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1182 |
---|---|
한자 | 卞宗仁神道碑 |
영어의미역 | Memorial Stone for Byeon Jongi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산 63-9![]()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견수찬 |
성격 | 비|신도비 |
---|---|
건립시기/일시 | 조선 전기 |
관련인물 | 변종인|성현 |
재질 | 대리석 |
높이 | 155.5㎝ |
너비 | 75.5㎝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산 63-9 |
소유자 | 밀양변씨 종중 |
문화재 지정번호 | 부천시 향토유적 제1호 |
문화재 지정일 | 1986년 4월 29일![]()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공장공(恭莊公) 변종인의 신도비.
구전에 의하면, 변종인신도비(卞宗仁神道碑)는 원래 다른 곳에 세워졌는데, 변종인 신도비가 세워진 직후부터 인근 지역에 화재가 빈발하여 많은 손해를 초래하여, 주민들의 공론으로 변종인 신도비를 옮기자 화재가 진정되었다고 한다.
고강아파트 남동쪽으로 약 500m 떨어진 밀양변씨 묘역에 있는 변종인 묘에서 서남쪽으로 약 18m 떨어진 지점에 있다.
변종인 신도비는 비좌하엽(碑座荷葉)의 양식으로 개석부(蓋石部)가 하엽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좌는 방부(方趺)형이고 측면에는 안상(眼象)이 표현되어 있다.
비면의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지만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 성현(成俔)이 지었다고 전한다.
변종인 신도비는 1986년 4월 29일 부천시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었고, 비문의 훼손을 막기 위해 1996년 2월에 신도비각을 설치하였다.
조선 전기 북방 정책에 기여한 무신의 신도비로서, 당시 군공을 세운 무신에 대한 높은 평가를 짐작할 수 있다. 신도비 재질이 흔치 않은 대리석인 것이 특징적이고, 조선 전기 신도비의 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