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1977 |
---|---|
영어의미역 | Boksagol Arira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민충환 |
성격 | 중편소설 |
---|---|
작가 | 최은휴 |
창작연도/발표연도 | 1994년 10월 30일![]() |
1994년 10월에 최은휴가 쓴 중편 소설.
부천 문학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백파 최은휴는 시인이면서도 많은 소설을 썼다. 『갈잎의 분노』(1979), 『굼벵이의 뒷걸음질』(1984), 『영군번의 병사』(1987), 『하얀 질경이』1·2(1997, 1998), 『여자가 담을 넘을 때』(1999) 등 주로 6·25전쟁을 소재로 한 6권의 소설집을 냈다. 『복사골 아리랑』은 최은휴가 부천을 배경으로 쓴 네 번째 소설로서, 1994년에 도서출판 세기에서 중편 소설집 『복사골 아리랑』으로 묶여 나왔다.
『복사골 아리랑』은 ‘제1부 복사골 아리랑’과 ‘제2부 꿈은 사라지고’로 구성되어 있다.
『복사골 아리랑』제1부는 다음과 같다. 1960년대 후반, 부천 춘의동 부근에 성격이 서로 다른 두 노인이 살았다. 우시장에서 거간을 하던 송재삼 노인과 조상 덕에 서울에서 중학교를 다니긴 했으나 평생 무위도식하는 박학길 노인이다. 두 노인은 30~40년을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살아오면서도 친밀하게 지내지 못하다가 60이 넘은 이듬해 두 노인이 다 상처를 하고부터 가까워진다. 급격한 도시화로 농토가 불도저에 까뭉개지자 삶의 지표를 상실한 두 노인은 이곳저곳 산과 들을 거닐면서 옛날이야기를 나누며 소일한다.
『복사골 아리랑』에는 먹적골·장사바위·깊은구지·소쇠·하우고개·멀뫼·비릿내·시루뫼·웃고얀리 등 부천의 소지명이 등장하고 있는데, 특히 괴안동의 유래를 설명한 다음 내용은 눈길을 끈다. “(대원군이) 웃고얀리[괴안동]에 소문난 괴목을 베다 대포 바퀴를 만들기도 했지 뭐야. 그 느티나무에 마을 사람들이 마을에 안위를 위해 빌었기 때문에 마을 이름을 느티나무 괴(槐)와 편할 안(安) 자를 붙여 괴안(槐安)리가 아닌가 봐…….”
부천을 배경으로 한 여타 소설들은 도시화 이후 소시민의 삶의 애환을 다룬 데에 비해 『복사골 아리랑』은 그 이전, 즉 개발이 진행되어 삶의 지표를 상실한 상황을 노인의 시각으로 다루고 있다.
『복사골 아리랑』은 부천이 도시화됨에 따라 농토를 잃게 된 송재삼, 박학길 두 노인의 안타까움을 묘사하면서, 곳곳에서 부천의 소지명과 그 유래를 소상히 밝히고 있는 중편 소설이다.