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부른 여성 노동요. 「바느질 노래」와 같이 부천 지역 일원에서 구전되고 있는 민요는 노동요 중에서도 여성 노동요가 중심이 되고 있다. 다른 노동요나 비기능요가 거의 없는 이유는 서울, 인천과 같은 도시와 인접해 있어 일찍 소멸되거나 미처 채록하지 못한 때문인 것 같다. 「바느질 노래」는 여성 노동요 중에서도 작업 내용이 구체적으로 드...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문서(文瑞), 호는 궁와(窮窩). 밀양박씨 규정공파(糾正公派) 16세손으로, 아버지는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를 지내고 계양팔문장가(桂陽八文章家)에 속하는 박선(朴渲)이다.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이며, 3남 1녀 중 장남이다. 박규문은 어릴 때부터 도량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 일찍이 학문을 이루었고, 1699년(숙종...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자수(子秀). 증조부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손자인 취성군(鷲城君) 이영(李潁)의 딸과 혼인한 박철정(朴鐵貞)이고, 아버지는 지금의 부천시 역곡1동 안동네에 정착하여 살던 진사 박문필(朴文弼)이다. 어머니는 숙인(淑人) 창녕성씨(昌寧成氏)이고, 통훈대부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을 지낸 박영남(朴英男)이 동생이다. 박기남은...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박기남(朴奇男)의 묘. 박기남은 진사 박문보(朴文輔)의 아들로, 자는 자수이고, 본관은 죽산(竹山)이다. 1606년(선조 39) 증광생원시에 3등으로 합격한 후 관직에 나아갔다. 1597년(선조 30)에 경상도에서 왜적과 접전을 벌이는 공을 세웠지만 1607년(선조 40) 중부참봉(中部參奉)에 재직할 때 뇌물 수수 혐의로 파직당하였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웅언(雄彦), 호는 성남(誠男)·한정(寒停).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박문좌(朴文佐)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배천조씨(白川趙氏)이다. 죽산박씨 시조 충정공 박기오(朴奇悟)의 12세손인 박철정(朴鐵貞)이 연산군 시대 부천에 거주하면서부터 후손들이 역곡동·송내동·범박동에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 박대남은 성품이 단정하고...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조선시대 박대남(朴大男)의 묘. 박대남의 본관은 죽산(竹山)이고, 자는 웅언(雄彦)이다. 『죽산박씨족보(竹山朴氏族譜)』에 따르면 안성군수(安城郡守)를 지냈다고 한다. 생몰년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는데, 다만 『선조실록(宣祖實錄)』과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의 옥사와 관련한 기록에 수문장을 지낸 박대남이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이를 토대...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수(子粹), 호는 서포(西浦). 박조년(朴兆年)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이며,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이다. 외조부는 김희려(金希呂)이며, 부인은 청성군(淸城君) 이걸(李傑)의 딸이다. 형은 박동현(朴東賢)이며, 아들은 금주군(錦州君) 박정(朴炡)이다. 박동선은 158...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학성(學成), 호는 청암(淸菴). 황해도 수안군수와 기호병마진관절제도위를 지낸 박대남(朴大男)의 장남이다. 죽산박씨는 시조인 충정공 박기오(朴奇悟)의 12세손 박철정(朴鐵貞)이 연산군 대에 부천 지역에 거주하게 되면서부터 경기도 부천시 역곡1동과 역곡2동, 송내동과 범박동에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 박명장은 1636년(...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할아버지는 죽산박씨 시조 충정공 박기오(朴奇悟)의 12세손인 박철정(朴鐵貞)이다. 박문필은 인제현감을 지내고, 정3품 통정대부의 품계를 받았다....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조사·연구·감상의 대상이 되는 것들을 수집·보존·연구하여 전시하는 시설. 부천시의 박물관은 문화 도시를 지향하는 중·장기 시정 목표에 따라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2007년 12월 현재 모두 10개의 박물관이 운영되고 있다. 부천의 박물관은 설립·운영하는 주체의 성격에 따라 공립 박물관·사립 박물관으로 나누어지며, 수집 자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자연사 박물관,...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고령박씨의 시조인 박안성(朴彦成)의 13세손으로, 감사공파(監司公派) 중시조인 박광우(朴光佑)의 2세손이다. 아버지는 태종 대 사간원정언과 사헌부지평을 지낸 박미생(朴美生)이다. 부인은 부평유씨(富平柳氏)로 군수(郡守) 유한(柳閑)의 딸이고, 아들은 박처륜(朴處綸)이다. 박사란은 1438년(세종 20)에 문과에 등재한 이후...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박사란의 묘. 박사란(朴思爛)의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세조실록』·『예종실록』을 편찬한 박처륜의 아버지이다. 1438년(세종 20)에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조참판 동지의금부사(吏曹參判同知義禁府事)를 추증받았다. 부인은 군수(郡守) 유한(柳閑)의 딸인 부평유씨(...
-
조선시대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반남(潘南). 고려 고종 때 반남현의 호장(戶長)이었던 박응주(朴應珠)[1214~1249]의 18세손으로, 증조는 박원만(朴元萬)이다. 박사온은 지금의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정착하여 살았다고 전한다....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아버지는 박흔(朴忻)이고, 부인은 계양이씨(桂陽李氏)이다. 아들은 박원만(朴元萬), 손자는 박이망(朴以望)이다. 반남박씨가 경기도 부천 지역에 정착하게 된 것은 15세손 박원만이 경기도 수원에서 현재의 경기도 인천시 남구 학익동 지역으로 낙향한 이후, 그 증손자인 박사온(朴師溫)이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지역에 정착하면...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 반남박씨 묘역 내에 있는 조선 후기 박삼의 묘. 박삼의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아버지는 박흔(朴欣)이고, 아들은 박원만(朴元萬)이다. 부인은 계양이씨(桂陽李氏)이다. 『문종실록(文宗實錄)』에 의하면 함종현령(咸從縣令)을 지냈다고 한다. 굴곡천 관찰로 초입 동편 입구로 들어가면 보이는 반남박씨 묘역 야산을 따라 동남쪽으로 약 100m 떨어진 지점에 박삼 묘가...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박성진(朴星鎭)[1762~1826]의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약선(藥仙). 고조부는 박호(朴壕)[1702~1771], 증조부는 박조흠(朴祖欽)[1726~1779], 조부는 박운한(朴運漢)[1762~1826], 부친은 박재빈(朴載彬)[1797~1860]이다. 부천시 삼정동의 박노송·박노섭가의 소장 유물로 박성진의 처 창원황씨 장례 조문록인 『조...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박순손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부평에서 거주하였다. 1447년(세종 29)에 실시된 식년시에서 생원 3등으로 합격하였다....
-
조선 중기의 유생. 본관은 반남(潘南). 아버지는 문종 때에 함종현령(咸從縣令)을 지낸 박삼(朴參)이며, 아들은 통정대부절충장군오위장(通政大夫折衝將軍五衛將)을 지낸 박이망(朴以望)이다. 부인은 연기김씨(燕岐金氏)이다. 반남박씨 15세손 박원만이 경기도 수원에서 인천시 남구 학익동으로 낙향한 후, 증손인 박사온(朴師溫)이 부천시 대장동에 정착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 10...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조선 후기 박원만의 묘. 박원만(朴元萬)의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아버지는 박삼(朴參), 아들은 통정대부 절충장군 오위장(通政大夫折衝將軍五衛將)을 지낸 박이망(朴以望)이다. 부인은 연기김씨(燕岐金氏)이다. 굴곡천 관찰로 초입 동편 입구로 들어가면 보이는 반남박씨 묘역 야산을 따라 동남쪽으로 약 100m 떨어진 지점에 박원만 묘가 있다. 묘는 부인인 연...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아버지는 박원만(朴元萬)이고, 부인은 숙부인(淑夫人) 울산김씨(蔚山金氏)와 숙부인 소성공씨(昭城孔氏)이다. 박이망의 아버지 박원만이 경기도 수원에서 인천광역시 남구 학익동으로 낙향한 후, 박이망의 증손인 박사온(朴師溫)이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이주하면서 부천 지역에 정착하였다. 조선시대 숙종 대부터 영조 대에 걸쳐 활동하였...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인물 박이망의 묘. 박이망(朴以望)의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박원만(朴元萬)의 아들이다. 부인은 숙부인(淑夫人) 울산김씨(蔚山金氏), 숙부인 소성공씨(昭城孔氏)이다. 굴곡천 관찰로 초입 동쪽 입구로 들어가면 보이는 반남박씨 묘역 야산을 따라 동남쪽으로 약 100m 떨어진 지점에 박이망 묘가 있다. 묘는 숙부인울산김씨, 숙부인 소성공씨와 함...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밀양(密陽). 밀양박씨 중시조 규정공(糾正公) 박현(朴鉉)의 20세손으로 궁와(窮窩) 박규문(朴奎文)의 고손, 박호(朴壕)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박조흠(朴祖欽)이며, 아버지는 박운한(朴運漢)이다. 박재빈은 지금의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三井洞)에 살았다....
-
일제강점기 활동한 부천 지역 출신의 정치인. 본관은 죽산(竹山)이며, 호는 지봉(芝峰)이다. 박제환은 경기도 부천군 옥산면 벌응절리 능골[현 경기도 부천시 역곡1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박주순과 어머니 하진환의 둘째 아들이다. 13대 조상인 박철정부터 부천에 정착해 살았다. 부유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6세부터 서당에 다녔고 13세에 서울로 올라왔다. 서울 수하동공립보통학교 3학...
-
조선 말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죽산박씨 시조 충정공 박기오(朴奇悟)의 12세손인 박철정(朴鐵貞)이 연산군 때 부천에 거주하게 되어 후손들이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과 송내동·범박동에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 본관은 죽산(竹山). 아버지는 박윤기이다. 아들은 박주순(朴周淳)[1841~1928]으로 문묘직원(文廟直員)을 지냈다. 1902년(광무 6) 61세의 나이로 정3품인 통정대부...
-
부천 지역에 소사희망원을 세운 미국 소설가. 펄벅은 2차 세계대전 때 미국의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 미국전략사무국)에서 중국 담당으로 들어오며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한국전쟁 후에 한국의 수난사를 그린 소설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1963년)와 한국의 혼혈아를 소재로 한 소설 「새해」(1968년)를 썼다. 1965년 다문화아동 복지기관인 펄...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치언(稚言). 아버지는 박희혁(朴希赫)이다. 박창우는 1773년(영조 49) 태어났으며, 1804년(순조 4) 실시된 식년시에서 진사 2등 29인으로 합격하였다....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거경(巨卿), 호는 잠조당(潛照堂). 고령 박씨의 시조인 박언성(朴彦成)의 13세손이며, 경기도 평택군 안중면 수촌리에 집성촌을 형성했던 감사공파(監司公派)의 중시조 박광우(朴光佑)의 3세손이다. 할아버지는 태종 대에 사간원정언과 사헌부지평을 지낸 박미생(朴美生)이며, 아버지는 1445년(세종 27) 성균관전적을 지낸...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박처륜의 묘. 박처륜(朴處欄)의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거경(巨卿)이다.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박사란(朴思欄)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군수(郡守) 유한(柳閑)의 딸인 부평유씨(富平柳氏)이다. 1470년(성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에 들어가 검열(檢閱)이 되었고, 경연전경(經筵典經),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를 겸하면서 신숙주(申叔...
-
조선시대 부천 지역에 정착한 인물. 본관은 죽산(竹山). 박철정(朴鐵貞)은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역곡2동인 새를고개에 정착하여 생활하였다. 새를고개는 조마루에서 벌응절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사태가 잘 나는 고개라는 의미로 사태현(沙泰峴)이라 하였다. 새를고개라는 이름은 사래올마을이 생기면서 나타난 지명으로 사래올 또는 사래울을 줄여서 발음한 것으...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인물 박철정의 묘. 박철정(朴鐵貞)의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연산군 때 추국(推鞫)을 당하여 부평으로 낙향한 이후 죽산박씨(竹山朴氏) 입향조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부인은 숙인(淑人) 완산이씨(完山李氏)와 숙인(淑人) 고령신씨(高靈申氏)이다. 역곡중학교 뒤편의 죽산박씨 묘역에 있다. 묘는 2기로 1기는 박철정의 묘이고, 다른 1기는 부인 숙...
-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천부교(天父敎) 창시자. 어린 시절 덕천교회 주일학교를 거쳐, 남대문교회를 다니면서 신앙생활을 하던 중 부흥사 이성봉 목사의 집회에서 큰 은혜를 체험하게 된다. 그 후 1955년 1월부터 전국으로 부흥집회를 다니기 시작하였다. 1955년 한국예수교부흥협회를 창립하였고, 이후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로 개칭하였다가, 자신이 천부임을 선언하면서 한국천부교전도관부흥협...
-
조선 후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박호(朴壕)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성삼문(成三問)의 외손인 중보(仲保)박호와 동명이인이다. 부천시 삼정동의 박노송·박노섭가의 소장 유물로 박호(朴壕)가 패용했던 호패(號牌)가 전해 온다. 전면에는 중앙에 박호(朴壕)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에 ‘부평’, 하단에 ‘임오유학(壬午幼學)’이라고 적혀 있다. 후면에는 ‘병오 오정면 약대리...
-
조선 중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밀양(密陽). 밀양박씨 중시조 규정공(糾正公) 박현(朴鉉)의 13세손으로, 박승수(朴承燧)의 고손이며, 진사(進士) 박규(朴葵)의 증손이다. 아버지는 박일현(朴逸賢)이다. 박희는 조선 중기 경기도 부천에 살았다. 저서로 『사오당유고(四吾堂遺稿)』가 전한다....
-
박응주를 시조로 하고 박사온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부천시의 세거 성씨. 반남박씨는 도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후손인 박응주를 시조로 한다. 박응주는 고려 고종 때 반남현[현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의 호장(戶長)을 지냈다. 반남박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15명, 왕비 2명, 재상 7명, 대제학 2명, 호당 5명, 청백리 1명, 공신 6명, 장신(장군) 3명 등 숱한 인물을...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신도시가 되면서 새로이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중 하나이다. 반달마을은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선경아파트, 삼익아파트, 동아아파트, 건영아파트, 신라아파트, 극동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송내역 인근에 있으며 한아름사거리에서부터 서촌사거리까지 걸쳐 있...
-
경기도 부천시에서 생산되는 각종 전자 제품의 핵심 부품. 원래 칩은 얇은 판 조각을 가리키는 말이나 현재는 반도체 회로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며, 가로 세로 1㎝ 내외의 얇은 실리콘웨이퍼 위에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소자를 집적하여 만든다. 반도체칩은 컴퓨터 및 모든 전자 제품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으로 산술 연산, 정보 기억, 다른 칩의 제어 등을 수행한다. 반도체칩은...
-
“내가 좀 극성맞어서, 소사 복숭아 물건 떼러 구로동에서 80번 버스타고 다녔어요.” “내 성격이 좀 극성맞어요. 하하.” 입심이 좋고 몸매가 호리호리한 백옥자 할머니(76세)는 젊었을 때부터 구로동에서 과일장사를 하시다가 부천에 터를 잡은 지 이십여 년이 되었다고 하신다. 비록 부천의 토박이는 아니지만 전국에서도 유명했던 소사 복숭아를 구매하기 위해 직접 발품을 파셨다고 한다....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골짜기. 한자로는 율곡(栗谷)이라고 하는 밤골의 어원은 반골이다. ‘반’은 ‘벌어진’과 뜻이 같은 ‘발아진’의 모습을 나타낸 말이다. 반골이 방골이 되고, 다시 밤골이 된 것이다. 밤나무를 많이 심어 밤골이라는 지명으로 굳어버린 것이다. 밤골은 원미산 장대봉 자락과 장자봉 산자락이 맞물리는 곳으로 여월마을 바로 곁에 있어 여월 사람들이 산으로 나무를 하...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방송 기관들과 이들이 제공하는 일체의 영상과 정보. 방송은 전파를 이용하는 점에서는 다른 무선국과 같으나 대상이 불특정 다수이고, 목적이 매스 미디어의 일반적 기능인 보도·교육·오락 등의 제공에 있다는 점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무선 통신이 방송의 하나의 특성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기존 방송의 확산을 위한 유선 방송도 내용이 같을 때에는 역시 방송이라 부른다....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에서 논매기 때 부르는 노동요. 「방아 타령」은 후렴구가 ‘방아’로 된 소리를 뜻하며, 논매는 소리의 하위 유형 중 하나인 방아소리의 각 편에 해당한다. 논매는 소리에는 방아소리 유형, 상사소리 유형, 에헤야 유형, 단허리 유형, 메나리 유형 등이 하위 유형을 이룬다. 「방아 타령」의 선창 소리 가사는 중국의 풍경 따위를 읊은 한시 구절이나 자연을 노래한 세련된...
-
경기도 부천시에서 사용하는 특유한 단어·어휘나 언어적 현상. 언어학에서 방언은 한 언어가 외적인 변화와 내적인 변화에 의하여 지역적, 계층적으로 분화된 언어를 총칭하는 말이다. 전자를 지역방언, 후자를 사회방언 또는 계층방언이라고 하는데, 흔히 좁은 의미로 방언이라고 할 경우에는 지역방언을 가리킨다. 부천의 방언은 중부방언으로 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강원도·황해도 대부분 지역이...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서 밖오쇠리마을로 연결되어 있던 둑. 『조선지지자료』에도 대장리에 속하는 방오리보라는 지명이 나온다. 방오리보(方五里洑)는 지금의 대장동 큰말에서 오쇠동 앞들로 연결된 둑이다. 둑의 길이가 오리(五里)쯤 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1890년경 지금의 대장동 지역에 물길을 대기 위하여 만들었으며, 둑길은 부평도호부에서 한다리를 거쳐 서울로 가는 마찻길로 이용...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과 춘의동에 걸쳐 있는 산. 조선지지자료에 상오정면 도당리에 속하는 매봉재산으로 되어 있다. 성이 있던 마을의 이름을 따서 매봉재라 하였다. 매봉재란 매봉에 재를 덧붙인 것으로 ‘재’는 높은 산의 고개를 나타내므로 ‘현(峴)·령(嶺)·치(峙)’ 등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재를 ‘산’으로 해석하여 ‘매봉’을 ‘빙 둘러싸인 산’의 의미로 소개했다. 그러나 고대어에서부...
-
“서리한 것을 가지고 어디 가서 파는 것도 아니고. 그래서 도둑질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어.” 옛날 경인선을 달려온 열차가 소사역에 들어서면 차창 밖에서는 으레 행상들이 알이 굵고 먹음직한 복숭아가 가득 담긴 바구니를 치켜들며 큰 소리로 ‘복숭아 사려’를 외쳤다. 입안에 가득 고여 오는 상쾌한 단맛, 부드러운 육질이 주는 미각의 유혹을 못 이겨 승객들은 너도나도 복숭아를 샀고, 그렇...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서 느티나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배못탱이 설화」는 옛날 소사본동의 동구 밖에 있던 느티나무에 뗏목을 매었다고 하여 ‘배못탱이’라 불렀다는 지명 유래담이며, 소사동 마을이 생겨났다는 마을 배경담이다. 1988년 당시 72세인 성기열 전 인하대 국어교육과 교수가 제보하여 『부천시사』에 수록된 것이다. 2001년 부천문화원에서 간행한 『부천의 땅이...
-
경기도 부천시에서 수돗물을 여러 지역에 나누어 보내 주기 위해 만든 시설. 부천시의 배수지는 정화 과정을 거쳐 깨끗해진 물이 가정에 공급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거치는 연못을 말한다. 급수량을 조절하면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소사제1배수지, 소사제2배수지, 역곡배수지, 범박배수지, 송내배수지, 심곡배수지, 도당배수지 등 7곳이 있다. 소사제1배수지는 소사동 297...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백경(伯敬). 호조판서를 역임한 한준(韓準)의 현손이며, 사복정(司僕正)에 추증된 한수(韓穗)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된 한오규(韓五奎)이며, 아버지는 가선대부 이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및 오위도총부부총관에 추증된 한숙(韓塾)이며, 처는 공인(恭人) 무송윤씨(茂松尹氏)이다. 한덕흠은 1687년(숙종 13...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 도당공원 내에 있는 테마 공원. 백만송이장미원은 낙후되어 우범 지대로 전락한 도당산 인근을 주민의 휴식처로 꾸미기 위하여 부천시에서 1998년부터 150,000여 그루의 장미나무를 식재하기 시작하면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장미나무 한 그루당 7~10송이의 장미꽃이 핀다고 할 때 최소 1,000,000송이의 꽃을 볼 수 있는데, 백만송이장미원이라고 이름 붙...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 도당공원 내에 있는 테마 공원. 백만송이장미원은 낙후되어 우범 지대로 전락한 도당산 인근을 주민의 휴식처로 꾸미기 위하여 부천시에서 1998년부터 150,000여 그루의 장미나무를 식재하기 시작하면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장미나무 한 그루당 7~10송이의 장미꽃이 핀다고 할 때 최소 1,000,000송이의 꽃을 볼 수 있는데, 백만송이장미원이라고 이름 붙...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여흥. 자는 백선(伯善). 아버지는 통덕랑 민희세(閔熙世)이며, 동생은 민종협(閔種恊), 민종각(閔種恪)이다. 민종성은 1819년(순조 19) 실시된 식년시에서 생원 88명 중 3등으로 합격하였다. 합격 당시 직역이 유학이었다....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2002년 3월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LG상록아파트, LG SK아파트, 풍림아이원아파트, 동남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마을이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부천 지역 구간의 하부 공간 2만여 평에 시민들을 위한...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백심(伯心). 아버지는 강수일(姜守一)이다. 강성은 1761년(영조 37)에 부천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1819년(순조 19) 실시된 식년시(式年試)에서 진사 3등 97인으로 합격하였다....
-
삼국시대 부천 지역을 관할한 고대 국가. 기원전 18년에 건국하여 660년 신라에 멸망한 고대 국가로, 삼한의 하나인 마한 세력을 기반으로 한강 유역에서 성장하여 한반도 중부와 서남부 지역까지 세력을 떨쳤다. 부여족 계통의 세력인 온조(溫祚) 집단에 의해 건국되어 북으로 고구려, 동으로 신라와 대립하였다. 백제는 4세기 중엽 근초고왕 때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되면서 활발한 영토 전쟁...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백중은 농민들이 봄에 씨앗을 뿌리고 가을 추수를 하기 전에 잠시 허리를 펴며 쉴 수 있는 날이다. 주로 농사를 지었던 부천 지역에서는 일의 고됨을 위로하고 이웃 사이의 친목 도모를 위해 백중 행사가 거행되었다. 논에 김을 맬 때도 농악대를 만들어 두레를 논다. 백중은 백중일(百中日)이다. 다른 말로는 백종일(百種日)이라...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백중은 농민들이 봄에 씨앗을 뿌리고 가을 추수를 하기 전에 잠시 허리를 펴며 쉴 수 있는 날이다. 주로 농사를 지었던 부천 지역에서는 일의 고됨을 위로하고 이웃 사이의 친목 도모를 위해 백중 행사가 거행되었다. 논에 김을 맬 때도 농악대를 만들어 두레를 논다. 백중은 백중일(百中日)이다. 다른 말로는 백종일(百種日)이라...
-
농기고두마리는 1800년대 초부터 1910년대까지 옛 부평군 석천면, 현재의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과 상동 및 중동 일대에서 이어온 민속놀이다. 지명을 따서 석천농기고두마리라고도 한다. 논농사의 세벌매기를 마치고 7월 백중날에 행한 풍물이 어우러진 놀이로서 특히 조선 철종 때 성행했던 것으로 전한다. 이 지역 촌로들에 따르면, 초창기의 농기고두마리는 인근 마을 중에서 농기를 먼저 만...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첨(伯瞻). 아버지는 이인도찰방을 지낸 정후주(鄭後周)이다. 형제로는 동생 정진숭(鄭震嵩)·정진화(鄭震華)·정진항(鄭震恒)이 있다. 정진태(鄭震泰)는 부천의 옛 지역인 부천도호부에서 1666년(현종 7)에 태어났다. 1713년(숙종 39)에 실시된 증광시 진사과에서 병과 44위로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
-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소설가·언론인. 최은휴는 1931년 경상북도 대구에서 태어났다. 1950년 학도병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하였고, 1956년 부천군으로 이주하여 소사읍 구지리[현 송내동]에 정착하였다. 1964년 건국대학교 문리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고, 1966년 2월 인구 25,000여 명밖에 안 되는 소사읍에 있던 무지개다방에서 부천 최초의 시화전을 열었다. 이 때...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골짜기. 뱀골은 둔대골 옆 부천역곡초등학교 뒤쪽으로 나 있는 계곡의 하나이다. 둔대산 남쪽 기슭에는 여러 개의 골이 있는데, 뱀골은 북쪽 첫 번째에 있는 골짜기이다. 『부천사연구』에, 뱀이 많이 나와서 뱀골이라는 명칭이 붙었다고 쓰여 있다. 또한 뱀처럼 구불구불하게 이어져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해서 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뱀골의 어원은 골짜기를...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들. 뱀골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로 농사를 짓던 들을 가리킨다. 조선지지자료는 벌응절리에 속하는 사곡평(蛇谷坪)으로 나와 있다. 뱀골들이라는 뜻이다. 예전에는 뱀골의 수량이 아주 풍부했다고 한다. 뱀골에서 흘러 내려온 물은 감배산 아래에서 세제골·둔대골 물과 합류하였다. 더 아래쪽으로는 멀미 미골에서 내려온 물과 할미산 연아봉의 갓골과 그개골에서 흘러 내...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는 들. 번개들은 『조선지지자료』에 대장리에 속하는 전야(電野)로 되어 있고 ‘번개뜰’이라고 해놓았다.번개들의 번은 ‘벌어진’의 뜻이며, 개는 포구의 우리말이다. 우리말 번개가 한자로 표기되면서 ‘전(電)’이 된 것이다. 즉 포구를 막아 둑을 만들고 들을 만들어서 들을 넓혔다는 뜻의 번개들이 된 것이다. 번개들은 대장 큰말에서 섬말 앞에 새보둑을 만들면서...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지지자료』에는 옥산면에 속하는 벌응절리(伐應節里)로 표기되어 있다. 한자대로 풀이를 하면 ‘치고 응하는 마을’, 즉 싸움에 대응해서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벌응절리 뒷산을 둔대라고 하는 데, 이 둔대를 군대가 주둔한 곳이라고 해석을 해서 군대가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벌응절리에서 ‘벌(伐)’은 개간되지...
-
경기도 부천시 심곡1동에 있던 들. 벌막은 『조선지지자료』에 옥천면 심곡리에 속하는 만석평(萬石坪)으로 기록된 곳으로 만석이들이라고 했다. 만석이들에서 ‘만(萬)’은 말[馬]에서 ‘ㄹ’이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돌을 뜻하는 ‘석(石)’은 ‘돌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또한 산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실제 홍천이 휘감고 내려가는 곳에 벌막이 있었던 것을 보면 ‘돌다’의 의미가 있는 것으...
-
경기도 부천시 중2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는 전체 면적의 52.9%가 녹지대이지만 대부분의 녹지가 도시의 확산 방지 및 완충 기능을 하여 시민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실제 도심 내에는 녹지 면적이 매우 부족하다. 또한 조성된 공원들이 노후화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에서 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시책으로 1994년 7월 30일...
-
경기도 부천시 심곡1동에 있던 들. 벌막은 『조선지지자료』에 옥천면 심곡리에 속하는 만석평(萬石坪)으로 기록된 곳으로 만석이들이라고 했다. 만석이들에서 ‘만(萬)’은 말[馬]에서 ‘ㄹ’이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돌을 뜻하는 ‘석(石)’은 ‘돌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또한 산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실제 홍천이 휘감고 내려가는 곳에 벌막이 있었던 것을 보면 ‘돌다’의 의미가 있는 것으...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지지자료』에는 옥산면에 속하는 벌응절리(伐應節里)로 표기되어 있다. 한자대로 풀이를 하면 ‘치고 응하는 마을’, 즉 싸움에 대응해서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벌응절리 뒷산을 둔대라고 하는 데, 이 둔대를 군대가 주둔한 곳이라고 해석을 해서 군대가 치고 응하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벌응절리에서 ‘벌(伐)’은 개간되지...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사래리에서 행하는 산신제. 춘덕산신제는 야간에 지냄에 따라 의례가 짜임새가 있고, 전통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사래리는 죽산박씨 집성촌이다. 춘덕산신제는 원래 역곡동의 옛 지명인 사래리 감배산, 곧 역골(驛谷)에서 사래울로 넘어가는 감배산 사래울고개에 있던 큰 소나무에서 지냈다. 그러나 삼신아파트 개발 때 신목(神木)이 사라져서, 그 후로는 삼신아파트 뒤편...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둔대골 산수약수터에서 발원하여 괴안동과 광명시를 거쳐 안양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 벌응천이라고도 하나, 이는 벌응절리에서 따온 것이므로 원래 이름인 용문내로 불러야 한다. 용문내의 용은 수신을 의미하는 용을 가리키고, 문은 물을 가리킨다. 오정의 사문, 사래이의 물문개라는 땅 이름에서 문이 공통적으로 쓰였는데 바로 물을 가리키는 말이다. 수신이 사는 하천이...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던 들. 벌판이라는 의미로 벌터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벌터는 일제강점기 이전까지만 해도 벌판이고 밭이었다. 일제강점기부터 이곳에 집을 짓기 시작해서 해방 후에는 10여 채가 되었다. 주로 살림이 어려운 사람들이 이곳에 허름한 초가집을 짓고 살았다. 할미산 중턱이어서 영신과 더불어 신앙촌에 있던 사람들이 모여든 것이다. 1970년대에 제작된 지도를 보...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과 시흥시 대야동 사이에 있는 산. 봉배산은 태양신에게 길흉화복을 묻기 위해 보내는 봉황이 살고 있는 산이라는 뜻으로, 봉배라는 명칭이 붙은 곳이면 자연스럽게 신령스런 산이라는 의미가 된다. 봉(鳳)은 삼한 시기 이전에는 신과 인간을 매개해 주는 중요한 영물이고, 배(倍)는 태양신을 의미하는 ‘’에서 나온 말이므로, 봉배산은 태양신에게 길흉화복을 묻기 위해...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산. 호랑바위산 또는 호암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범을 호랑이로 고친 것에 불과하다. 전국 땅이름 중에 범바위는 호랑이가 출몰해서 붙여진 이름보다는 틈이 벌어진 바위를 가리킨다고 해서 번바위의 뜻으로 쓰인 것이 일반적이다. 범바위는 번바위를 그 어원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그러므로 틈이 벌어진 바위라는 뜻으로 보인다. 범바위산을 토박이 말로 봉배...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기본 생활 습관의 정착, 인권 존중 의식 함양, 생명 존중 가치관 함양, 체험 활동 활성화, 나눔 봉사 활동 내실화를 통해 성실함을 배양하고, 학생 자치 문화를 창달하며 독서·논술 지도 교육으로 창의성 및 사고력을 강화하고,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신장하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이버 글로벌 학습 환경 조성을 통한 창조적 능력...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범박동성당이 있는 범박동은 신앙촌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1960년대 박태선 장로가 이곳에 신앙촌이라는 마을을 조성해 오만제단(五萬祭壇)이라는 교회를 설립하고 천부교 교주로 활동하였다. 박태선이 죽은 후 신앙촌은 쇠락해 갔으며, 2001년 부천시의 재개발사업에 의해 현재는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되었다. 범박동이 재개발됨에...
-
1998년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재룡이 범박동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이미 복잡한 도시로 변해 버린 부천 지역임에도 아직 시골풍이 남아 있는 범박동의 정취를 담아내고 있는 시이다. 4연 22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갑자기 맞닥뜨리는 낯선 시골이지만 행정구역상으로 엄연히 부천시, 범씨와 박씨들의 옛 고향 별 생각 없이 신앙촌 달동네로 알았던 그 곳엔 가난하지만 인정...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이 바른 도덕적인 어린이, 슬기롭게 공부하며 창의적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책임을 다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로우며 튼튼하게’이다. 1983년 11월 30일 범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6년 9월 1일 14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유성준이 취...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소속 석왕사의 신도 단체. 법륜회는 1991년 12월 부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개인택시 운전 기사 불자 88명이 중심이 되어 자비와 평등을 실천하는 움직이는 법당을 표방하며, 불교 포교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법륜회에서는 1992년부터 현재까지 장애인의 날 행사 진행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일 학생 무임 수송, 석왕사 행사 관...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신도시가 되면서 새로이 형성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2002년 4월 28일부터 입주가 시작된 세종그랑시아아파트 단지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마을 주변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와 인천시 사이에 위치한 완충 녹지 지역으로서 자연 녹지 지역으로 지정되어 토...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클래식 음악 단체. 아마추어 음악인을 육성하고 일반인들의 음악 활동 지원 및 음악 콩쿠르를 통한 영재 발굴 육성과 음악을 통한 봉사 활동을 통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2003년 1월 사단법인 베누스토음악인연합회의 경인지부로 창단되었다. 베누스토음악인연합회 경인지부에서는 창단한 해인 2003년 8월 10일 부천혜림원을 찾아가 봉사연주회를...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클래식 음악 단체. 아마추어 음악인을 육성하고 일반인들의 음악 활동 지원 및 음악 콩쿠르를 통한 영재 발굴 육성과 음악을 통한 봉사 활동을 통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2003년 1월 사단법인 베누스토음악인연합회의 경인지부로 창단되었다. 베누스토음악인연합회 경인지부에서는 창단한 해인 2003년 8월 10일 부천혜림원을 찾아가 봉사연주회를...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 멀미산 칠일약수터에서 발원하여 성곡동, 원종동, 오정동으로 흘러드는 하천. 『조선지지자료』에는 하오정면 여월리에 속하는 별인천으로 별인내로 표기되어 있다. 베르네의 명칭은 베르네·비린내·비리내 등으로 불린다. 내[川]는 하천을 의미하고, 별·베리·비린·비리는 어원적으로 벼랑을 의미한다. 원래, 벼랑·낭떠러지를 베락·벼락·별·벼루·비루·베리·비리 등으로 썼다....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 멀미산 칠일약수터에서 발원하여 성곡동, 원종동, 오정동으로 흘러드는 하천. 『조선지지자료』에는 하오정면 여월리에 속하는 별인천으로 별인내로 표기되어 있다. 베르네의 명칭은 베르네·비린내·비리내 등으로 불린다. 내[川]는 하천을 의미하고, 별·베리·비린·비리는 어원적으로 벼랑을 의미한다. 원래, 벼랑·낭떠러지를 베락·벼락·별·벼루·비루·베리·비리 등으로 썼다....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화상 전문 병원. 베스티안부천병원은 치료 시설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는 화상 환자의 치료와 재활 및 성형을 통한 통합 치료 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 화상 환자 치료를 체계화하며, 신기술을 연구하여 고통받는 환자에게 희망을 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11월 의료법인 베스티안병원의 부천분원으로 개원하였다. 2005년 1월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과 가톨릭...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화상 전문 병원. 베스티안부천병원은 치료 시설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는 화상 환자의 치료와 재활 및 성형을 통한 통합 치료 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 화상 환자 치료를 체계화하며, 신기술을 연구하여 고통받는 환자에게 희망을 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11월 의료법인 베스티안병원의 부천분원으로 개원하였다. 2005년 1월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과 가톨릭...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여성 노동요. 「베틀노래」는 「베틀가」라고도 하는데, 전승 분포가 넓다. 현전하는 노래의 자료는 약 40수로, 그 중에서 부천 지역에서 전승·채록된 노래 자료는 1수이다. 여성 노동요 중에는 직조에 관한 노래가 많다. 직조 작업은 역사상 여성의 주요 노동 행위였으며 여성의 일과 중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베틀...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과 춘의동·소사동·역곡동 사이에 있는 산. 원미산은 멀미산으로, 멀미의 ‘멀’은 머리에서 나온 것이다. 머리는 ‘’에서 나온 말로 ‘꼭대기·마루’를 뜻하며, ‘크다·신성하다·존엄하다’의 뜻도 가지고 있다. ‘미’는 산의 고유어로 ‘미·메·뫼’ 등이 쓰였다. 그러므로 멀미산은 아주 ‘신성한 큰 산’이라는 뜻이다. 이는 역전앞처럼 동의어 반복으로 별다른 의미가...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국맥(國脉), 호는 정우공(正宇公). 밀양변씨 15세손이다. 부인은 의인(宜人) 청산김씨(靑山金氏) 김치제(金致齊)의 딸, 의인 고성이씨(固城李氏) 이수(李陲)의 딸이다. 아들은 합천군수를 지내고 좌통례(左通禮)에 추증된 변응몽[1519~?]이다. 아버지는 절도사와 공조판서, 순변사 등을 지냈고, 공장(恭莊)이란 시호를...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변강지의 묘. 변강지(卞綱之)의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국맥(國脈), 호는 정우공(正宇公)이다. 『밀양변씨대동보』에 의하면 1480년(성종 11)에 시행된 경자사마시(庚子司馬試)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역임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부인은 의인(宜人) 청산김씨(靑山金氏), 의인(宜人) 고성이씨(固城李氏)이다. 『성종실록(...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변고적(卞高迪)을 시조로 하는 밀양변씨가 부천 지역에 정착한 것은 조선 초기 변예생(卞禮生)[?~1444] 때부터이다. 변예생은 밀양변씨 시조의 13세손으로 우군사정(右軍司正)을 거쳐 사후에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다. 밀양변씨는 부천에 들어온 이후 550여 년간 흑량리(黑梁里)[현 부천시 고강동]를 중심으로 살고 있다. 본관은 밀양(密陽)...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변건원의 묘. 변건원(卞乾元)의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대재(大哉)이다. 변삼근의 아버지로, 부인은 의인(宜人) 순천김씨(順天金氏)이다. 묘비에 의하면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參贊)에 증직되었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의 고리울 가로공원이 조성된 밀양변씨 묘역에 있다. 변건원 묘는 부인 순천김씨와의 쌍분으로, 묘역에는 묘비 1기, 상석 1기...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광해군 대부터 인조 대까지 춘추관 기사관, 형조좌랑, 형조참판 등을 지낸 변삼근(卞三近)[1579~1648]이다. 변극찬은 현종 대부터 숙종 대까지 활동한 문신으로,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산63-7에 있으며, 근래에 조성된 묘비·상석·망주석 등의 석물이 있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변극찬의 묘. 변극찬(卞克纘)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변삼근의 아들로,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밀양변씨대동보』에 생부(生父)가 변삼달(卞三達)로 기록되어 있어 변삼근의 양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의 고리울 가로공원이 조성된 밀양변씨 묘역에 있다. 석물들은 모두 최근에 조성된 것들로 묘비 1기, 상석 1기, 망주석...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할아버지는 변희전(卞希詮)이고, 아버지는 주부(主簿) 변건원(卞乾元)이며, 어머니는 김침(金琛)의 딸 순천김씨이다. 변삼근은 1611년(광해군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종사랑(從仕郞), 통사랑(通仕郞), 무공랑(務功郞), 선무랑(宣務郞), 승훈랑(承訓郞) 등을 거쳤으며, 1613년(광해군 5) 12월 오위도총...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변삼근의 묘. 변삼근(卞三近)의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성지(誠之), 호는 오정(梧亭)이다. 1611년(광해군 3)에 별시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1614년(광해군 6)에 주서(注書)가 된 후 사관(史官)으로 활동했고, 1618년에는 경기도도사(京畿道都事)가 되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626년(인조 4)에는 부사...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군방(君邦). 아버지는 변동필(卞東弼)이고, 형은 변세유(卞世裕)이며, 동생은 변세범(卞世範)이다. 변세언은 1694년(숙종 20) 태어났으며, 1723년(경종 3) 실시된 식년시에서 진사 3등 70인으로 합격하였다....
-
일제강점기 활동한 부천 지역 출신의 법률가. 중국 북송시대 문장가이며 정치가였던 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蘇轍) 삼부자를 일컬어 삼소(三蘇)라고 했는데, 변영만(卞榮晩)[1889~1954]·변영태(卞榮泰)·변영로(卞榮魯) 삼형제도 그와 비견되는 천재성을 가진 명문장이란 의미에서 ‘한국의 3소(三蘇)·변씨삼절(卞氏三絶)·삼변(三卞)’으로 불렸다. 국어학자인 이희승은 이들 삼형제...
-
일제강점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학가. 변영로는 공장공(恭莊公) 변종인(卞宗仁)의 후손으로 1898년 5월 9일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서 중추원부참의를 지낸 아버지 변정상(卞鼎相)과 어머니 강재경(姜在卿) 사이에서 3남 4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한국의 삼소(三蘇)’·‘변씨삼절(卞氏三絶)’로 불린 변영만·변영태가 형들이다. 태어난 곳은 서울이지만 부천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면...
-
경기도 부천시 중동 부천시청 대강당에서 수주 변영로를 기리기 위해 매년 10월 열리는 문학 축제. 수주문학제는 탁월한 시적 언어로 조선 민족의 자존을 지켜냈던 수주 변영로[1897~1961]의 문학세계를 집중 조명하는 기념문학제이다. 사단법인 한국작가회의 경기도지회 부천지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복사골문학회, 부천예술포럼이 후원하고 있다. 경기도 부천에서 태어나 작고 후...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의 변영로 생가에 세운 기념표석. 변영로(卞榮魯)[1897~1961]는 변정상(卞鼎相)과 강재경(姜在卿) 사이에서 3남으로 태어났다. 호는 수주(樹州)이다.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 정국에 이르는 험난한 시대를 살면서 「논개」·「고향」·「조선의 마음」 등 많은 시를 남겼다. 1997년 7월 10일 한국문인협회는 ‘문화유산의 해’를 맞이하여 SBS문화재단의 후원을 받...
-
일제강점기 활동한 부천 지역 출신의 법률가. 중국 북송시대 문장가이며 정치가였던 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蘇轍) 삼부자를 일컬어 삼소(三蘇)라고 했는데, 변영만(卞榮晩)[1889~1954]·변영태(卞榮泰)·변영로(卞榮魯) 삼형제도 그와 비견되는 천재성을 가진 명문장이란 의미에서 ‘한국의 3소(三蘇)·변씨삼절(卞氏三絶)·삼변(三卞)’으로 불렸다. 국어학자인 이희승은 이들 삼형제...
-
일제강점기 활동한 부천 지역 출신의 정치인이자 영문학자.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호는 일석(逸石)이다. 아버지 변정상(卞鼎相)과 어머니 진주강씨(晉州姜氏) 사이의 3남 4녀 중 다섯째로, 형은 변영만이고 동생은 변영로이다. 4세 때부터 재동소학교(齋洞小學校)에 입학하여 천자문을 배웠고, 12세에 부인 채씨와 혼인하였다. 부인 채씨가 51세로 사망하여, 이영민과 재혼하였고, 자녀는...
-
조선 전기 부천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밀양(密陽). 변고적(卞高迪)의 13세손이다. 아내는 배천조씨(白川趙氏)이며, 아들은 공조판서를 지낸 변종인(卞宗仁)이다. 변예생은 우군사정(右軍司正)을 지냈으며,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정착하여 생활하였다. 세종 때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다....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 고조부는 영안남도절도사와 공조판서·순변사 등을 지내고 공장(恭莊)이란 시호를 받은 변종인(卞宗仁)[1433~1500]이다. 증조부는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여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와 종사랑(從仕郞)을 지낸 변강지(卞綱之)[?~1493], 조부는 합천군수를 지내고 좌통례(左通禮)에 추증된 변응몽(卞應夢)[1519~?], 아버지는 주부(...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변응몽의 묘. 변응몽(卞應夢)의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서옹(瑞翁)이다. 합천군수를 지냈다. 『밀양변씨대동보』의 ‘증좌통례(贈左通禮)’라는 기록으로 보아 변응몽은 궁중의 의식과 관련된 일을 맡아 보던 통례원(通禮院)의 정3품 벼슬을 증직받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부인은 숙인(淑人) 완산이씨(完山李氏), 숙인 광주안씨(廣州安氏)이다...
-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 활동한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1861년(철종 12)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아버지는 변해영(卞海永)이다. 1889년(고종 26)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1894년 교섭통상사무아문주사, 1895년 외무주사에 임명되었다. 1896년에는 고흥군수로 임명되지만 아버지의 병환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이후 18...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근대 개항기의 관료 변정상의 묘. 변정상[1861~1935]의 본관은 밀양으로, 변해준(卞海準)의 양자이며 생부는 변해영(卞海永)이다. 부인은 진주강씨이다. ‘부평삼변’이라 불리는 변명만(卞榮晩), 변영태(卞榮泰), 변영로(卞榮魯)의 부친이다. 과거에 합격한 후 흥양군수·강령군수·경흥감리겸부윤 등을 역임하였고, 중추원부참의에 이르렀으나 일제강점기 직전...
-
조선 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원(子元). 밀양변씨 시조 변고적(卞高迪)의 14세손으로 고조부는 변중량(卞仲良), 증조부는 지풍주사를 지낸 변길상(卞吉祥), 할아버지는 판사헌감사를 지낸 변을명(卞乙明), 아버지는 우군사정을 지낸 변예생(卞禮生)이다. 산음현감 안진손(安震孫)의 딸 이천안씨(利川安氏)와의 사이에 변강지(卞綱之)·변기지(卞紀之)·변유지...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공장공(恭莊公) 변종인의 묘. 변종인(卞宗仁)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원(子元)이다. 아버지는 변예생(卞禮生)이고, 어머니는 배천조씨(白川趙氏)이다. 1460년(세조 6) 무과에 급제하였고, 1467년(세조 13)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워 당상관이 되었다. 1473년(성종 4)...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공장공(恭莊公) 변종인의 신도비. 구전에 의하면, 변종인신도비(卞宗仁神道碑)는 원래 다른 곳에 세워졌는데, 변종인 신도비가 세워진 직후부터 인근 지역에 화재가 빈발하여 많은 손해를 초래하여, 주민들의 공론으로 변종인 신도비를 옮기자 화재가 진정되었다고 한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으로 약 500m 떨어진 밀양변씨 묘역에 있는 변종인 묘에서...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신초(藎初). 아버지는 변희겸(卞希謙)이고, 동생은 변제원(卞悌元)이다. 변충원(卞忠元)은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568년(선조 1)에 태어났다. 1603년(선조 36) 실시된 식년시 생원과에서 을과 22위로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변충원의 묘. 변충원(卞忠元)의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개초(蓋初)로, 김포현령을 지냈다. 부인은 숙인(淑人) 순흥안씨(順興安氏)이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의 고리울 가로공원이 조성된 밀양변씨 묘역에 위치한다. 묘는 쌍분으로 각각 호석을 두르고 있다. 묘역에는 비석 1기, 상석 1기, 문인석 2기, 망주석 2기, 혼유석 1기, 향로...
-
조선 후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양아버지는 변익용(卞翼鏞)이고, 친아버지는 변국용(卞國鏞)이다. 시인인 수주(樹州) 변영로(卞榮魯)의 할아버지이다. 종9품 장사랑(將仕郞)의 품직을 받았으며 1885년(고종 22)에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에 임명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인물 변해준의 묘. 변해준(卞海準)의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생부는 종9품 장사랑을 지낸 변국용(卞國鏞)이나 변익용(卞翼鏞)의 양자로 들어갔다. 부인은 안동김씨(安東金氏)와 순천김씨(順天金氏)이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의 고리울 가로공원이 조성된 밀양변씨 묘역에 위치한다. 안동김씨, 순천김씨와의 합장묘로 묘비·상석·향로석이 갖추어져 있다. 묘...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유생.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익지(益之). 고조부는 밀양변씨의 부천 입향조로 우군사정을 지내고 이조참판에 추증된 변예생(卞禮生)[?~1444]이다. 증조부는 공조판서와 지중추부사를 지낸 공장공(恭莊公) 변종인(卞宗仁)[1433~1500], 조부는 정언을 지낸 변강지(卞綱之)[?~1493], 부친은 합천군수를 지낸 변응몽(卞應夢)[1519~?]이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인물 변희겸의 묘. 변희겸(卞希兼)은 자가 익지(益之)라는 사실만 확인될 뿐 생몰 연대, 행적 등 일생을 살펴볼 수 있는 다른 근거가 남아 있지 않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의 고리울 가로공원이 조성된 밀양변씨 묘역에 위치한다. 변희겸 묘의 상석은 가로 153.5㎝, 세로 91㎝, 두께 24㎝이고, 금관조복 차림의 문인석은 세련되게 묘사되어 있으며...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합천군수를 지낸 변응몽(卞應夢)이며,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박응인(朴應寅)이 사위이다. 변희눌은 찰방(察訪)을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물 변희눌의 묘. 변희눌(卞希訥)은 본관이 밀양(密陽)이고, 자는 이민(而敏)이라는 것 외에는 알려진 정보가 없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의 고리울 가로공원이 조성된 밀양변씨 묘역에 위치한다. 부인 풍양조씨와의 부부 합장묘로, 호석을 두르지 않고 상석과 문인석을 앞에 두었다. 문인석은 인접한 변희전 묘를 함께 지키고 있다. 묘비는 근래 새로 건립...
-
조선 중기 부천 지역 출신의 무인.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합천군수를 지낸 변응몽(卞應夢)이다. 변희전(卞希詮)은 부천의 옛 지역인 부평도호부에서 1591년(선조 24)에 태어났다. 1625년(인조 3)에 무과에 급제하여 내외 관직을 두루 거쳤다. 1659년(효종 10)에 별세하였다. 사후에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다....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 변희전의 묘. 변희전(卞希詮)의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공택(公擇)이다. 1625년(인조 3) 무과(武科)를 거쳐 입사하였고,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추증되었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의 고리울 가로공원이 조성된 밀양변씨 묘역에 위치한다. 묘는 1단으로 조성되어 있고, 비석, 상석, 향로석이 갖추어져 있다. 인접한 변희눌 묘와...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던 산. 일설에는 떡시루를 엎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의 산이라는 데서 시루뫼가 유래되었다고 한다. 시루뫼는 『조선지지자료』에 한자로 병산(甁山)으로 표기해 놓고 시루뫼라고 하였다. 산이 떡을 찌는 시루를 의미하려면 증산(甑山)이어야 하는 데 병산(甁山)으로 되어 있다. 시루의 옛말은 시르인데, 어휘의 변천에서 시르가 시루로 변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시루뫼...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환자를 치료하고 질병의 예방과 재활(再活)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부천시는 중동 신도시 형성으로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전국 대비 병상 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전문 의료 인력 및 의료 장비가 갖추어져 있지 않아 의료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이런 이유로 불편을 무릅쓰고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의료 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천...
-
조선 후기 프랑스가 조선의 문호를 개방시키고자 침범함으로써 경기도 부천 지역까지 영향을 미친 사건. 병인양요 등으로 서양과의 접촉이 잦아지자 대원군은 일선 방어를 위해 부천·강화·인천·김포·통진·남양 등 연해 지역에 요새를 세우고 정예 포수를 모집해 주둔하게 하였다. 1866년(고종 3) 1월 초 대원군은 쇄국양이 정책의 하나로 천주교 금압령을 내리고, 9명의 프랑스 신부와 수천...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주상 복합 아파트. 2002년 11월 보강건설에서 지은 주상 복합 아파트인 보강센트럴빌 1차는 13층 건물 1개 동으로 모두 72세대가 살고 있다. 세대 당 공급 면적은 89.26㎡, 현관 구조는 계단식, 난방 방식은 개별 난방, 연료는 도시가스이며 72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1호선 부천역에서 도보로 5분거리에 있다. 생활 편의 시설로 이마트·...
-
경기도 부천시에서 주민들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나 의료 기관 등이 행하는 활동. 보건 의료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건 의료 기관 또는 보건 의료인 등이 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협의의 보건 의료는 질병 진단과 치료를 다루는 과학과 기술로서, 환자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질병 치료의 실천 및 그 체계를 의미한다. 광의로는...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 있는 퓨터 제조업체. 퓨터(Pewter)란 납이나 안티몬(Antimon) 따위가 함유되어 있는 주석 합금을 말한다. 고급 퓨터는 92%의 이상의 주석을 포함해야 한다. 퓨터로 주로 주방용품, 미니어처, 장식품, 모형물 같은 일상 용품을 만든다. 주석 합금인 퓨터를 이용하여 일상 용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보광퓨터는 1989년 3월 29일 설립 인...
-
경기도 부천시의 새로 지정된 매과에 속한 새. 매과에 속하는 새는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전 세계에 61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매류 6종이 기록되어 있다. 보라매는 난 지 1년이 안 된 새끼를 잡아 길들여서 사냥에 쓰는 매를 가리킨다. 남색과 자주색이 합쳐진 보랏빛 몸 빛깔이 청색으로도 보이기 때문에 청매라고 부르기도 한다. 약진, 비상, 날렵함, 세련, 치밀, 완벽, 목표...
-
경기도 부천시에서 전국연극제 예선대회를 겸하여 1998년부터 매년 12월 열리는 지역 연극제. 1990년대 후반으로 들어서며 부천 지역의 연극 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전국연극제에 참가할 극단을 선발하기 위한 예선대회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한국연극협회 부천지부에서 1998년 12월 24일 전국연극제 부천시 예선대회를 겸하는 제1회 송년연극제를 개최하게 되었다. 제1회 송년연극...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소속의 사찰. 1983년 비구 의성에 의해 역곡포교원이 건립되었다. 이후 2000년에 3대 주지 승려 동조가 사찰의 위치를 옮겨 중건 불사를 하면서 보륜사로 사명을 바꾸었다. 포교 활동 외에도 보륜 어린이집을 운영 중에 있다. 종교색을 드러내지 않으며 어린이들의 정서 함양 및 지식 습득에 노력하고 있다. 이외에도 사찰 건...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 승려 일운이 인천시 부평구 삼릉에 있는 호명사에서 승려 생활을 하다 부천시 심곡동 일반 건물 3층에 포교당을 개설하여 보리정사라 하였다. 이후 1987년 현재의 자리에 사찰 건물을 지어 이전하였다. 창건자인 주지 일운이 2008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사찰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소속의 사찰. 1982년 승려 정현이 개인적인 수행을 목적으로 ‘보선암’이라 이름 짓고 건립한 뒤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포교 활동에 힘쓰고 있으며, 불교계의 가장 큰 행사라 할 수 있는 부천시불교연합회 주최의 ‘부처님 오신 날 행사’에 참가하고 있다....
-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소속의 사찰. 성주산 자락에 조그만 암자를 지어 수행하던 승려 혜천이 1978년 지금의 자리에 한옥을 지어 보성암이라 이름 지었다. 그 후 혜천의 상좌 범정이 주지직을 물려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보성암 신도회 활동 등 포교 활동을 주로 하고 있다. 보성암의 설립에 큰 공헌을 한 승려 혜천은 부천불교연합회가 결성되고 나서 제...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있는 플랜트 제조업체. 1974년 4월 19일 설립하였다. 1977년 11월 24일 AMF사와 연초 제조기에 관한 기술 제휴를 맺었고, 1978년 7월 중소기업 전문화 공장으로 지정되었다. 1997년 11월 병역 특례 업체로 지정되었다. 자동차 자동화 시스템, 식품 기계인 초음파 세척기, 홍삼 제조용 증삼 건조기, 연초 기계, 물류 자동화 시스템, 우편물 자...
-
경기도 부천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우연한 사고 발생 시 일정액의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 인간은 끊임없는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위험에는 태풍·홍수·지진과 같은 자연적 위험, 화재·도난과 같은 인위적 위험, 실업·공항과 같은 사회적 위험 등이 있다. 인간이 이들 위험에 대비하는 방법으로는 위험 회피, 위험 보유, 손실 관리, 위험 이전 등이 있으며 보험은 위험 이전에...
-
경기도 부천 출신의 이종덕이 복사골 부천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옛 고향 복사골에 대한 향수를 담아내고 있다. 6연 14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두막 깊은구지 복사꽃에 발빠진다 두견새 울던 고향 포장된 하우고개 허공에 떠있는 육신 흙냄새가 그립다 빛바랜 회색 하늘 벌집 같은 일상생활 신도시 부는 바람 계절 없이 차가워라 그 옛날 살던 초가집 복사골로 가고 싶다 그 옛날 살던 초가...
-
경기도 부천시 상동 복사골 문화센터에 있는 문화 전시 공간. 복사골갤러리는 예술인과 일반인의 거리 좁히기와 친근한 전시 문화 추구를 목적으로 지역 예술가들의 전시, 부천 올해의 작가전, 경인미술대전 같은 굵직한 전시를 치르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복사골 문화센터 2층에 자리잡고 있는데, 미술·사진·도예·서예·개인전 등 여러 분야의 기획 전시와 대관 전시가 열리고 있는 전시 공간은 약...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근린 공원. 부천시민들의 복지 및 여가 증진과 체육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부천시에서 1994년 7월 30일에 조성하였다. 복사골공원의 면적은 2만 5,783.1㎡로 야외 운동 기구와 녹지 공간을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테니스장·노인정·족구장 등의 편의 시설과 체스트업머신·체스트풀머신·워킹트레이너머신·서핑롤링머신·근력 강화머신 등의 야외 운동 기구들이...
-
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부천시청 어울마당에서 매년 열리는 전국 규모의 국악경연대회이다. 복사골국악대제전 전국국악경연대회는 국악의 전반적인 발전과 민족문화예술 정립을 도모하고, 한민족 전통 문화인 국악의 대중화와 우수한 국악인 발굴을 목표로 2002년부터 개최되었다. 복사골국악대제전 전국국악경연대회 참가 대상은 명인부, 일반부, 학생부 3부문으로 나뉘며 민요 명창부[경서도 잡가 및...
-
2001년 11월에 출간된 최은휴의 산문집. 『복사골 비망록』은 부천 문화의 발전사를 소재로 한 최은휴의 마지막 저서로서, 『부천문학』과 『부천예총』 그리고 신문지상을 통해 발표했던 원고들을 정리하여 출간한 것이다. 1994년 소설집 『복사골 아리랑』을 출간하면서 계획했다고 한다. 중앙일보 소사지국 주재기자였던 최은휴는 1931년 대구에서 태어나 1956년경 부천군 소사읍 구지리,...
-
경기도 부천시 소향로 162 부천중앙공원에서 매년 5월 초 복사골예술제 기간에 열리는 백일장으로, 2013년도까지 개최되었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온라인 응모로 변모하여 디지털 백일장으로 응모방법을 변형시켰다. 복사골 시민 및 학생 백일장은 1985년 시작된 복사골예술제에서 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 주관으로 열리는 문학 행사의 하나로서 개최하게 되었다. 복사골 시민 및 학생 백일장의...
-
1994년 10월에 최은휴가 쓴 중편 소설. 부천 문학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백파 최은휴는 시인이면서도 많은 소설을 썼다. 『갈잎의 분노』(1979), 『굼벵이의 뒷걸음질』(1984), 『영군번의 병사』(1987), 『하얀 질경이』1·2(1997, 1998), 『여자가 담을 넘을 때』(1999) 등 주로 6·25전쟁을 소재로 한 6권의 소설집을 냈다. 『복사골 아리랑』은 최은휴가...
-
살아있는 자연학습장, 성주복숭아축제 고품질의 과일은 일교차와 일조량이 만든다. 특히 일교차가 커야 맛, 당도, 향기 등이 뛰어나고 육질이 단단한 열매가 된다. 그런 면에서 송내동은 복숭아 재배지로서 최적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진행된 부천의 산업화와 도시화의 물결로 대규모 복숭아 과수원 단지는 주택단지 등으로 변모하여 전국적으로 유명했던 소사복숭아의 자취를 찾아보기...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서 매년 11월 열리는 전국 규모 청소년 합창대회이다. 전국 청소년 합창단들이 가장 참여하고 싶은 무대로서 전국 최고의 청소년 합창대회이다. 부천전국청소년합창경연대회는 합창 음악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 순화를 함양하고, 청소년 음악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지역 청소년 합창단 발굴 및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1995년부터 매년 11월에 개최하고 있다. 순수한 열정...
-
경기도 부천시 소향로 162 부천중앙공원에서 매년 5월 초 복사골예술제 기간에 열리는 백일장으로, 2013년도까지 개최되었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온라인 응모로 변모하여 디지털 백일장으로 응모방법을 변형시켰다. 복사골 시민 및 학생 백일장은 1985년 시작된 복사골예술제에서 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 주관으로 열리는 문학 행사의 하나로서 개최하게 되었다. 복사골 시민 및 학생 백일장의...
-
경기도 부천 출신이 김옥동이 부천을 소재로 하여 지은 현대시조. 빌딩 숲으로 채워지는 도시화 물결을 안타까워하며 부천 지역의 옛 모습에 대한 향수를 담아내고 있다. 4연 20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情)으로 터를 닦아 뿌리박고 살다보니 고향은 바람곁에 타향으로 밀려가도 복사꽃 고운 눈썹은 초롱초롱 빛난다. 고향은 고향인데 곱던 살갗 소식 없어 찹찹한 작은 가슴 숱한 연민 감도는데...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속하는 신도시 아파트 마을. 복사골은 복숭아꽃이 많이 피는 마을이라는 옛 지명으로 복숭아꽃을 의미하는 복사와 마을을 의미하는 골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1993년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인해 중동과 상동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형성된 신도시 아파트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1993년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건영아파트와 시영아파트 단지로 구성되어...
-
복사골문학회에서 1991년부터 순수 문학을 대상으로 매년 12월 시상하는 문학상. 복사골문학상은 부천 지역에 문학이라는 씨를 뿌린 수주 변영로와 소향 이상로, 정지용 시인의 뜻을 기리고, 지역 문학을 활성화하기 위해 1991년 복사골문학회에서 제정한 상으로, 그 해 가장 뛰어난 문학적 성취를 일구어낸 부천 지역 기성 문인을 대상으로 시상하고 있다. 복사골문학상의 역대수상자는 다음과...
-
1989년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중견 문인들이 결성한 문학 동호회. 복사골문학회는 문학을 사랑하는 순수한 마음으로 부천문학의 새 지평을 열고, 부천시에 거주하는 문인들의 다양한 문학 활동을 보장하며, 부천시민의 문화 활동 참여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7년 1월 10일 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 소속이 아니면서 부천 지역에 거주하던 기성문인인 가영심·구자룡·김봉군·양귀자·유덕희...
-
경기도 부천시 상1동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 복사골문화센터는 부천시민들에게 다양한 공연예술문화, 여성문화, 청소년문화, 어린이문화가 상생하는 복합 문화 공간을 제공하여 문화 간 시너지 효과를 통해 부천시민들이 문화 소비자로 그치지 않고 문화 생산자로서 부천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토록 하기 위하여 「복사골여성·청소년문화센터설치 및 운영조례」에 근거하여 1998년 12월 28일 기존...
-
경기도 부천시 중동 부천중앙공원 일원에서 매년 10월 열리는 글짓기대회. 복사골백일장의 전신은 1967년 건국대 부천동문회 주최로 개최된 백일장이었다. 1970년까지 건국대 부천동문회 주최로 열리던 백일장은 그 후 2년 동안 경향신문 부천지국 주최로 개최되다가 중단되었다. 그후 부천이 시로 승격된 이듬해인 1974년부터 부천문화원 주최로 현재의 복사골백일장이 개최되었다. 처음에는...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도로. 복사골 문화센터 앞에 있는 중동대로와 장말길이 교차하는 길이어서 복사골사거리라고 이름 붙였다. 송내역 남부광장에서 중동대로로 도보로 10분 거리에 복사골 문화센터가 위치해 있다. 복사골사거리는 중동대로와 장말길이 교차하는 데, 동쪽으로는 구 원미구청 방향으로, 서쪽으로는 상1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복사골사거리 주변에는 상동 꿈동산마을, 상동 사랑...
-
경기도 부천시 약대동에 있는 새마을운동 관련 단체. 부천시 민간단체 새마을운동협의회는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 정신을 바탕으로 부천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2004년 8월 10일 설립되었다. 부천시 민간단체 새마을운동협의회 회원과 주민에 대한 새마을 교육 및 교양 교육, 농촌·어촌 활성화 및 농산물·수산물 직거래 사업, 환경 보전 및 자원 재활용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
-
2004년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부천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복사골이라는 부천의 옛 지명을 사용하여 부천 지역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 6연 25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사꽃 빛갈로 피어나는 복사골 눈웃음 하르르 하르르 분홍꽃잎 날아 알알이 통통통 꿈이 배어서 맛 빼꼼 멋 빼꼼 별들의 숨바꼭질 토실토실 알알이 사랑은 익어 쪽- 쪽- 쪽- 쪽이 도는 홍도 복...
-
1993년 최은휴[1931~2002]가 경기도 부천의 옛 이름인 복사골에 대한 그리움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정겨움을 빼앗아 버린 거리 소사(素砂)를 빼앗고 복숭아마저 못 열게 했다 자욱한 먼지속에 잊어버린 소사를 찾으려고 헤매다 지친 쾡한 농부의 눈망울 수밀도(水蜜桃)만이 어리어 시들어가는 정 얽힌 옛 얘기서 나 찾으려고 야위어 가는 정을 못잊어 명멸하는 가로등에서 동쪽으로 뻗...
-
경기도 부천시에서 매년 5월에 열리는 대표적인 시민 축제로 아름다운 복사꽃이 만발하는 복사골에서 윤택하고 향기로운 삶을 승화시키는 예술 축제이며, 지역 예술인들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지만 예술인들이 주체가 아닌 예술을 사랑하는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고 만들어 이상향을 추구하는 가치적 삶의 지향이며 영원한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시민참여형 축제로 부천 지역 문화 매개자 역할을 통해 지역...
-
2005년에서 2010년까지 경기도 부천시 일원에서 열렸던 7080 세대를 위한 공연이다. 7080세대를 위한 그린콘서트는 중년 세대에게는 옛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젊은 세대에게는 부모 세대가 즐겨 부르던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세대간 문화적 공감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축제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키기 위해서 개최하게 되었다. 7080세대를 위한 그린콘서트는 유명...
-
2003년에 윤봉구가 창작한 희곡. 윤봉구는 희곡 작가로 극단 믈뫼의 연출가이다. 「복사골의 봄」은 2003년 극단 믈뫼의 100회 정기 공연을 기념하며 무대에 올리기 위해 쓴 희곡이다. 이는 부천에 프로 연극이 들어온 지 2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윤봉구는 2003년 11월에 수주 변영로의 일대기 「꿈엔들 뵐까하여」를 창작하여 무대에 올리기도 하였다. 총 9장으로 장철현을...
-
황종배가 경기도 부천의 옛 이름인 복사골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삼월이 가도 눈이 내린다 복사골에는 시린 가슴을 볕에 내놓을 만한데 푸르둥한 바람을 복사골은 안고 있다 마디마디 곪아 서있기 조차 힘겨울텐데 어느 실핏줄에서 돋은 정맥은 수갈래 가지를 두고 싹을 틔운다 회색 꿈 실어 콘크리트를 뚫고 흐드러지게 핀 도화(桃花)의 날개가 지천을 덮으면 어머니 치마폭에서는 풋복숭아 잔털이...
-
죽산박씨의 집성촌 부천은 그리 규모가 큰 도시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집성촌을 이루고 있던 지역이다. 비록 지금은 세월의 흐름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면서 그 수가 많이 줄기는 했지만 민씨, 변씨, 신씨, 박씨 등이 오랫동안 부천에 세거하였다. 집성촌은 동일한 혈연관계를 가지고 있는 성씨들이 모여서 이룬 마을이기 때문에 대부분은 정착, 형성 후 오랜...
-
경기도 부천시에서 매년 4~5월 열리는 전국 규모의 무용 경연대회이다. 복사골전국무용경연대회는 무용 경연을 통하여 무용 전공자들에게 자기 표현의 기회를 열어주고, 역량 있는 무용 인재를 발굴하는 동시에 부천시 무용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 1999년부터 개최하게 되었다. 복사골전국무용경연대회 참가 자격은 전국 초등부·중등부·고등부·대학부(일반부)로 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전통...
-
1996년에서 2010년까지 경기도 부천시에서 매년 9월에서 12월 초 열렸던 전국 사진 공모전이다. 복사골전국사진공모전은 1996년 9월 우수한 사진작가에게 등용문을 마련해 주고, 문화도시 부천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전국 규모 공모전이다. 복사골전국사진공모전은 매년 9월부터 행사 광고를 전국 사진전문지에 공고하고, 전단과 현수막, 인터넷 등으로 행사를 홍보한다...
-
청소년이 주체가 되어 기획 단계부터 실제 운영까지 청소년들에 의해 진행되는 대표적인 청소년 축제이다. 복사골청소년예술제는 부천을 포함한 전국의 청소년들이 창조적이고 다양한 문화를 통해서 예술적 끼를 마음껏 표현하고, 청소년 스스로 주체성을 높일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목적으로 2001년부터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모든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축제이자 건전한 청소년 문화의 발굴과 활...
-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복사골 문학회 소속 수필 문학 동인. 한국작가회의 경기도지회 부천지부와 부천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부천시의 문학 행사인 ‘목요문학나들이’에 참석한 문학 동호인들이 중심이 되어, 지역 문학의 위상을 정립하고 수필 문학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창립되었다. 모임 명칭은 부천시를 상징하는 복사꽃에서 따왔다. 복사골 문학회가 매년 발행하는 『부천문단』을 비롯하여 한...
-
연분홍 복사꽃이 피어나는 무릉도원 부천은 현재 심곡본동인 깊은구지와 송내동 지역을 중심으로 소사 복숭아밭이 중점적으로 형성되어 왔으며, 이곳에서 수확량의 대부분을 기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외지 사람들도 부천의 소사복숭아를 맛보기 위해 실제 산지인 송내동을 중심으로 복숭아 과수원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부천 전역이 모두 다 복숭아밭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겁니다. 물론 전...
-
2002년 김광묵이 복숭아와 복사꽃과 관련된 고금의 작품을 묶어 펴낸 책. 김광묵은 부천 출신의 시조 시인으로 한국문인협회 회원,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원, 수주문학상 운영위원회 기획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편저로 수주 변영로의 자전적 일대기를 집필하기도 했다. 『복사꽃이여 복숭아여』는 부천의 옛 토산물인 복숭아와 복사꽃에 관련된 모든 장르의 작품을 고금을 불문하고 수집해 체계적으로...
-
박애연이 경기도 부천 지역의 옛 지명을 시어로 활용한 현대시조 천상선녀 복숭아를 귀한 님께 드리었네 옥황상제 진노하여 천년동안 가두었네 어즈버 세월은 흘러 도원에서 만났다네 나의 태를 묻은 곳 달빛 닮은 여월리 여우와 함께 하며 여우고개 소풍가네 복사꽃향 향드러진 솔안말제 넘나들다 원미산 벚꽃향기 취해서 스러졌네 지금은 두 아들과 옛기억 더듬으며 복사골 깊은 전설을 광주리에 풀어본...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로 선 생활을 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지혜로운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아름답게,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1988년 2월 6일 복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89년 9월 1일 2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임승...
-
경기도 부천시에서 생산되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 옛날부터 복숭아나무는 행복과 부귀를 상징하는 나무로 여겼으며, 귀신을 쫓기 위해 복숭아나무를 신장(神將)대로 쓰기도 하였다. 그리고 복숭아는 악마를 제거하는 힘이 있고, 신선이 먹는 과일이라는 뜻으로 선과(仙果)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부천 지역에서 복숭아가 재배되기 시작한 시기는 소사 부근에 1902년 소사농원과 1904년 송병준이...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 송내사거리에서 심곡본동 부천역 남부광장 사이에 있는 도로. 부천 남쪽의 성주산을 따라 이어져 있는 관계로 송내동 구간의 경우 경사가 급하지만 심곡본동 구간의 경우에는 평지로 이어진 도로이다. 소사동·심곡동 일부와 송내동을 중심으로 복숭아 등의 과수 재배가 활발하여 봄이면 복숭아꽃이 만발한다. 그래서 송내동을 둘러 난 이 길을 복숭아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도로의...
-
조선 중기 부평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복초(復初), 호는 송천(松泉).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최항(崔恒)이며, 아버지는 전첨(典籤)을 지낸 최수진(崔秀珍)이다. 1555년(명종 10) 소과를 거쳐 1568년(선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장령(掌令)·정언(正言)·집의(執義)·사간(司諫)을 역임하였으며, 동래부사에 이어1578년 부평부사로 재임...
-
경기도 부천시에서 약 150여 년 전부터 만든 활. 전국 각지에서 출토된 타제 및 마제 석촉들을 통해 알 수 있듯 우리나라는 선사시대부터 궁시(弓矢, 활과 화살)를 사용하였다. 부여·옥저·맥·마한·진한 등지에서 궁시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고구려의 경우 220년(산상왕 26)부터 맥궁을 사용하였다고 전한다. 신라의 경우 『삼국사기(三國史記)』에 “558년(진흥왕 19) 나마...
-
경기도 부천시 일원에 문화 산업과 첨단 산업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해 조성된 산업 단지. 복합 산업 단지는 기술집약적 첨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주거, 연구, 유통, 관광, 기반 시설 등의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을 특정 용도에 치우침이 없이 일체적으로 개발하는 단지를 의미한다. 부천시는 복합 산업 단지를 조성하여 관련 산업체를 집중 육성함으로써 문화 산업, 벤처, 관광 산업,...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골짜기. 봉황이 날아와 깃들 정도로 산림이 우거진 골짜기라는 뜻으로 봉골, 또는 봉황골, 봉곡이라고 한다. 고리울 봉배산을 깃점으로 해서 봉안산, 봉천이골, 봉골이 땅이름이 갖는 의미의 연관성을 갖고 있다. 봉골 주변에는 도당산이 있어 안골, 새경골, 가마골 등 여러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성골 뒷산을 아미산으로 표기했고, 점말도...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골짜기. 봉황이 날아와 깃들 정도로 산림이 우거진 골짜기라는 뜻으로 봉골, 또는 봉황골, 봉곡이라고 한다. 고리울 봉배산을 깃점으로 해서 봉안산, 봉천이골, 봉골이 땅이름이 갖는 의미의 연관성을 갖고 있다. 봉골 주변에는 도당산이 있어 안골, 새경골, 가마골 등 여러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성골 뒷산을 아미산으로 표기했고, 점말도...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골짜기. 봉황이 날아와 깃들 정도로 산림이 우거진 골짜기라는 뜻으로 봉골, 또는 봉황골, 봉곡이라고 한다. 고리울 봉배산을 깃점으로 해서 봉안산, 봉천이골, 봉골이 땅이름이 갖는 의미의 연관성을 갖고 있다. 봉골 주변에는 도당산이 있어 안골, 새경골, 가마골 등 여러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성골 뒷산을 아미산으로 표기했고, 점말도...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산. 호랑바위산 또는 호암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범을 호랑이로 고친 것에 불과하다. 전국 땅이름 중에 범바위는 호랑이가 출몰해서 붙여진 이름보다는 틈이 벌어진 바위를 가리킨다고 해서 번바위의 뜻으로 쓰인 것이 일반적이다. 범바위는 번바위를 그 어원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그러므로 틈이 벌어진 바위라는 뜻으로 보인다. 범바위산을 토박이 말로 봉배...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과 시흥시 대야동 사이에 있는 산. 봉배산은 태양신에게 길흉화복을 묻기 위해 보내는 봉황이 살고 있는 산이라는 뜻으로, 봉배라는 명칭이 붙은 곳이면 자연스럽게 신령스런 산이라는 의미가 된다. 봉(鳳)은 삼한 시기 이전에는 신과 인간을 매개해 주는 중요한 영물이고, 배(倍)는 태양신을 의미하는 ‘’에서 나온 말이므로, 봉배산은 태양신에게 길흉화복을 묻기 위해...
-
경기도 부천시 원종동에 있는 산. 봉(鳳)은 봉황을 지칭하며, ‘안(鞍)’은 ‘구르·기르·고르’로 바다나 하천의 고대어형이다. 따라서 봉안산은 봉황이 사는 산이 서해 조수와 접해 있는 의미로 풀이된다. 까치울의 봉배산에서 살던 봉이 날아와 봉천이골에서 물을 마시고 봉안산에서 휴식을 취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봉배산의 봉(鳳), 봉천이골의 봉(鳳), 봉안산의 봉(鳳)이 삼각형을 이...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깨를 많이 재배하여 돈을 많이 번 봉천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어서 봉천이골이라고 설화가 전해 온다. 그러나 이 봉천이골은 봉천이가 살아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봉배산(鳳倍山)에 사는 봉황이 물을 먹던 샘이 있는 골짜기라는 뜻이다. 조선지지자료에 봉천곡이라고 해놓은 것이 그걸 증명한다. 이 일대의 지명에 봉황을 뜻하는 봉새 봉(鳳)이 들어간...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깨를 많이 재배하여 돈을 많이 번 봉천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어서 봉천이골이라고 설화가 전해 온다. 그러나 이 봉천이골은 봉천이가 살아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봉배산(鳳倍山)에 사는 봉황이 물을 먹던 샘이 있는 골짜기라는 뜻이다. 조선지지자료에 봉천곡이라고 해놓은 것이 그걸 증명한다. 이 일대의 지명에 봉황을 뜻하는 봉새 봉(鳳)이 들어간...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서 봉선이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봉천이와 서른이 형제」는 현재 작동(鵲洞)에서 바라볼 때 장애인복지회관 너머에 위치한 봉천이골을 배경으로 한 지명유래담이다. 2002년 부천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부천시사』에 실려 있는데, 부천시 작동에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민경흥[남, 71]과 인터뷰하여 채록했다고 각주를 붙이고 있을 뿐 채록 시기는 분명하지...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골짜기. 봉황이 날아와 깃들 정도로 산림이 우거진 골짜기라는 뜻으로 봉골, 또는 봉황골, 봉곡이라고 한다. 고리울 봉배산을 깃점으로 해서 봉안산, 봉천이골, 봉골이 땅이름이 갖는 의미의 연관성을 갖고 있다. 봉골 주변에는 도당산이 있어 안골, 새경골, 가마골 등 여러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성골 뒷산을 아미산으로 표기했고, 점말도...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서 춘의동에 있는 봉황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봉황산 설화」는 춘의동 부천종합운동장의 뒷산 줄기를 배경으로 한 봉황골에 대한 지명유래담이다. 봉배산 줄기의 하나인 봉황골에 봉황이 날아들어 고관과 재력가가 나타날 것을 점지했다는 풍수담이기도 하다. 2002년 부천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부천시사』에 실려 있는데, 부천시 여월동에 현지조사를 나가...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함께 더불어 사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1993년 5월 4일 부광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박운섭이 부임하였다. 1996년 3월 1일 부...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있는 레미콘 제조업체. 1985년 5월 부국레미콘을 설립하였다. 1986년 12월 부국레미콘 및 상표 등록(허가 제125656호)을 하였다. 1987년 8월 전국화학노동조합연맹 부국레미콘 노동조합이 설립되었고, 같은 해 9월 서정욱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1995년 9월 부국레미콘 대전공장을 신설하였다. 2006년 채수암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2008년 2...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골짜기. 부굴골은 구부골의 바뀐 이름으로 보인다. 골짜기가 구불구불하게 이루어졌다고 해서 붙여진 구부골의 앞뒤 말이 순서가 바뀌어 부굴골이 된 것이다. 할미산 오른쪽 소새로 펼쳐진 골짜기도 구부골인데 이름이 똑같다. 이 골짜기 상류에는 과수원이 펼쳐져 있고 아래쪽으로는 벼농사를 짓고 있다. 예전에는 골짜기까지 강물이 밀려들어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범위도...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민요 가운데 여성들의 생활과 한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노래. 조선시대 여성들은 봉건 제도와 가부장제적인 가족 제도라는 이중의 굴레 속에서 살아야 했다. 그 안에서 부당한 대접과 구속을 받으며 생활했는데, 이러한 여성들이 일상 생활에서 느끼는 설움과 한탄을 노래로 담아낸 것이 부녀요이다. 여성들이 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를 부녀요에 포함시키는데,...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불신[火神]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가정신앙. 조왕신(竈王神)은 집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옥황상제께 고하는 임무를 맡고 있는 불신[火神]이다. 부엌신·아궁이신·부뚜막신 등으로도 부른다. 조왕신은 지방 또는 집안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개 동지(冬至)날 조왕단(竈王壇)에 떡을 올려놓고 가정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한다. 조왕신은 밥 짓는 일과 부엌에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예절바르고 양심적인 도덕인, 할 일을 스스로 찾아서 긍정적으로 실천하는 성실인, 세계화·개방화에 대응하는 능동적인 창조인, 건강한 체력과 풍부한 정서를 지닌 건강인, 타고난 소질과 적성을 꾸준히 연마하는 실력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1994년 2월 28일 총 36학급, 남녀공학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IT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 심신이 건강한 조화로운 인격을 형성하고, 성숙한 자아의식, 학문과 생활에 필요한 논리적·비판적·창의적 사고력과 태도,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익혀서 적성과 소질에 맞게 진로를 개척하는 능력,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세계 속에서 발전시키려는 태도, 국가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세계 시민으로서의 의식과 태도 육...
-
경기도 부천시 중앙공원길에 있는 공립 중학교. 주인 정신으로 민족과 국토를 사랑하는 사람, 법·규칙·질서를 지키는 민주 시민 의식이 강한 사람, 지식을 습득하여 과학적으로 새 것을 창출하는 사람, 언행과 예절이 바르며 신의를 존중하는 사람, 진·선·미를 추구하며 심신을 단련하는 사람을 기르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주인’이다. 1992년 3월 21일 12학급으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을 배려할 줄 알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소질을 기르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며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어린이, 건강에 유의하며 기초 체력을 다지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이다. 1993년 5월 4일 부명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1일 1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산. 부엉이가 산꼭대기 바위에 자주 앉아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봉배의 다른 말이 부엉이로, 곧 수리부엉이 바위산이라는 뜻이다. 여우고개로 갈라지기 전에는 봉배산과 같은 산으로 보아서 봉배의 다른 이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봉배산과 이웃한 산인데 이름이 부엉산과 봉배산으로 나뉜 것이다. 소새에서 시흥으로 가려면 여우고개...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불신[火神]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가정신앙. 조왕신(竈王神)은 집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옥황상제께 고하는 임무를 맡고 있는 불신[火神]이다. 부엌신·아궁이신·부뚜막신 등으로도 부른다. 조왕신은 지방 또는 집안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개 동지(冬至)날 조왕단(竈王壇)에 떡을 올려놓고 가정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한다. 조왕신은 밥 짓는 일과 부엌에서...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정직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협동·봉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예절, 질서’이다. 1982년 7월 21일 부원국민학교 18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4년 3월 1일 초대 교장에 이윤경이 부임하였다. 같...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는 애국인, 창의력과 탐구 정신이 풍부한 창조인, 근검하고 더불어 살 줄 아는 협동인, 참되고 능력 있는 실력인, 심신이 건강하고 예절 바른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2년 3월 21일 설립인가를 받았고, 1993년 3월 1일 초대 김상용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3년 3월 5일 총 10학급에 417명의...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정직’이다. 1992년 3월 1일 부인국민학교 설립 승인을 받아, 7월 15일 학교 시설 공사에 착공하였다. 1993년 4월 1일 부인국민학교 18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부인초...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서 역곡동 사이에 있는 도로. 부천에서 경인철도를 따라 제일 먼저 개설된 도로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기존의 역곡로와 부일로가 합쳐지면서 부일길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도로의 폭은 25~30m이고,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7.060㎞이다. 구 소사구 지역을 관통하는 도로로 경인고속국도, 경인선과 나란히 구 원미구 지역을 동서 방향으로 지난다. 동쪽에서...
-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3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사람을 존중하고 기본 교양을 갖춘 예절 바른 사람, 창의성을 발휘하여 지식정보화시대를 이끌어 가는 사람, 합리적이고 자주적이며 봉사를 통해 더불어 사는 사람, 자신의 적성을 계발하고 기초 능력을 길러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건강한 몸과 정신을 간직한 진취적인 사람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하고 슬기롭게’이다. 1989년...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나라를 사랑하며 예의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봉사하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큰 꿈과 행복을 만들어 가는 부일 어린이’이다. 1981년 3월 1일 부일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5월 6일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조정식이 부임하였다. 198...
-
2006년에 금미자가 쓴 시집. 『부천 그대안의 플랫폼』은 부천역을 소재로 한 금미자의 개인 시집으로 2006년 도서출판 산과들에서 발행했다. 금미자는 경상북도 청송 출생으로 영남대학교를 졸업하고 제1회 부천여성백일장에서 장원, 제2회 부천신인문학상에 당선되었다. 복사골 문학회, 흰모래시동인, 한국작가회의 경기도지회 부천지부 회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