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0923 |
---|---|
한자 | 方五里洑 |
영어공식명칭 | Bangorib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병철 |
최초 설립지 | 방오리보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
---|---|
성격 | 제방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던 둑.
방오리보는 대장리에서 원종리까지의 둑 길이가 5리(五里)쯤 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대장동 새보둑 상류에서 원종동 방오리들까지의 거리가 대략 2.21㎞이다. 통상 5리(里)를 2㎞로 계산한다. 같은 들판을 두고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1] 하오정면 원종리(遠宗里) 조에는 영야(鈴野)[방우리들]라 기록되어 있다. 방오리보를 원종동 쪽에서는 ‘방우리들[鈴野]’이라고 부른 것이다. 이는 방오리보(方五里洑)의 의미를 정확하게 모르고 ‘방울이보’로 불렀거나 기록하는 과정에서 방오리를 방울이로 잘못 알아들어 이렇게 한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지지자료』에 방오리보는 주화곶면(注火串面) 대장리(大壯里)에 있다고 되어 있다. “이 보는 20여 년 전에 쌓았는데 지금은 내지인[일본인] 소유다[二十餘年前築現今內地人所有].”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보아 1890년(고종 27)을 전후한 시기에 쌓은 제방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인 소유가 되었고, 1970년까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970년대에 제작한 지도를 보면 방오리보는 밖오쇠리마을 아래에서 시작해서 하오정교를 지나 대장분교 자리에 있던 솔오리를 지나고 대장 큰말까지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방오리보는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인에 의한 토지 점탈이 광범위하고도 조직적으로 자행된 사실을 확인하는 제방이라고 할 수 있다.
방오리보가 있었던 대장리의 학생들은 대장초등학교가 생기기 전까지 방오리 둑방길을 걸어서 오정초등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현재 방오리보는 남아 있지 않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1.01.02 | 방오리보 | <참고문헌> <문헌><서명 검색어='부천시사'>『부천시사』</서명>(<출판사항>부천시사편찬위원회, 2002</출판사항>)</문헌> <문헌><서명 검색어='조선지지자료'>『조선지지자료』</서명>(<출판사항>경인문화사, 2007</출판사항>)</문헌> <문헌>한도훈, 부천의 땅이름 이야기(부천문화원, 2001)</문헌> |
2010.12.16 | 방오리보 | 1) <지역>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지역> --> <지역>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 밖오쇠리</지역> 2) <상세정보 유형='주소'><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지명></상세정보> --> <상세정보 유형='주소'><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 밖오쇠리 마을</지명></상세정보> 3) <소표제>[정의]</소표제>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지명>에 있던 둑.</문단> --> <문단><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지명>에서 밖오쇠리 마을로 연결되어 있던 둑.</문단> 4) <문단><서명 검색='0' 검색어=''>『조선지지자료』</서명>에도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지명>라는 지명이 나온다.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方五里洑)</지명>는 지금의 <지명 검색='0' 검색어=''>대장동 큰말</지명>에서 <지명 검색='1' 검색어='오쇠동'>오쇠동</지명> 앞들로 연결된 둑이다. 둑의 길이가 오리(五里)쯤 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문단> <문단>1890년경 지금의 <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대장동</지명> 지역에 물길을 대기 위하여 만들었으며, 둑길은 마찻길로 이용되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지명> 중간에 <지명 검색='0' 검색어=''>오쇠교</지명>가 놓여 있었다. 현재는 도로와 들로 바뀌어 방오리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문단> --> <문단><서명 검색='0' 검색어=''>『조선지지자료』</서명>에도 대장리에 속하는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지명>라는 지명이 나온다.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方五里洑)</지명>는 지금의 <지명 검색='0' 검색어=''>대장동 큰말</지명>에서 <지명 검색='1' 검색어='오쇠동'>오쇠동</지명> 앞들로 연결된 둑이다. 둑의 길이가 오리(五里)쯤 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문단> <문단>1890년경 지금의 <지명 검색='1' 검색어='대장동'>대장동</지명> 지역에 물길을 대기 위하여 만들었으며, 둑길은 부평도호부에서 한다리를 거쳐 서울로 가는 마찻길로 이용되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방오리보'>방오리보</지명> 중간에 <지명 검색='0' 검색어=''>오쇠교</지명>, 하오정교가 놓여 있었다.</문단> <문단>1970년에 제작된 지도를 보면 <서명 검색='0' 검색어=''>방오리보</서명>는 <지명 검색='0' 검색어=''>밖오쇠리</지명> 마을 아래에서 시작해서 <지명 검색='0' 검색어=''>하오정교</지명>를 지나 대장분교 자리에 있던 <지명 검색='0' 검색어=''>솔오리</지명>를 지나고 대장 <지명 검색='0' 검색어=''>큰말</지명>까지 연결되었다. 대장 큰말 앞에서는 <지명 검색='0' 검색어=''>새보둑</지명>으로 연결되었다.</문단> 5) <참고문헌> <문헌><서명 검색어='부천시사'>『부천시사』</서명>(<출판사항>부천시사편찬위원회, 2002</출판사항>)</문헌> <문헌><서명 검색어='조선지지자료'>『조선지지자료』</서명>(<출판사항>경인문화사, 2007</출판사항>)</문헌> --> <문헌><서명 검색어='부천시사'>『부천시사』</서명>(<출판사항>부천시사편찬위원회, 2002</출판사항>)</문헌> <문헌><서명 검색어='조선지지자료'>『조선지지자료』</서명>(<출판사항>경인문화사, 2007</출판사항>)</문헌> <문헌>한도훈, 부천의 땅이름 이야기(부천문화원, 2001)</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