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치성을 드리는 곳이 많았다. 먼 길을 다녀야 하는 나그네의 안전을 위해 단 위에 돌을 던지거나 침을 뱉었던 것이다. 보통...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래울은 ‘새를’이라고도 부르고, ‘사하리(沙下里)’·‘사리월(士里月)’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표기가 되어 있지 않다. 『부천시사』나 『부천사연구』 등에서는 죽산박씨 박철정이라는 선비가 와서 정착을 했다고 해서 사래리(士來里)라고 부른다고 했다. 또 사래울에서 ‘사래’라는 말을 산과 산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있던 골짜기. 사박굴에서 ‘굴’은 골짜기를 가리킨다. 사박은 삽안이 사반으로 바뀐 후, 사박으로 변한 것이다. 삽은 샅이라는 뜻으로 삽다리에서 보여지듯 ‘사이’라는 의미이다. 즉 웃고얀과 아랫고얀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의미한다. 웃고얀·가운데고얀·아랫고얀으로 통치되는 고얀 사람들은 사박굴 골짜기에서 바우백이에 올라 사방의 경치를 바라보는 것을 즐겼다. 이 때...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이루어지는 법에 의한 민사 및 형사 사건의 재판과 그에 관련되는 국가 작용. 사법은 입법, 행정과 함께 국가 통치 작용의 하나이다. 개인 상호 간 또는 국가와 개인 간의 법률 관계에 관한 쟁의로 소송이 제기될 경우 무엇이 적법인가를 선언하는 행위이다. 사법 제도는 좁은 의미로 재판 제도를 의미하나 넓은 의미로는 검찰 제도와 행형 제도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사법 기...
-
조선 후기 경기도 부천의 계양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3인의 호걸. 현 경기도 부천시 지역 출신으로 조선 후기 계양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이장(李樟), 박규문(朴奎文), 남휘(南徽)를 일컬어 계양삼호걸(桂陽三豪傑)이라고 한다. 이장[1666~1742]은 조선 중기 현종 대부터 조선 후기 영조 대까지 활동한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9세손으로 생원을 지냈...
-
조선 후기 의령남씨 부천 입향조.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조(德操), 호는 사비(四非). 아버지는 의령남씨 15세손인 남징(南澄)이다. 남익주(南益周) 등 1남 5녀를 두었다. 남휘(南徽)는 1708년(숙종 34) 생원·진사 양과에 합격하였으며, 금부도사를 지냈다. 박규문(朴圭文), 이장(李樟)과 함께 ‘계양삼호걸(桂陽三豪傑)’의 한 사람으로 불린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빈(士賓). 어머니는 영조의 딸인 화유옹주(和柔翁主)이고, 아버지는 황인점(黃仁點)이다. 부인은 송형중(宋瑩中)의 딸이다. 3남 1녀를 두었지만, 모두 일찍 세상을 떠나 사촌동생 황기찬(黃基瓚)의 둘째 아들 황종림(黃鐘林)을 양자로 들여 대를 이었다. 황기옥(黃基玉)은 1781년(정조 5) 영희전 참봉으로 관직에 올라, 장악원 주부·...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안(士安). 아버지는 유학 이상문(李尙文)이다. 이명택은 1735년(영조 11) 실시된 증광시에서 진사 92인 중 3등으로 합격하였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밀양(密陽). 밀양박씨 중시조 규정공(糾正公) 박현(朴鉉)의 13세손으로, 박승수(朴承燧)의 고손이며, 진사(進士) 박규(朴葵)의 증손이다. 아버지는 박일현(朴逸賢)이다. 박희는 조선 중기 경기도 부천에 살았다. 저서로 『사오당유고(四吾堂遺稿)』가 전한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정(士淨). 아버지는 한수성(韓守性)[1522~?]이며, 아내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한탁은 장기현감(長鬐縣監)을 지냈다. 묘소는 부천시 작동에 있는데, 1990년 묘비를 새로 조성하였다....
-
조선 후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사정(士精), 호는 도계(陶溪) 또는 손곡(損谷). 시호는 문헌(文憲). 아버지는 판서를 지낸 김시환(金始煥)이다. 김상성은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지었으며, 13세 때에는 「금수정기(金水亭記)」를 지어 신동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1723년(경종 3) 진사가 되고, 정시문과에 장원하여 사서(司書)가 되었다. 1727년(영조...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본관은 언양(彦陽). 자는 사중(士重), 호는 건재(健齋). 할아버지는 주부(主簿) 김윤손(金潤孫)이며, 아버지는 진사(進士) 김언침(金彦琛)이다. 어머니는 양성이씨(陽城李氏)로 부위(副尉) 이감(李瑊)의 딸이다. 김천일은 1573년(선조 6) 학행(學行)으로 발탁되어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가 되었고, 이어서 용안현감(龍安縣監)...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사찰은 부처의 불상이나 불화 등을 모시고 있는 곳이다. 사찰마다 주지 스님이 있고, 기본적으로는 수행과 신도의 방문 기도 등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요즘 대규모 사찰의 경우에는 재단을 설립하여 교육,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관련 기관 및 시설을 지어 운영하기도 하고, 사회 봉사 활동에 참여하거나 지원 등을 하기...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래울은 ‘새를’이라고도 부르고, ‘사하리(沙下里)’·‘사리월(士里月)’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표기가 되어 있지 않다. 『부천시사』나 『부천사연구』 등에서는 죽산박씨 박철정이라는 선비가 와서 정착을 했다고 해서 사래리(士來里)라고 부른다고 했다. 또 사래울에서 ‘사래’라는 말을 산과 산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
조선 중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사호(士豪), 호는 성은(城隱). 아버지는 목사 남유(南瑜)이다. 남이흥은 1602년 무과에 급제한 후 선전관을 거쳐 부총관, 포도대장, 충청도병마절도사, 경상도병마절도사, 구성부사, 안주목사, 평안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뒤 서도(西道)의 수령직을 자청하여 구성부사가 되었다가, 시기하는 자...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시민의 생활 안정 및 복지 구현을 위해 설립된 단체. 사회 복지 단체란 좁게는 사회에서 소외된 노인, 아동, 장애인 및 여성과 근로자 등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이런 단체들은 헌법 제10조에 언급된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라는 행복추구권의 실현을 기본 목표로 삼고 있다. 부천의 사...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특수학교. 기독교 정신에 의한 학교 경영으로 장애인의 인격을 존중하며 꿈과 소망을 심어 주는 미래지향적 교육으로 사회 통합에 기여하는 내실 있고 아름다운 학교를 만든다. 학생들이 바르게 생각하고 감사하는 태도, 기본 생활에 필요한 올바른 습관,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 자립할 수 있는 굳센 의지력을 기르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1957년 1월 14...
-
경기도 부천 지역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부천의 산맥은 부천과 시흥의 경계에 있는 소래산 지맥으로 인천의 주안산, 부평의 계양산, 김포의 가현산, 통진의 문수산으로 이어진다. 소래산은 양지산으로 연결되어 성주산[200m], 할미산[153.2m], 원미산[123.8m], 춘의산[106m], 봉배산[86m] 등 부천 남부 및 동부 권역의 산지로 이어진다. 산들...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던 자연 마을. 산골이란 이름은 한자로 쓰면 산곡(山谷)이고 고대어로 쓰면 미골이다. 이곳을 미골이라 하지 않고 산골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이곳 마을이 조선시대에 들어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송내동 398번지[경인로60번길 18] 일대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한국전력공사와 부천여자중학교가 있는 주변 지역에 해당된다. 이곳은 약 300여 년 전부터 평산신씨...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던 자연 마을. 산골이란 이름은 한자로 쓰면 산곡(山谷)이고 고대어로 쓰면 미골이다. 이곳을 미골이라 하지 않고 산골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이곳 마을이 조선시대에 들어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송내동 398번지[경인로60번길 18] 일대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한국전력공사와 부천여자중학교가 있는 주변 지역에 해당된다. 이곳은 약 300여 년 전부터 평산신씨...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는 고개. 산문은 사문(四門)과 관계가 있는 말로 보여 진다. 사문은 네 개의 문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사문은 살문에서 온 듯하다. 사문은 네 개의 문이 아니라, 살문[梐·枑]에서 온 것으로 마름쇠(끝이 날카롭고 서너 개의 갈래가 되게 만든 물건)의 의미로 볼 수 있다. 즉, 끝이 뾰족하게 나 있으며 몇 개의 갈래로 나 있는 고개라는 의미로 볼 수 있...
-
경기도 부천시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민간신앙 행사. 산신제 등의 민간신앙은 우리의 전통 풍습이지만, 발해(渤海)의 역사만큼이나 생경하기만 하다. 그럼에도 우리의 마음과 몸에 여전히 무르녹아 있는 것은, 오래 세월 내려온 민족의 유전적 풍습이기 때문이다. 각각의 전설이나 현재 남아 있는 지명을 보더라도 우리 일반 백성들이 하늘에 얼마나 치성(致誠)을 드렸는지 잘 알 수...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산에 우물이 있어 마을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으나 어느 마을이나 산쪽에 우물이 있게 마련이다. 장말에서 보는 관점에서는 산 너머에 있는 마을이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이 있지만 장말하고는 그 거리가 상당히 멀어 설득력이 부족하다. 산우물은 솔안말 검디의 산자락 아래에 있어 검디와의 연관성으로 풀어야 옳다. 산우물은 삼우물을 산으로 잘못 표기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복사골문학회 산하 여성 시 동인. 산우물시동인은 1998년 전국마로니에백일장과 전국여성백일장 등에서 입상한 곽동희, 이순정 등 부천 지역 여류 문인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문학동호회이다. 가뭄에도 메마르지 않고 항상 물이 고여 있는 산우물과 같이 서로를 독려하여 쉼 없이 작품을 쓰자는 의미로 설립하였다. 산우물은 지금의 부천시민회관이 있는 곳의 예전 이름...
-
“경인국도변 복숭아 좌판이 언제부터인가 하면 정확히는 몰라도 70년대 초부터 활성화가 됐던 걸로 기억해요.” 가난했던 1970년대. 학생들의 주린 배를 채워주던 풋과일은 여느 만찬에 못지않은 훌륭한 먹을거리였다. 특히 머리에 광주리를 인 아주머니가 산지 복숭아를 한 가득 담고 팔러 다니면 10원을 내고 열 개씩 사와서 우두둑 소리가 나게 씹었다. 이 시절을 살았던 부천 사람들에게...
-
막걸리 한 사발에 목청을 틔우며 시름을 달래주던 니나놋집 교통편이 좋지 않았던 시절, 작동 주민들은 나무로 만든 사과박스에 과일과 채소를 잔뜩 싣고서 화물차를 부르거나 소마차에 복숭아를 싣고 시장으로 출발했다고 한다. 장사가 잘 되는 날이면 사람들이 꼭 거치는 곳이 있었다. 생활이 고단하고 어려웠던 시절, 해가 떨어지고 땅거미가 짙어질 무렵이면 생활과 일에 찌든 노동자들이 피곤과...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청년 미술작가들의 모임. 1987년 부천 지역에서 활동 중인 젊은 미술인 8명은 ‘삶이 곧 표현이고, 표현이 곧 삶’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삶의터작가회를 창단하여 광장미술관에서 제1회 회원전을 개최하였다. 이후 매년 회원이 증가하여 1991년에는 30명의 회원이 활동하였다가, 1992년에는 24명, 1995년에는 12명으로 회원 수가 감소하였다. 이후 20...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 첫날로 정월 초하루를 말하는데, 한자로는 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라 표기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차례에는 떡국, 과일, 떡, 고기 등을 차려 놓고 조상께 차례를 지낸다. 종갓집에서 먼...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산. 삼태봉은 범박파출소를 중심으로 뒷산과 옆산 그리고 빌고개가 있는 산을 합쳐 봉우리가 세 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삼태의 의미는 삼태기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할미산을 신성한 산으로 여기면서 그 주변에 있는 산도 하늘의 별자리처럼 신성한 의미로 보아 삼태성이라고 명명한 것으로 보는데, 그것보다는 높은 봉우리 세 개를 지칭하여 삼태성이라고...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골짜기. 삼막골은 『조선지지자료』에 삼막곡(三幕谷)으로 표기되어 있다. 우리 말로는 삼말골·삼막골 두 가지로 불리고 있었다고 표기되어 있다. 한자로 표기하면서 삼말골은 포기하고 삼막골만 선택해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 삼말골을 어원적으로 풀이하면 삼(三)의 고대어가 시(枾)이고 말은 마(馬)를 뜻한다. 삼정(三井)의 고대어가 시우물에서 찾아질 수 있는...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골짜기. 삼막골은 『조선지지자료』에 삼막곡(三幕谷)으로 표기되어 있다. 우리 말로는 삼말골·삼막골 두 가지로 불리고 있었다고 표기되어 있다. 한자로 표기하면서 삼말골은 포기하고 삼막골만 선택해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 삼말골을 어원적으로 풀이하면 삼(三)의 고대어가 시(枾)이고 말은 마(馬)를 뜻한다. 삼정(三井)의 고대어가 시우물에서 찾아질 수 있는...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골짜기. 삼막골은 『조선지지자료』에 삼막곡(三幕谷)으로 표기되어 있다. 우리 말로는 삼말골·삼막골 두 가지로 불리고 있었다고 표기되어 있다. 한자로 표기하면서 삼말골은 포기하고 삼막골만 선택해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 삼말골을 어원적으로 풀이하면 삼(三)의 고대어가 시(枾)이고 말은 마(馬)를 뜻한다. 삼정(三井)의 고대어가 시우물에서 찾아질 수 있는...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교단 소속의 교회. 아름다운 예배당을 건축하여 교인들의 영혼이 편안히 안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따뜻한 마음과 위로가 있는 교회, 살아있는 예배를 드리는 교회, 사랑과 회복이 있는 교회이다. 주요 사업은 예배와 복음이다. 예배는 주일예배, 삼일밤예배(수요일), 새벽기도회, 금요심야기도회 등이 있다. 매주 화요...
-
경기도 부천시에서 출산 및 육아와 관련하여 모시는 가신의 하나. 삼신은 가신(家神)의 하나로 출산과 육아 및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여신(女神)이다. 삼신제는 아기를 잘 낳고, 아기가 잘 자라며, 집안의 평안과 자손들이 번성하도록 기원을 하는 제사이다. 삼신할머니는 보통 흰색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흰 머리를 한 인자한 할머니 모습의 여신으로 상징된다. 제일(祭日)은 산후(産後)...
-
경기도 부천시에서 출산 및 육아와 관련하여 모시는 가신의 하나. 삼신은 가신(家神)의 하나로 출산과 육아 및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여신(女神)이다. 삼신제는 아기를 잘 낳고, 아기가 잘 자라며, 집안의 평안과 자손들이 번성하도록 기원을 하는 제사이다. 삼신할머니는 보통 흰색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흰 머리를 한 인자한 할머니 모습의 여신으로 상징된다. 제일(祭日)은 산후(産後)...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에 있는 자동차 시트 제조업체. 1964년 3월 5일 삼아공업사로 문을 열었다. 1970년 5월 21일 삼아공업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며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1981년 7월 우레탄발포기를 도입하여 스펀지 생산 시설을 준공하였다. 이륜차 시트, 자동차 인슐레이션, 자동차 시트, 특장차 등의 제품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삼아공업의 자본금은 2006년 기...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2동에 있었던 산업용 설비 및 주물 소재 제조업체. 1973년 5월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이천중기(주)를 설립하였다. 1979년 2월 삼양중기(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2년 일본 NAGAO사와 프레스 기술을 제휴하였다. 1995년 7월 고압 가스 압력 용기 특정 설비 제조 업체로 승인받았다. 같은 해 8월 신일본제철로부터 슬레브 쿨러(Slave Cool...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제조업체. 시멘트·콘크리트 제조 설비를 비롯하여 환경 설비, 일반 산업기계 설비, 스키장 리프트와 제설 설비 등을 설계·제작·설치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3년 삼영기계공업사를 설립하였고, 1973년 5월 4일 삼영기계공업 법인을 설립하였다. 1973년 강원도 동해시에 사업소를 개설하였다. 1980년 인천공장을 설립하였다가 1998년 폐쇄하였다....
-
1970년대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던 영화 촬영소. 삼영필름 촬영소는 한국 영화 제작을 위해 1969년 9월 24일 200평의 부지에 촬영소를 건립하고 영화사 등록을 하였다. 부천에 우진필름 촬영소에 이어 삼영필름이 촬영소를 건립하자, 부천시 오정동은 서울 충무로의 영화인들 사이에서 영화 촬영소 집결지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삼영필름 촬영소에서는 건립과 함께 「소녀의 첫사랑」[1...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 웃고얀 앞에 있는 골짜기. 삼자골에서 ‘골’은 골짜기를 가리키고, ‘자’는 산꼭대기라는 의미의 ‘잣’에서 ‘ㅅ’이 탈락해서 ‘자’가 되었다. 이것이 다시 재라는 말로 바뀌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재는 산이나 언덕을 가리키는 재[峴]로 쓰였다가, 신라 경덕왕 이후 재가 들어간 땅이름은 성(城)으로 바뀌었다. 여기에는 산이나 언덕을 가리킨다. 삼자는 셋이라는 숫자를...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 밀양박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호패. 삼정동 밀양박씨 문중에 소장된 호패는 아래와 같이 모두 6점이다. ① 호패1 전면에는 중앙에 박종한(朴宗漢)이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 ‘을유(乙酉)’, 하단에 ‘갑신유학(甲申幼學)’이라고 적혀 있다. 후면에는 ‘부평(富平)’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크기는 가로 2.6㎝, 세로 8.6㎝, 두께 0.6㎝이다...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있는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서울에 근접한 위성 도시로서 부천에 인구 수가 늘어나게 되자 모 본당인 소사성당만으로는 늘어나는 신자들을 수용할 수 없어 1971년 9월 12일 삼정동성당을 분가시킴에 따라 설립되었다. 삼정동성당의 이전 명칭은 오정동성당이다. 소사성당에서 분가할 당시의 신자 수는 637명이었다. 초대 주임으로 심재성[바오로] 신부가 부임하여...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삼정종합사회복지관은 복지를 필요로 하는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사회 복지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지역의 사회 문제를 예방·치료하며, 지역 주민 상호 간의 연대감을 조성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삼정종합사회복지관은 삼정복지회관으로 1997년 9월에 문을 열었다. 같은 해 11월 부설 엘림어린이집과 지역 주민 독서실이...
-
조선 후기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세거하던 삼춘당 정술조의 문집. 정술조(鄭述祚)[1711~1788] 사후 그의 후손이 정술조가 지은 글을 비롯하여 정조가 내린 교서 등을 모아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책의 크기는 가로 21㎝, 세로 32㎝이다. 제1권은 「서(書)」·「시(詩)」·「조연강의(曹筵講義)」·「경연강의(經筵講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권은 「...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던 산. 삼태기산은 옛날부터 아녀자들이 아이를 낳게 해달라고 빌었던 산으로, 범바위산 줄기로 뻗어 내려오다 시루뫼 너머에서 멈춘다. 삼태기란 재를 퍼낼 때 쓰던 농기구로, 이 삼태기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이는 인간의 탄생과 생명의 연장을 주도한다고 여겨지는 삼태성의 다른 말로, 삼태기산이라 명명한 것으로 보아 삼태성을 삼태 또는 삼태...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산. 삼태봉은 범박파출소를 중심으로 뒷산과 옆산 그리고 빌고개가 있는 산을 합쳐 봉우리가 세 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삼태의 의미는 삼태기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할미산을 신성한 산으로 여기면서 그 주변에 있는 산도 하늘의 별자리처럼 신성한 의미로 보아 삼태성이라고 명명한 것으로 보는데, 그것보다는 높은 봉우리 세 개를 지칭하여 삼태성이라고...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제조업체. 1979년 12월 4일 (주)삼협전자공업을 설립하였다. 1997년 기업부설연구소 인가를 받았다. 1990년 10월 말레이시아와 합작 회사를 설립하였고, 1992년 4월 태국에 합작 법인을 설립하였다. 2000년 5월 31일 FYD로 상호를 변경하였다가 2007년 10월 삼협글로벌로 상호를 다시 바꾸었다. 2009년 3월 30일 정기주총을 통해...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경기도 부천 지역의 신도시 건설 및 지역 개발로 인한 상동 지역의 인구 증가와 더불어 늘어난 천주교인들의 신앙생활을 뒷받침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96년 9월 12일 상동성당에서 상1동성당으로 분리되었다. 초대 주임으로 전승진[필립보] 신부가 부임하여 현 성당 부지의 마련과 함께 가건물을 지어 임시 성당으로 사용하였다....
-
경기도 부천시 상3동에 있는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교세 증가와 지역 개발로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자 신도시인 중동, 상동 일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종교 활동을 위하여 상1동성당에서 분리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중동지구택지개발사업과 상동택지개발지구가 진행되면서 상1동성당에서 늘어나는 신자를 수용할 수 없게 되자 상3동 499-5번지[평천로 625]의 땅을 매입하여 상1동성당...
-
새로운 진보를 꿈꾸는 춘의동 주민들 춘의동은 부천에서 네 번째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행정구역이다. 과거에는 서쪽으로 넓은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어 주로 농사를 지었다. 하지만 근대화를 겪으면서 갑자기 공장들이 들어섰고 이 때문에 춘의동은 상공업 지역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신도시 개발로 부천 중동과 상동에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상가단지가 생겨 부천의 중심이 신도시 쪽...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바른 품성과 가치관을 지니고 예절을 지키며 협동·봉사 정신을 갖춘 도덕인, 개성이 뚜렷하고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창조인, 심신이 건강하고 정서가 순화된 건강인, 자율성과 합리성을 지니고 진로를 개척하는 생활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3년 5월 4일 12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1994년 2월 28일 학교 건물을 준공하였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상도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3년 5월 4일 상도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94년 3월 1일 초대 교장에 소명호가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5월 1일 6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1995년 2월 16일 제1회 졸업식을 통해 152명이 졸업하였다. 1995년 12월 20일 도서실을 개설하였...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인공 하천. 중동·상동 신시가지가 생기면서 부천은 생활편의를 갖춘 자족도시로서 부족함 없는 도시가 되었지만, 콘크리트 숲에 둘러싸여 택지공간에 비해 녹지공간이 부족하였다. 시민의 강은 이런 배경 속에서 시민들과 시민단체의 염원을 수용하여 만들어졌다. 2003년 10월 상동 신시가지 내에 물길을 내고 물을 끌어들여 나무와 꽃, 물과 빛이 어우러지는 환경 친...
-
경기도 부천시 상2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는 2003년 3월 31일 시민들의 야외 활동 장려와 시민...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정직하고 경애와 신의로 상부상조하는 도덕인, 주제적 자아의식을 갖고 권리와 책임을 다하는 자주인, 창의적·사고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조인, 심신의 조화 있는 발달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심미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의롭게’이다. 2001년 12월 6일 15학...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길교회는 선교활동과 예배활동 등을 통해 교회 안에서 서로 사랑하며 더불어 사는 삶을 목적으로 1983년 10월 설립되었다. 길교회는 예배·찬양·선교·봉사 활동 등을 주로 시행하고 있다. 21C제자운동을 통해 제자 훈련에 주력하고 있는데, 21C제자운동 프로그램은 DT(Discipleship Training)·ST(Soldie...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종합 사회복지시설. 부천시 상동종합사회복지관은 이상적인 지역사회 실현을 목적으로 부천시 상동에 설립되었다. 이상적인 지역사회란 경제·정치·보건·오락·윤리·지식·언론·조직·종교의 9가지 측면이 통합적으로 고려된 이상적인 지역사회의 실현을 의미한다. 1986년 12월 개소하였다. 1992년 2월 부천시 상동종합사회복지관 부설로 ‘재가복지봉사센터’를 개소했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교세 증가와 지역 개발로 인하여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자 심곡3동성당에서 분리하여 지역 주민들의 신앙 공동체 설립과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고자 설립되었다. 1988년 6월 19일 심곡3동성당에서 분리하여 세웠다. 초대 주임으로 조파트리치오 신부가 부임하였다. 처음에는 중동성당이란 이름으로 중동과 상동 전 지역, 송내동 일부 72...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상설 재래 시장. 상동시장이 위치한 곳은 원래 포도 밭과 복숭아 밭이 있는 야산이었다. 1980년부터 상동 지역이 개발되면서 상가와 아파트가 형성되어 인구가 급속하게 늘어나자 1985년부터 상지초등학교 앞쪽에서 부천여자고등학교에 이르는 500m 거리에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 현재의 상동시장이 되었다. 2002년 상동시장은 부천시로부터 부천시의 유일한 상동...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예배 및 사역을 통해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포교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2002년 11월 김종대 목사가 주축이 되어 부천시 상동 신도시의 264㎡ 규모의 대지에 교회를 건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예배와 사역 업무가 주를 이루고 있다. 주요 예배로는 주일 낮예배, 주일 오후예배, 수요예배, 금요 찬양 기도...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심신을 단련하고 여가를 즐기는 건강인, 사고력이 높고 탐구심이 많은 창조인, 더불어 살며 남을 배려하는 민주인, 내 고장과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1997년 9월 6일 상동중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2년 3월 1일 3개 학년 3학급으로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김장석이 취임...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고 성실하며 슬기로운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상동인을 기르는 데 최선을 다한다. 1992년 3월 25일 상동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94년 4월 1일 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상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6년 9월 1일 제5대 교장에 송수호가 취임하였다. 2007년 2월 15...
-
경기도 부천시 중동과 상동 및 송내동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아파트 단지. 상동택지개발지구는 1997~2002년에 걸쳐 경기도 부천시 일원의 면적 3,117,369.4㎡에 세워진 대단위 아파트 단지이다. 1999년 4월 15일 1공구에 대한 조성 공사가 착공되어 1999년과 2000년에 실시 계획이 변경 승인(경기도 고시 제1999-403호, 경기도 고시 제2000-227호)되었으며,...
-
경기도 부천시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인간의 4대 통과의례의 하나로, 사람이 운명한 후 시신을 수습하고, 묘지를 만들어 매장하며, 유족들이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며, 상복을 입고 근신하는 기간에 치러지는 여러 가지 과정인 상중에 행하는 모든 예절을 의미한다. 상례는 신종추원(愼終追遠:양친의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에는 공경을 다함)의 효행 정신에...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던 하천. 구지내는 구지천 또는 상리천으로도 불린다. 구지내는 구지리를 휘돌아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상리천은 신상리를 휘돌아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구지내의 구지라는 말은 툭 튀어나온 곶을 뜻하기도 하므로, 이곳은 과거에 천혜의 포구로도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송내역사 옆으로 흐르던 내[川]인 구지내는 도티굴 골짜기에서 흘러내려 산골,...
-
경기도 부천시에서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m이다. 잎은 길이 10㎝이고 달걀 모양 원형 또는 긴 타원 모양 원형이며 3~5개로 갈라진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와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작은 가지는 회색빛을 띤 갈색 또는 회색빛을 띤 흰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은 6월에 피는데, 수...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른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아름답게’이다. 2005년 9월 1일 상미초등학교 10학급 218명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이병대가 취임하였다. 2007년 3월 1일 14학급으로 편성하였다. 같은 해 3월 15일 4학...
-
경기도 부천시 내동, 오정동 산마루. 상아재란 앗재가 그 어원으로, 은 살로 사루개·사루지에서 뜻하는 물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쌀의 고어이기도 하다. 경상도에서는 쌀을 살로 발음한다. 밭은 고어로 ‘앗[田]’이다. 그러므로 상아재는 ‘밭에서 나는 쌀이 많은 재’를 뜻한다. 앗재가 살앗재가 되고 이것이 상앗재로 변천한 것이다. 상앗재가 다시 상아재로 바뀐 것이며, 지금도 상앗재라...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 있던 들. 『조선지지자료』에 도당리에 속하는 녹교지들이란 지명이 나온다. 녹교는 한자로 ‘돌모양 녹(碌)’자, ‘다리 교(橋)’자로 돌다리를 뜻한다. 녹교지들 내촌 부근의 들을 상아재들이라고도 하였다. 상아재의 어원은 앗재로, ‘’은 쌀의 고어이고, ‘앗’은 밭의 고어이다. 즉 ‘밭에서 나는 쌀이 많은 재’라는 뜻으로, 앗재가 살앗재→상앗재를 거쳐 상아재...
-
경기도 부천시 내동, 오정동 산마루. 상아재란 앗재가 그 어원으로, 은 살로 사루개·사루지에서 뜻하는 물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쌀의 고어이기도 하다. 경상도에서는 쌀을 살로 발음한다. 밭은 고어로 ‘앗[田]’이다. 그러므로 상아재는 ‘밭에서 나는 쌀이 많은 재’를 뜻한다. 앗재가 살앗재가 되고 이것이 상앗재로 변천한 것이다. 상앗재가 다시 상아재로 바뀐 것이며, 지금도 상앗재라...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한 물품 매매업. 상업은 광의로는 생산을 제외한 유통 및 소비 부문의 광범위한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협의로는 소비자가 추구하는 각종 재화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능만으로 축소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상업 부문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소비자의 욕구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부천의 경우도 그러하다. 부천의 이와 같은...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민요. 「상여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선소리꾼(상두꾼)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소리」에는 상여가 죽은 이의 집을 떠나면서 부르는 발인 또는 하직하는 소리, 상여를 들거나 내리며 부르는 소리, 장지까지 가며 부르는 소리 등이 있다. 부천 지역에서 채록한 「상여소리」는 장지까지 가며 부르는 소리이다. 「상여소...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정신을 지닌 사람, 자신과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스스로 힘쓰는 사람, 창의성을 가지고 실천하는 사람,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선한 일을 실천하는 사람을 기른다. 교훈은 ‘정도(正道)’이다. 2005년 12월 26일 상원고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임중환이 취임하였다. 200...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예절 습관 형성을 통한 참되고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사랑, 슬기, 희망’이다. 1997년 9월 6일 초등학교 설립인가를 받아, 1999년 8월 24일 상리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2001년 7월 23일 상원초등학교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다. 2002년 11월 1일 급식소를 지어 개소식을 하였다. 2003년...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예절을 실천하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큰 꿈, 깊은 생각, 바른 행동’이다. 1997년 9월 7일 설립인가를 받아, 2002년 4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주석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2년 6월 1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바른 인성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강인한 체력으로 고난을 극복하는 건강인, 진취적인 기상으로 새 역사를 열어가는 창조인,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으로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인, 세계 국제문화 이해와 섭렵으로 국제 사회를 이끌어가는 세계인을 기른다. 2004년 2월 26일 상일고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충효 교육과 인성 교육을 통한 애국인, 글로벌시대의 인재 교육을 통한 세계인, 기초과학과 기술 교육을 통한 창조인, 기초 체력 및 체육 교육 강화를 통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의, 실천’이다. 2001년 1월 6일 가칭 중리중학교로 공사를 착공한 후, 2002년 3월 2일 5학급으로 편성하여 상일중학교로 개교하였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주인의식이 강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지혜로운 어린이,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며 실천하는 어린이, 굳센 체력과 끈기를 지닌 건강한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는 재능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튼튼한 몸, 성실한 마음’이다. 1997년 9월 6일 상일초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2년 3월...
-
농기고두마리는 1800년대 초부터 1910년대까지 옛 부평군 석천면,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과 상동 및 중동 일대에서 이어온 민속놀이다. 지명을 따서 석천농기고두마리라고도 한다. 논농사의 세벌매기를 마치고 7월 백중날에 행한 풍물이 어우러진 놀이로서 특히 조선 철종 때 성행했던 것으로 전한다. 이 지역 촌로들에 따르면, 초창기의 농기고두마리는 인근 마을 중에서 농기를 먼저 만...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품성을 지닌 도덕인, 소질과 특기를 지닌 개성인, 슬기와 창의를 지닌 탐구인,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건강인, 환경을 가꾸는 봉사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굳세고, 슬기롭게’이다. 1983년 11월 3일 상지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1일 18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장종태가 취임하였...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골짜기. 새경골은 양반집 머슴이 새경으로 산 밭이 있는 골짜기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으로 보이며, 일명 효경골이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효경곡(孝經谷)이라 해서 효의 골짜기처럼 보인다. 『조선지지자료』에도 효경곡이라 되어 있다. 그런데 마을이 아닌 골짜기에 효를 붙일 이유가 없어 보이므로 조선시대 어느 선비가 묻히면서 이런 이름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 있던 둑.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조선지지자료』에는 새기보가 수역리보(壽域里洑)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수역리는 ‘목숨의 경계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수역리는 수여기라는 말을 취음(取音)한 것으로, 이는 수오기에서 파생한 말이다. 수는 숲, 오기는 마을의 옛 말인데 수오기는 숲이 우거진 마을이라는 뜻이다. 『부천 문화의 재발견』에 따르면 새기는...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 있는 산.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원종리에 포함된 계산이라 표기되어 있다. 고대어로는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닭미’로 읽는 것이 옳다. 닭미는 ‘달미’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 ‘달’은 ‘달(達)’로 표기한 것으로 높다는 의미이다. ‘달’이 첫째 음절에 오면 높다는 의미이고, 뒤에 오면 산의 의미이다. 높다는 의미의 ‘달’을 훈차(訓借)한 글자...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소속의 교회. 교회의 목적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교회'로 삼고, 예배 활동을 통하여 찬양·선교·교육의 효과를 꾀하며, 교우 간의 교제를 통하여 새로운 공동체 형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 9월 19일 남영우 전도사가 부임하여 중동제일교회를 설립하였다. 1987년 7월 17일 교회를 신축하여(중동 873번지) 입당예배를 드렸...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래울은 ‘새를’이라고도 부르고, ‘사하리(沙下里)’·‘사리월(士里月)’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표기가 되어 있지 않다. 『부천시사』나 『부천사연구』 등에서는 죽산박씨 박철정이라는 선비가 와서 정착을 했다고 해서 사래리(士來里)라고 부른다고 했다. 또 사래울에서 ‘사래’라는 말을 산과 산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
부천의 혁명촌, 겉저리 박정희 정권이 들어서자, 농촌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었다. 대대적인 농촌개량 운동이 일어났던 것이다. 모범적으로 정부가 권하는 개량운동을 시행하는 일종의 시범마을을 당시에는 혁명촌이라고 불렀다. 5·16군사 혁명의 유산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명칭이 붙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농촌의 특정 마을을 모범 마을로 선정하고, 정부 주도의 농촌...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새마을금고법’에 의거하여 운영되는 금융 기관. 새마을금고는 1963년 경상남도 지역에서 재건 국민 운동의 향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면서 태동되었다. 당시 마을금고 운동은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지 못한 상태였으며, 명칭도 금고가 아닌 신용조합이었다. 그러나 마을금고는 1973년 3월 마을금고연합회가 창립되어 법인화되고, 1982년 말 제정·공포된 ‘새마을...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에 있는 새마을운동 관련 단체. 새마을문고 부천시지부는 새마을운동의 정신을 계발함과 동시에 부천시민들에게 독서를 권장하고 체계적인 시민 독서 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1978년 새마을문고중앙회 산하 부천 지역 지부로 설립되었다. 새마을문고 부천시지부에서는 시민들이 늘 책을 가까이 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부천시 새마을이동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새마...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조직적인 사회 운동.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 가꾸기 사업으로 제창하여, 정치적 요인(국력 신장의 근대화 운동·국가 통치 기반의 이념 필요), 경제적 요인(도·농 간 격차 해소·주민 부담의 재원화), 사회적 요인(농촌 생활 환경의 열악·불만감의 팽배), 국민 정신적 요인(비생산적...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에 있는 새마을운동 관련 단체. 새마을지도자 부천시협의회는 새마을 정신을 바탕으로 이웃과 더불어 살기 좋은 사회 분위기 조성으로 부천 지역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첫째, 매년 1회 정기총회를 개최하여 사업실적 보고 및 감사 보고, 예산 심의를 의결한다. 둘째, 회원들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하계수련회를 기획하여 새마을지도자들을 격려한다. 셋째, 범시민...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새로 들어선 마을이라고 해서 새말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아 일제시대 이후에 생긴 마을이다. 베리네천을 사이에 두고 작미골에 새말과 새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을 부근에 은데미산을 넘는 새말고개가 있었고, 마을 건너편에는 삼태기산이 있었다. 은데미산 동남쪽에 새로 마을이 형성된 것이다. 작동에서 여월동 쪽에 있던...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서 원종동으로 흐르는 하천. 식골에서 흘러 내려온 물과 강상골에서 흘러 내려온 물이 합류해서 고리울[일명 괴리동으로 이곳은 고강동의 한 축이기도 함] 가운데로 나아갔다. 고리울천에 장갯말에서 서해 조수가 밀려와 물이 많아지면 배를 타고 나가 고기도 잡고, 썰물 때는 마을 앞 갯벌에 나가 조개도 잡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강수리조합이 만들어지면서 서해 조수가 밀...
-
“인천 연안부두에서 생선을 떼다가 새벽 두 시에 자전거를 타고 영등포 시장에 가서 팔았어요.” 부천 자유시장에서 약 17년 동안 이장을 역임했다는 이춘중 할아버지(76세). 6·25 전쟁 이후부터 시장과 인연을 맺어 온 할아버지는 초기시장부터 현재 자유시장에 이르기까지 시장의 형성 과정을 기억하는 몇 안 되는 토박이 상인이다. “6·25 때 내가 열아홉 살이었는데 그 때...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큰말에서 섬말까지 이어진 둑.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조선지지자료』에는 신보(新洑)로 기록되어 있다. 새보둑은 새로 만들어진 둑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새보둑은 원종동인 거칠개에서 시작한 방오리보에 연결하여 큰말을 지나 섬말까지 연결된 둑이다. 1900년경 서해의 바닷물이 밀려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새보둑이 조성되면서...
-
경기도 부천시 일원에서 매년 4월 열리는 전국 규모의 국악 축제. 새봄맞이 국악한마당은 국악 전 분야의 균등 발전을 위해 일반인들에게도 참가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국악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전 국악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를 개최하여 전통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전통의 맥을 이어가는 문화도시 부천의 위상을 확립하고자 한국국악협회 부천지부에서 2003년부터 시작한 국악 축제이다. 새봄맞이...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골짜기. 『부천사연구』에서는 춘덕산 앞에 있는 야산의 이름으로 ‘세재골’을 표기해 놓고 있다. 세제란 새재의 오기로 ‘사이’라는 뜻이다. 망골과 둔대골 사이에 있는 언덕을 가리켜 새재라고 부르다가 세제로 바뀐 것이다. 이 새재의 골짜기를 새재골이라 한다. 새재골 골짜기 오른쪽으로 평평한 들판이 있는데, 이곳에는 포도밭이 잘 가꾸어져 있다. 벌응절리의 안...
-
“동네에 잔치가 벌어지면 사람들이 가서 사흘, 나흘 동안 잔치가 끝나도록 도와주지...” 송내동은 옛날에는 작고 조용한 마을이었고 서로 돕고 사는 화목한 마을이었다. 마을에 일이 생기면 같이 나누고 함께하는 일이 많았다. 특히 마을에 잔치가 생기게 되면 너나 할 것 없이 함께 나누면서 즐거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당시 잔치라고 하면 그냥 동네일을 나의 일처럼 보고, 또...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서 원종동으로 흐르는 하천. 식골에서 흘러 내려온 물과 강상골에서 흘러 내려온 물이 합류해서 고리울[일명 괴리동으로 이곳은 고강동의 한 축이기도 함] 가운데로 나아갔다. 고리울천에 장갯말에서 서해 조수가 밀려와 물이 많아지면 배를 타고 나가 고기도 잡고, 썰물 때는 마을 앞 갯벌에 나가 조개도 잡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강수리조합이 만들어지면서 서해 조수가 밀...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샘말은 『조선지지자료』에는 간촌(澗村)으로 표기되어 있어 물가 옆에 있는 마을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우리말로는 섬말로 표기되어 있다. 샘말은 샘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섬말이 샘말로 바뀐 것으로 여겨진다. 섬말은 섬처럼 물길이 휘돌아 가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강상골이나 응구리에서 보았을 때 마을이 마치 섬처...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자연 마을. 샛골은 샛말에서 뒤골 쪽으로 철탑 못 미친 지역, 즉 샘말과 뒤골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원래는 이곳에 마을이 없었는데 1950년 밀양변씨 변호면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남쪽으로는 대머리산이 있고, 북쪽으로는 뒤골이 자리 잡고 있다. 샛골은 부천시 고강동 263번지 일대로 가구 수는 총 3가구이다....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오정마루에서 서쪽으로 능성이를 이룬 곳에 새로 마을이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혹은 새마을을 줄여서 부른 이름이라고도 한다. 샛말은 큰말과 누른말 사이에 있던 조그만 마을로 현재 오정동 275~284번지 3통과 23통 지역이다. 오정큰길이 뚫리면서 조각난 마을이 되었다. 전씨가 주축이 되어 마을이 형성되었고, 현재도 몇 가구의 주...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샛말 뒤쪽에 있는 산. 샛말산의 ‘샛말’은 새로 형성된 마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사이마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두 가지가 있다. 샛말산 남쪽으로는 대머리산이 있고, 북쪽으로는 뒤골[後谷]이 자리 잡고 있다. 샛말은 고강본동사무소 부근이며, 뒤골은 고강아파트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샛말산 아래로는 샛골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샛골은 샛말에서 뒤골 쪽으로 철탑...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동물원. 자연학습공원 내 부천자연생태박물관과 함께 자리한 어린이동물원은 2000년 9월 22일 어린이와 시민들에게 도심 속에서 동물들을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장하였다. 23개 동 313㎡의 부지에 동물 33종 155 마리를 전시하고 있다. 어린이동물원에서는 타조·청공작·수리부엉이·긴꼬리꿩 등 조류 28종 112마리...
-
경기도 부천시 역곡1동 벌응절리에서 여월로 가는 고개. 소탈미 중턱을 가로지르면 나오는 고개로, 이 고개 꼭대기에 소탈미 서낭당이 있어 이곳을 지날 경우 돌을 올려놓고 안전을 빌기도 하였다. 서낭당고개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연유하였다. 벌응절리 건너말에서 여월, 까치울과 고리울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지금은 이 서낭당고개 아래로 옛 수주로였던 역곡로가 뚫려 있고 서낭당고개가 있던 곳...
-
경기도 부천시 상동 일대에서 서도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서도사 설화」는 조선시대 부평도호부 석천면 구지리[현 상동]에서 있었던 지역 세도가의 전형적인 인물인 서도사의 악행과 그로 인해 벌을 받아 죽었다는 ‘권선징악’의 인물 설화이다. ‘인과응보형’ 민담으로서 실존 인물의 이야기와 결합하여 사실감을 더해주고 있다. 1994년 조기준이 집필하여 발행한 『부평사연구』에...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골짜기. 서름이골은 서늘한 지역이라는 의미로, 봉배산 줄기에 공동묘지가 위치하고 있는 작동의 골짜기이다. 서름이골은 서름이터라고도 하며, 서름이는 서늘이 그 어원이다. 서늘하다에서 온 이 말은 서늘한 바람이 불어 늘 시원한 곳이라는 뜻이다. 옛날에 이곳에 서름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서름이가 나중에 부자가 되어 잘 살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골짜기. 서름이골은 서늘한 지역이라는 의미로, 봉배산 줄기에 공동묘지가 위치하고 있는 작동의 골짜기이다. 서름이골은 서름이터라고도 하며, 서름이는 서늘이 그 어원이다. 서늘하다에서 온 이 말은 서늘한 바람이 불어 늘 시원한 곳이라는 뜻이다. 옛날에 이곳에 서름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서름이가 나중에 부자가 되어 잘 살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
“산 위에 올라가서 쥐불놀이도 하고 복숭아서리 하고 그런 것들은 저희 때는 흔해서 재미가 없었어요.” 뭐니뭐니 해도 복숭아의 매력은 서리를 해 먹는 재미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마땅히 군것질거리가 없었던 시절이었기에 밭모서리 복숭아 나뭇가지에 먹음직스럽게 익어가는 복숭아를 보고 군침만 삼킬 수는 없는 일이었다. 채 익기도 전 풋내가 날 때부터 시작된 복숭아 서리는 한...
-
조선 후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서종태(徐宗泰)이며, 아버지로부터 아들 서지수(徐志修)까지 3대에 걸쳐 대신을 지냈다. 부인 또한 3대가 대신을 지낸 명문가문 김구(金構)의 딸이다. 1705년(숙종 21) 진사가 되고, 1710년(숙종 36)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사관(史官)이 되었다. 이후 헌납·부수찬을 거쳐 1721년(경종 1...
-
경기도 부천시 중1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1984년 8월 6일 교회를 세웠다. 1986년 부천교육청으로부터 서문유치원 관인 인가를 받았다. 1989년 부천시 남구 상동 237-42번지의 대지를 사들여 예배당을 건축하고 이전하였다. 1993년 부천시 원미구 상동 반달마을 삼익상가 3층을 분양받아 이전하였다. 2003년 제1회 총신사회교육원을 개강하였다. 2004년에...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의 생산보다는 서비스 자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 활동. 서비스업인 3차 산업은 건설업, 상업(도·소매업), 운수, 통신, 보관업, 기타 서비스업(음식, 숙박업, 이·미용업), 전기, 수도, 가스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부천 지역의 3차 산업이 괄목할 만한 비율을 보인 것은 1960년대로, 이는 개발도상국의 특수성과 더불어 우리나라 경제...
-
1902년 경기도 부천 출신의 외교관 이종응이 한문으로 쓴 영국 기행 일기. 『서사록(西槎錄)』이란 서양에 배를 타고 갔다 온 기록이란 뜻이다. 이종응(李鍾應)[1853~1920]은 부천시 소사본1동 웃소새에 100여 년 전 이주한 전주이씨 덕흥대원군 후손이다. 1권 1책의 필사본으로, 책의 크기는 가로 21.5㎝, 세로 30㎝이다. 총 68쪽으로 매면은 12행이며, 1행은 21자...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세계 선교를 위한 기독교인 양성, 학문과 현장이 조화된 교육, 기독교 정신에 기초한 진리 탐구, 인류 평화와 사회 정의를 위한 지도자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진리, 성결’이다. 1911년 3월 13일 대한성결교회에서 서울 무교동에 성서학원을 개원하였으며, 제1대 원장에 존 토마스가 취임하였다. 1921년 4월 서울 충정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과 송내동을 경유하는 수도권 순환 고속국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일산~퇴계원~판교~일산을 원형으로 연결하는 도시 순환 고속국도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방사형과 순환형이 조화된 수도권 교통 체계를 구축하여 수도권 교통을 분산시키고, 특히 부천시 중동과 송내동을 비롯한 분당·일산·평촌·산본 등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수도권...
-
1902년 경기도 부천 출신의 외교관 이종응이 한글로 쓴 가사체 영국 기행 일기. 이종응(李鍾應)[1853~1920]은 부천시 소사본1동 웃소새에 100여 년 전 이주한 전주이씨 덕흥대원군 후손이다. 1권 1책의 필사본으로, 책의 크기는 가로 21.5㎝, 세로 30㎝이다. 총 416행 60쪽으로 매면은 8언 절구로 된 8행이다. 이종응이 한국외교사절단으로서 1902년 6월 26일에...
-
경기도 부천시 상1동에 있는 근린공원. 서촌공원은 1993년 6월 30일 부천 시민들의 편의시설 증대를 통한 복지 증진과 체육활동 장려를 위해 건립되었다. 서촌공원의 면적은 약 1만 6,580.2㎡이다. 다목적 체육관이 있어 시민들이 체육활동을 하기에 적합하다. 주요 시설로는 다목적체육관·LED파고라·등의자·음수대 등 편의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
-
경기도 부천시 상1동에 있는 체육 시설. 부천시민들이 주야 및 우천 시를 막론하고 일상 생활 속에서 보다 쉽게 체육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2005년 건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배드민턴 코트 5면, 탁구대 14개, 배구코트 1면 등이 설치 가능하며 약 70개의 요가 매트를 보유하고 있어 에어로빅도 할 수 있다. 그외 부대 시설로 의...
-
경기도 부천시 송내1동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시대 부평도호부 때는 이 지역을 마분리(馬芬里)라고 했는데, 이는 마분리(馬憤里)의 잘못된 표기이다. 마분리는 말[馬]이 묻힌 무덤이 아니라, 족장의 무덤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말이 글자 앞에 위치하면 신성한 족장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서촌말은 이천서씨가 살고 있어서 서촌말이라고도 하고, 부천에서 볼 때 서쪽에 위치해 붙여진 이름...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수(子粹), 호는 서포(西浦). 박조년(朴兆年)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이며,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이다. 외조부는 김희려(金希呂)이며, 부인은 청성군(淸城君) 이걸(李傑)의 딸이다. 형은 박동현(朴東賢)이며, 아들은 금주군(錦州君) 박정(朴炡)이다. 박동선은 158...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앙(子昻), 호는 몽촌(夢村)·석릉(石陵).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을 지낸 김홍도(金弘度), 어머니는 이계백(李繼伯)의 딸이며, 형은 김첨(金瞻)이다. 조부는 김노(金魯), 증조부는 김희수(金希壽)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창녕성씨(昌寧成氏)이고, 장인은 성호문(成好問)이다. 김수는 1573년(선조 6)인 2...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소속의 사찰. 조선 말기 일제의 탄압을 피해 현 석왕사 터에 모인 몇몇 승려들은 토굴을 파고 소규모의 불당을 지어 기도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그 후 주민들이 원미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이곳을 왕래하며 기도를 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절골’이라 불리기도 했다. 1920년 기와장과 불상이 발견된 것을 기회로 조그마한 절을 짓고 포교...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 석왕사에 있는 불상. 삼존불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운데 석가모니불이 있고, 왼쪽에 아미타불, 오른쪽에 약사불이 있다. 보살상은 왼쪽부터 대세지보살, 관음보살, 보현보살, 문수보살, 지장보살이 조성되어 있다. 대세지보살상의 머리 보관에는 보배병 문양이 들어 있다. 관음보살상은 손에 감로수의 정병을 지니고 있고, 머리의 보관(寶冠)에는 아미타 부처의 화신, 즉...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 석왕사에 있는 법당 건물. 불교에서의 법은 화합을 근본으로 삼는데, 교단의 화합과 함께 대중의 수행 자세를 일깨워주고자 여섯 가지 화합하는 법을 다루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는 신화동주(身和同住)로서 몸의 화합으로 함께 살며 한 몸같이 일하는 자세, 둘째는 구화무쟁(口和無諍)으로서 입의 화합으로 다툼 없이 지내는 자세, 셋째는 의화무위(意和無違)로서...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 석왕사에 있는 불상. 부처는 최초의 설법을 누구에게 할까 고민한 끝에 예전에 함께 고행했던 다섯 명의 수행자들을 대상으로 녹야원에서 최초의 설법을 했다. 이 광경을 묘사한 것이 초전법륜상이다. 석왕사 초전법륜상은 인도 바라나시 인근 사르나트의 초전법륜상을 모본으로 된 것으로, 부처의 최초의 설법, 즉 초전법륜의 역사적 의미를 더욱 높이 숭상하고 초전법륜의 현장...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 석왕사에 있는 석탑. 인도에서 부처가 열반에 들고 난 뒤 부처의 유구를 화장하여 그곳에서 나온 사리를 모시기 위해 만든 것이 수투파, 즉 탑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복발형으로 조성되었으나 불교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각 나라와 지역에 걸맞게 변화하였다. 한국에서는 목조탑과 전탑, 그리고 화강암 석탑이 조성되었다. 그중에서 현재까지 가장 많이 전해져 내려오는 탑...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근린 공원. 경기도 부천시에서 시민들의 복지 향상을 위해 1993년 6월 30일에 설립한 석천공원은 중동 신도시 내 아파트 밀집 지역에 위치한 공원으로서, 주변에 학교와 교회가 있어 주로 중학생 이상의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과 상동 및 중동 일대에서 매년 백중에 열리는 민속놀이. 부천 지역은 공업 지구가 형성되면서 점차 농지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논과 복숭아밭이었던 벌판에 중동 신시가지와 상동 신시가지가 들어서면서 현재는 농사짓는 모습을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두레도 자취를 감추었으나, 부천시 축제인 복사골예술제나 동별 축제 행사에서 석천농기고두마리 놀이를 재현하고...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기본 생활습관에 충실하고 예의바르며 책임감을 지닌 도덕인, 학업에 열중하고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는 실력인,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탐구하는 창조적인 창조인, 심신이 건강하고 풍부한 정서를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석천중학교는 부천시 상동 신도시 아파트 지역에 위치한 학교로, 2002년 3월 1일 5학급으로 개교를 인가 받았으며, 초...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실하며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며 꿈을 키우는 실력인, 새롭게 탐구하며 창의적인 창의인, 심신이 튼튼하며 끈기 있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7년 9월 6일 석천초등학교 설립인가를 받아 2003년 9월 1일 11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정웅규가 취임하였다. 2003년 11월 4일 조경 공사를 완...
-
경기도 부천시에서 선거권을 가진 지역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 투표를 통해 뽑는 행위. 선거 제도는 민주 정치 과정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의회의 성격, 정당의 특성, 이익 집단의 형태, 정부의 안정성과 한나라의 통합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이다. 우리나라는 1948년 5월 10일 국회 의원 선거에서 선출된 198명의 국회 의원으로 제헌 국회가 구성된 이래 변화를 거듭하여...
-
경기도 부천시에서 여우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비와 여우고개」는 부천시 남쪽에서 시흥시로 넘어가는 곳에 자리한 ‘여우고개’에 얽힌 지명유래담이다. 여우고개는 부천의 옛지명인 소사와 시흥, 그리고 서울로 연결되는 중요한 길목으로 왕래하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다양한 여러 유래담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1996년 부천문화원에서 간행한 『부천문화의 재발견』과 199...
-
경기도 부천시에서 발견된 역사 기록이 존재하지 않은 시대의 유적과 유물. 선사시대는 문자 기록이 없는 시대로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세분된다. 선사시대의 구분은 세계의 각 지역별로 그 기준이 다른데, 한국에서는 도구의 재질을 기준으로 하여 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로 나뉜다. 선사시대의 생활상은 당시 사람들이 남기 유적과 유물을 통한 고고학적 방법으로 연구할 수밖에 없다. 부...
-
1637년 병조호란 때 부천 지역에서 활약한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선술(先述), 호는 매죽헌(梅竹軒). 전라남도 함평 출신이다. 아버지는 김억창(金億昌), 아들은 난포만호(蘭浦萬戶)를 역임한 무장 김방보(金邦寶)이다. 김득남은 신장이 매우 컸으며 힘이 세고 활을 잘 쏘았다. 젊어서 무과에 급제하여 서천포만호(舒川浦萬戶)를 지냈다. 1623년 인조반정 때 함녕군(咸寧君)...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효자.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가 병이 들자 단지(斷指)하였고, 상을 당해서는 3년간 죽을 먹으며 지냈다. 1655년(효종 6) 정려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 첫날로 정월 초하루를 말하는데, 한자로는 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라 표기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차례에는 떡국, 과일, 떡, 고기 등을 차려 놓고 조상께 차례를 지낸다. 종갓집에서 먼...
-
경기도 부천 지역에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는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 형태의 민간 서사를 가리키는 말로, 통상 그 갈래를 신화, 전설, 민담으로 삼분하고 있다. 신화는 신성에 관한 이야기이고, 전설은 증거물을 근거로 진실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이야기이며, 민담은 흥미를 추구하는 이야기이다. 이 중에서 부천이라는 지역성이 제대로 드러나는 설화는 전설과 민담이라고 할 수 있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샘말은 『조선지지자료』에는 간촌(澗村)으로 표기되어 있어 물가 옆에 있는 마을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우리말로는 섬말로 표기되어 있다. 샘말은 샘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섬말이 샘말로 바뀐 것으로 여겨진다. 섬말은 섬처럼 물길이 휘돌아 가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강상골이나 응구리에서 보았을 때 마을이 마치 섬처...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섬말은 한강수리조합이 생기기 전에는 독립적인 섬이었던 곳으로 섬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섬말이라 불린 듯하다. 한강수리조합이 생긴 뒤에도 서해 조수가 완전히 정리되기 전에는 나무토막과 널빤지를 이어 만든 다리가 있었다. 그러다가 이 다리가 없어지고 섬말과 큰말 사이에 징검다리가 놓였다. 지금도 이곳에는 그 흔적인 갈대밭이 형성되어 있다. 섬...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3동에 있는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소사본3동성당은 서울에 근접한 위성도시였던 경기도 부천시에 인구가 늘어나게 되자, 본당인 소사성당만으로는 늘어나는 신자들을 수용할 수 없어 한국천주교 인천교구로부터 본당 분리 통보를 받고 1985년 1월 27일 분리되었다. 1985년 2월 19일 임시 성당에서 설날 합동미사로 첫 미사를 봉헌하였다. 1985년 소사성...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노인 복지시설. 성가요양원은 가난하고 의지할 곳 없는 노인들과 한 가족을 이루어 서로 사랑하고 섬기는 복음의 공동체로서 노인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20년 프랑스인 우빌망(Villement) 신부가 부천시에 있는 바오로수녀원에서 노인 요양원 사업을 시작하면서 재단법인 경성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산하 양로원으로 발족하였다. 1958년...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노인 복지시설. 성가요양원은 가난하고 의지할 곳 없는 노인들과 한 가족을 이루어 서로 사랑하고 섬기는 복음의 공동체로서 노인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20년 프랑스인 우빌망(Villement) 신부가 부천시에 있는 바오로수녀원에서 노인 요양원 사업을 시작하면서 재단법인 경성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산하 양로원으로 발족하였다. 1958년...
-
경기도 부천시 심곡동에 있는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1945년 광복과 더불어 신앙의 자유를 찾게 되면서 신자들이 늘어나자 신앙 공동체 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지역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고자 설립되었다. 소사성당은 부천 지역에 천주교가 들어온 지 100년 만에 건립된 부천시 최초의 성당으로, 부천시에 있는 17개 성당의 근원지이다. 경기도 부천 지역에 천주교가 처음...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있는 수녀회. 1885년 5월 11일 스페인에서 카푸친작은형제회 소속 루이스 아미고 페레르 주교가 가장 가난하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형제, 자매들에게 자신들의 삶을 봉헌하기 위하여 성가정 카프친 수도회를 설립하였다. 1905년 콜롬비아 진출을 시작으로 현재 세계 30여 개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성가정의 카푸친수녀회는 설립자의 뜻을 본받아 착한 목자의 정신과...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거(聖車). 아버지는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민수구(閔洙耈)이고, 동생은 민희식(閔羲軾)이다. 민희철(閔羲轍)은 1813년(순조 13)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태어났다. 1855년(철종 6)에 실시된 식년시 생원과에서 을과 11위로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2동에 있는 성결신학 연구단체. 성결신학연구소는 성결신학의 정체성에 대해 연구하고 그 보편성을 널리 알려서 성교교회의 성장에 기여하기 위해 1992년 10월 12일 설립되었다. 성결신학연구소는 설립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성결신학에 대한 좌담 및 강연, 세미나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성결교회 관련 인물 연구와 성결교회와 관련하여 논문 및 칼럼을 집필하는 등의 업무...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건전한 인성 함양으로 협동·봉사하는 사람, 자기 주도적 탐구능력 신장으로 창의적인 사람, 다양화·특성화 교육으로 세계화에 대응하는 사람, 심신의 단련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사람을 기른다. 교훈은 ‘성실’이다. 1991년 9월 19일 설립인가를 받은 성곡중학교는 1993년 3월 4일 13학급으로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정규제가 취임...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예배와 찬양·대화·선교 활동을 통하여 정서를 공유하며, 공동체로서 하나 되는 마음을 가져 널리 포교 활동을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3년 현재 부천제일교회인 소사제일교회의 개척 교회로 발족하여 이영만 장로 집에서 교회 학교로 모임을 시작하였다. 그 후 시험장교회로 분리하여 소사제일교회 김송죽 여전도사의 인도로 첫 예...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웅언(雄彦), 호는 성남(誠男)·한정(寒停).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박문좌(朴文佐)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배천조씨(白川趙氏)이다. 죽산박씨 시조 충정공 박기오(朴奇悟)의 12세손인 박철정(朴鐵貞)이 연산군 시대 부천에 거주하면서부터 후손들이 역곡동·송내동·범박동에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 박대남은 성품이 단정하고...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천주교의 종교 의식이 행해지는 교당. 경기도 부천에 처음 성당이 지어진 것은 1945년 소사성당이 최초이다. 소사에 성당이 지어지기까지는 박해를 피해 부천으로 모여든 치명(致命: 천주와 그 교회를 위해 목숨을 희생함)한 사람들과 그 후손들의 공이 컸다. 조선의 첫 사제인 김대건[안드레아] 신부가 순교한 병오박해 때 현석문·남경문 등 교회의 많은 지도자들이 함께...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교회 전문 건축가 김재관이 설계하여 지어진 독특한 외관의 성만교회는 교회의 기독교적인 목적 이외에 교회 내 ‘아름다운 가게’를 운영하는 등 사회 복지에 힘쓰고 있다. 선교, 교육, 봉사에 뜻을 갖고 설립되었다. 부천시의 한 상가 건물을 임대하여 예배를 보기 시작한 것이 성만교회의 시초이다. 2002년 현 여월동에 교회를 건립...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수녀회. 성모자헌 애덕의 도미니꼬수녀회는 1897년 스페인을 시작으로 한국, 콜롬비아, 인도, 멕시코, 미국, 아프리카, 이라크 등 36개국에 3,000명의 수녀들이 파견되어 해외 선교 활동을 하고 있다. 창립자는 마리뿌스팬으로, 1653년 프랑스 두르단에서 태어났다. 성모자헌 애덕의 도미니꼬수녀회는 성 도미니꼬의 모범인 말씀의 봉사, 진리에 대한 추구...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1동 성주산 기슭에 있는 활터. 언제 세워졌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말기부터 많은 사람이 활터에서 활을 쏘았다고 전해 오고 있다. 1941년 30여 명의 사원(射員)으로 모임을 발족하고 활터를 소학정(素鶴亭)이라 명명하였다. 6·25전쟁으로 한때 중단되었다가 1958년 소학정을 계무정(桂武亭)으로 개칭하였고, 1962년 다시 용호정(龍虎亭)으로 이...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중2동성당은 중동의 신도시 건설과 지역 개발로 인한 인구 증가에 따라 교세가 날로 확장됨에 따라 늘어나는 신자들을 수용할 수 없어 1994년 2월 14일 상동성당에서 분리되었다. 중2동성당이란 이름으로 인천교구의 허가를 받아 중2동 전 지역이 중2동성당으로 편입되었다. 초창기에는 신자들이 별로 없었다. 제1대 주임으로 부임한 이...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성보(聖輔). 증조부는 유세백(柳世百), 조부는 유광정(柳光井), 외조부는 이수영(李壽榮)이다. 아버지는 유명유(柳命裕)이고, 처부는 남시노(南蓍老), 동생은 유지흡(柳之翕)·유지습(柳之習)이다. 유지익은 조선 후기 부천 지역에서 튼튼한 기반을 가진 유력 가문 출신으로, 1798년(정조 22) 39세 때 생원진사시에 합...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내경(來卿). 친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성두동(成斗童)이고, 양아버지는 통덕랑 성세동(成世童)이다. 형제로는 형 성세장(成世章)과 동생 성구장(成九章)이 있다. 성봉장(成鳳章)은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660년(현종 1)에 태어났다. 1691년(숙종 17)에 실시된 증광시 진사과에서 병과 33위로 급제하여...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수녀회. 올리베따노 성베네딕도수녀회는 복음의 정신으로 수도 공동체 안에 결속되어 그리스도를 따르는 성 베네딕도의 수도 규칙을 지키며 끊임없는 회개와 겸손, 찬미, 봉사, 공동생활로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올리베따노 성베네딕도수녀회는 스위스 캄 하일릭크로이츠에 소재하는 올리베따노 성베네딕도수녀회로부터 6명의 수녀들이 1931년 조선교회...
-
여양유를 시조로 하고 여제분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부천시 세거 성씨. 성주여씨는 여양유(呂良裕)를 시조로 하고 있다. 본래 성주여씨의 시조는 여어매(呂御梅)였다. 그러나 병란으로 관련 문헌이 소실되어 계보를 명확히 알 수 없게 되자, 후손들이 고려시대에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낸 여양유(呂良裕)를 시조로 삼게 되었다. 여어매는 당나라 사람으로 877년(헌강왕 3)에 황소의 난을...
-
조선 후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서(聖瑞). 아버지는 종사랑 이만실(李萬實)이며, 형은 이봉령(李鳳齡)이다. 이구령은 부천 지역에 거주하다가 1713년(숙종 39)에 실시된 증광시에서 생원·진사에 모두 합격하였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성석(聖錫). 아버지는 성균관 유생 남익주(南益周)이고, 동생은 남정철(南正轍)이다. 남정여(南正輿)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744년(영조 20)에 태어났다. 1795년(정조 19)에 실시된 식년시 생원과에서 을과 4위로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덕구(德久), 호는 칠봉(七峯). 아버지는 장흥고령(長興庫令) 성예원(成禮元)이다. 성수익은 1552년(명종 7) 생원이 되고, 1559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承文院權知)에 임명되었다. 1568년(선조 1) 개성경력(開城經歷)이 되어 정몽주(鄭夢周)의 옛 집터에 사당을 세우고 서경덕(徐敬德)과 함께...
-
경기도 부천시 역곡2동에 있는 수녀회. 성심수녀회는 이탈리아 로마에 본원을 둔 국제 공동체로, 1800년 11월 21일 프랑스 파리의 작은 경당에서 창설자인 성녀 마들렌 소피 바라와 세 명의 자매가 성모 자헌상 앞에서 첫 서원을 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그리스도교 교육수녀회로 인가를 받았다. 당시 프랑스는 혁명의 여파로 사회는 대혼란에 빠졌고, 교회는 박해를 받아 전례(典禮)...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범박동성당이 있는 범박동은 신앙촌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1960년대 박태선 장로가 이곳에 신앙촌이라는 마을을 조성해 오만제단(五萬祭壇)이라는 교회를 설립하고 천부교 교주로 활동하였다. 박태선이 죽은 후 신앙촌은 쇠락해 갔으며, 2001년 부천시의 재개발사업에 의해 현재는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되었다. 범박동이 재개발됨에...
-
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하거나 연고가 있는 동일 혈연 집단. 성씨는 혈연관계를 나타내는 부호로서, 처음 씨족의 정체성을 외부에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즉 부족국가로의 발전적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현상으로 나름대로 다른 씨족과 구분 짓기 위하여 강·산·골짜기의 이름을 붙여 사용하던 것이 성씨로 발전한 것이다. 우리 민족의 경우 삼국이 성립되기 이전 씨족사회에서는...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성여(聖與). 공간공파 16세손으로, 아버지는 남익상(南益祥)인데, 남익우(南益祐)에게 양자로 갔다. 부인 창원황씨(昌原黃氏)와의 사이에 남명열(南命烈)·남명섭(南命燮) 등 2남 4녀를 두었다. 남정규는 1769년(영조 45) 무과에 급제하여 전군읍의 관리를 지내고, 벼슬이 왕실의 수위와 신변 보호를 맡아 보던 정3품...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연(聖淵). 증조할아버지는 이만기(李萬基)이고 할아버지는 이태령(李泰齡)이다. 아버지는 통덕랑을 지낸 이현양(李顯陽)이다. 이흥종(李興宗)은 1747년(영조 23) 진사시에 급제한 후, 1751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정자·정언 등을 거쳐 1762년 헌납으로 있을 때 노론의 중신들을 탄핵하여...
-
조선 중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사호(士豪), 호는 성은(城隱). 아버지는 목사 남유(南瑜)이다. 남이흥은 1602년 무과에 급제한 후 선전관을 거쳐 부총관, 포도대장, 충청도병마절도사, 경상도병마절도사, 구성부사, 안주목사, 평안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뒤 서도(西道)의 수령직을 자청하여 구성부사가 되었다가, 시기하는 자...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 오정초등학교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오쇠동 쪽으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를 헐떡거리면서 오른다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그 원형은 활터고개이다. 오정초등학교 근방에서 활을 쏘았다는 이야기도 있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활터고개의 어원은 솔터고개인데, 이는 까치울 활터고개처럼 이곳에 솟대가 세워져 있었음을 말해 준다. 솟대는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을 달아 놓은...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언휘(彦暉), 호는 성재(誠齋). 진사를 지낸 민만(閔晩)과 이천서씨(利川徐氏) 사이의 다섯째 아들이다. 부인 한산이씨(韓山李氏) 사이에 민윤창(閔允昌)·민경창(閔景昌)·민회창(閔會昌) 등 3남 1녀를 두었다. 민이승은 어려서부터 서책을 가까이하고 문장에 뛰어난 재질을 보여, 커서는 당대의 석학들과 학문에 관한 토론을...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시흥시 대야동 사이에 있는 산. 성주산이라고 한 이유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 때 도서관 심곡분관 자리에 1938년 일본왕에게 참배를 강요하던 소사면 신사가 세워졌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일본인들에 의해 붙여진 산 이름이 아닌가 한다. 그 이전에는 와우산 또는 댓골산이라고 불렸다. 특히, 하우고개가 있는 부분은 『조선지지자료』에는...
-
차영숙이 경기도 부천에 있는 성주산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6연 22행으로 구성되어 있는 「성주산」은 성주산을 소재로 하여 부천의 옛 모습을 회고하고 있다. 이 고장의 역사가 구비 구비 산길로 엮어 있네 고요한 새벽 복사꽃 분홍향기로 찾아온 바람 쉬이 잊고 살아온 타인의 가슴에 내 선조의 기침인 양 종소리가 애련하다 어머니의 젖줄인 양 약수를 마시면 핏줄로 가득 차오르는 향수 우...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1동에 있는 근린 공원. 성주산 산새공원은 2006년 6월 1일 부천시민들의 체육 및 여가 활동을 장려하고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건립되었다. 성주산 산새공원은 총 면적 20,000.0㎡ 규모로 농구장·게이트볼장·야외 무대·계류·주차장 등 편의 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머신·로윙라이더머신·스윙워커머신·레그프레스머신·레그...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1동에 있는 근린 공원. 성주산 생활체육공원은 2006년 12월 15일 경기도 부천시 주민들의 생활 체육을 장려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성주산 생활체육공원의 총 면적은 25,225.0㎡이다. 축구·인라인·조깅·농구·족구 등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인조잔디운동장, 테니스장, 체력단련장 등의 체육공원이 있으며,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근린 공원. 성주산 약수터공원은 2004년 5월 15일 부천시민들의 쉼터 확충과 야외 및 체육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성주산 약수터공원의 총 면적은 33,800.0㎡이다. 애생화원, 꽃향기, 복사꽃광장 등의 공원과 약수 터·LED파고라·배드민턴장 등의 편의 시설이 있으며,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트위스트머신·로...
-
“마을이 성주산을 중심으로 해서 형성되다 보니까 험준한 산과 고개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은 편이에요.” 고향하면 떠오르는 풍경의 한가운데에 마을 숲이 있다. 마을 들머리나 앞들, 갯가, 뒷동산의 솔밭이나 느티나무 고목 아래에서는 마을 제례와 축제가 벌어지곤 했다. 부천 심곡본동에는 이런 원초적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대표적인 고향 경관이자 오랫동안 사람과 자연이 교감하는 느티나무가 있다...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 부천여자중학교 운동장에서 열리는 복숭아 축제. 성주산복숭아축제는 부천의 상징인 복숭아를 소재로 하는 축제를 만들어 부천 지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친목과 화합을 도모함과 동시에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최하고 있다. 성주산복숭아축제는 이틀에 걸쳐 진행되는데, 전야행사로 영화를 상영한다. 본 행사는 붐 조성, 식전행사...
-
1996년 경기도 부천시의 성주산을 지키기 위해 전개된 시민운동. 경인우회도로는 경인고속국도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6차선 고속화도로를 건설할 계획으로 입안되었다. 진입로는 고가형 입체 교차로로 송내동, 소사본3동, 괴안동, 범박동 등 모두 4곳에 세워질 계획이었으나 토질이 토사 지층인지라 터널시공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산을 깎아 내려야 했고 실행에 옮겨질 경우 약 20만㎡의...
-
여양유를 시조로 하고 여제분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부천시 세거 성씨. 성주여씨는 여양유(呂良裕)를 시조로 하고 있다. 본래 성주여씨의 시조는 여어매(呂御梅)였다. 그러나 병란으로 관련 문헌이 소실되어 계보를 명확히 알 수 없게 되자, 후손들이 고려시대에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낸 여양유(呂良裕)를 시조로 삼게 되었다. 여어매는 당나라 사람으로 877년(헌강왕 3)에 황소의 난을...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올바른 가치 판단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맡은 일을 찾아하고 스스로 책임지는 자주인, 창의와 개척 정신을 발휘하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창조인,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1985년 1월 21일 성주중학교 설립인가를 받아, 3월 1일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에는 김학칠이...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며 효도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 있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심신이 건강하며 끈기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79년 12월 5일 성주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80년 10월 8일 19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황만길이 취임하였다. 1983년 2월 11일...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성지(誠之). 할아버지는 충좌위(忠佐衛)를 지냈던 한홍연이고, 아버지는 의주목사(義州牧使)를 지낸 한구(韓鉤)이다. 한수성의 할아버지 한홍연은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에서 살다가 춘의동으로 이주하였다. 1564년(명종 19) 식년시에 급제하였고, 별좌(別坐)를 거쳐 호조정랑(戶曹正郞)과 금구현감(金溝縣監) 등을 지냈...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인.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지(成之). 아버지는 정선군수를 지내고 사후에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추증된 민수경(閔守慶)이다. 창릉·영릉·효릉 참봉을 역임하고 『성재집(誠齋集)』을 남긴 민이승(閔以升)이 다섯째 아들이다. 민만은 1651년(효종 2)인 38세 때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다....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전주. 자는 성칙(聖則). 아버지는 생원 이덕리(李德履)이다. 1762년(영조 38)에 실시된 식년시에서 생원 3등 62인으로 합격하였는데, 합격 당시 부모와 조부모가 모두 생존해 계셨다....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 오정초등학교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오쇠동 쪽으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를 헐떡거리면서 오른다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그 원형은 활터고개이다. 오정초등학교 근방에서 활을 쏘았다는 이야기도 있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활터고개의 어원은 솔터고개인데, 이는 까치울 활터고개처럼 이곳에 솟대가 세워져 있었음을 말해 준다. 솟대는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을 달아 놓은...
-
경기도 부천시 역곡1동 벌응절리에서 여월로 가는 고개. 소탈미 중턱을 가로지르면 나오는 고개로, 이 고개 꼭대기에 소탈미 서낭당이 있어 이곳을 지날 경우 돌을 올려놓고 안전을 빌기도 하였다. 서낭당고개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연유하였다. 벌응절리 건너말에서 여월, 까치울과 고리울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지금은 이 서낭당고개 아래로 옛 수주로였던 역곡로가 뚫려 있고 서낭당고개가 있던 곳...
-
“시장에서 건어물 장사함시로 자전거, 기차, 삼발이 차 안타본 것이 없죠.” 1965년부터 자유시장에서 건어물 장사를 시작하셨다는 배석홍 할아버지(73세). 1957년도에 군 제대하고 부천에 정착하신 할아버지는 자유시장의 전경을 줄줄 읊으셨다. “자유시장을 가로지르는 개울이 하나 있었어요. 자유시장 뒤편으로는 과수원이 있었는데 대부분은 포도밭과 복숭아밭이었어요. 그 위로 올라가면...
-
경기도 부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1954년 문선명이 창설한 신종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통일교]은 문선명이 1954년 5월에 창설하였으며, 1997년에 기존의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를 세계평화가정연합과 통합하여 공식 명칭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으로 변경하였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전지전능한 무형의 부모인 신(神)을 신앙하고, 신의 체(體)를 쓰고 있는 동시에 신과 분리된 존재...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 첫날로 정월 초하루를 말하는데, 한자로는 원일(元日)·원단(元旦)·세수(歲首)라 표기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차례에는 떡국, 과일, 떡, 고기 등을 차려 놓고 조상께 차례를 지낸다. 종갓집에서 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